작가의 방 - 우리 시대 대표 작가 6인의 책과 서재 이야기
박래부 지음, 안희원 그림, 박신우 사진 / 서해문집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작가의 방>은 원래 내가 읽으려고 했던 책은 아니다. 정확히는, 순전히 내 실수 때문에 읽게 되었다. MBC 김지은 아나운서가 쓴 <예술가의 방>이라는 책이 있다. 언젠가 서점에서 보고 재미있을 것 같아서 기억해두었다가 며칠 전에 마침 도서관에 있기에 빌렸는데, 아뿔싸! 잘못 빌렸다. 출판사도 똑같고 제목도 비슷한데, 이 책은 '예술가'가 아니라 <작가의 방>이었네.

 

... 뭐, 이것도 운명이려니.  

그런데 원래 실수나 우연에서 비롯되는 일 중에 행운을 가져다주는 것이 많다고 하듯이, 이 책도 행운 같은 책이었다. 내용도 좋았고, 국내 주요 문인들의 작품세계에 대해 알게 되어 앞으로 책 읽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작가의 방>은 한국일보 수속논설위원 박래부 기자가 여섯 명의 문인의 방을 직접 방문하여 인터뷰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여섯 문인의 면면이 화려하다. 이문열, 김영하, 강은교, 공지영, 김용택, 신경숙이라니...!!! 인터뷰를 한분씩 따로 엮어도 책으로서 부족하지 않을 것 같은데, 한 책에서 다 만나게 되다니 사치스러운 기분마저 든다.

 

이문열의 서재는 머리 싸매고 난해한 고전을 읽거나, 사색하거나, 자신의 새로운 글을 길어 올리는 창작의 산실이다. 또한 지칠 때 차 마시며 쉬는 곳이기도 하며, 쓰임새에서는 또 다른 사적 열망을 키우는 공간이기도 하다. 집필용 책상 옆에 우스운 인연으로 갖게 된 검도용 죽도 한 자루가 놓여 있기도 한 그의 큰 서재는, 그 자체가 평생 추구해 온 탈이념적, 복고주의적 이상과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혹은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딧세이에 다름 아닐 것이다. (이문열의 방 p.13)

 

주변 환경과 건물은 밝고 화사하건만, 자폐아의 방 같다는 그의 서재는 피노키오를 삼킨 고래의 뱃속처럼 유독 폐쇄적 분위기를 고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만하지 않은 창조와 창작의 에너지를 내뿜고 있는 것이 또한 그의 방이기도 하다. (김영하의 방 p.63)


예술가의 방이든 작가의 방이든, 처음에 누군가의 방에 대한 책을 읽고 싶다고 생각한 건 단순한 호기심 때문이었다. 대단한 사람들은 방도 대단할까, 어떤 은밀하고 사적인 비밀이 있을까 하는 지극히 일반적인 궁금증 말이다. 확실히 작가들의 방은 뭔가 달랐다. 작가의 취향이 고스란히 반영된 장서들, 상상력을 자극하는 그림과 사진, 장식품들... 하나하나 특별하고 개성적이었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된 방들은, 정확히는 서재 내지는 작업실이라고 보는 편이 더 맞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내가 기대한, 은밀하고 사적인 모습을 보고 싶다는 기대는 조금씩 무너졌다. 뭐, 애초에 그들이 남들과 똑같이 밥 먹고 옷 갈아 입는 공간을 보고 싶다는 기대를 한 내가 바보였지만. (대체 그걸 봐서 어쩌겠느냐...)

 

오히려 이 책은 슬프고 무겁다. '작가의 방'이라는 제목은 너무 신변잡기적이어서, 마치 저자가 일부러 노린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만큼 말이다. 여기 나온 작가들의 작품만 보아도 알 수 있지만, 다들 전쟁, 민주화 등 시대로부터 비롯된 깊은 아픔과 고통을 간직하고 있는 인물들이다. 마치 그 아픔과 고통을 토해내고 분출하듯이 작가들은 글을 썼고, 그런 그들의 산고를 지켜본 것이 바로 그들의 방이다. 그래서인지 읽으면서 점점 마음이 엄숙해지고, '작가의 방'을 넘어 '작가의 삶', '작가의 숙명'이라는 주제로까지 생각이 미쳤다. 아직 생각이 다 여물지 못해 글로 풀어쓸 수는 없지만, 개인적인 아픔과 시대적인 비극을 거름 삼아 작품이라는 열매를 맺어 사람들의 감성과 사상을 풍부하게 만드는 것, 그것이 작가의 삶이고 숙명이 아닐까.

 

그들(작가들)은 책을 거름 삼아 또 다른 책을 생산해 내고 있었고, 그들의 서재는 고서점 같기도 하고 과거의 온갖 정신이 누워 있는 박물관 같기도 했다. 그 방은 과거의 무덤이자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신생아실이었다. (글쓴이의 말 p.5) 


여섯 작가 중 나는 신경숙, 공지영, 강은교 같은 여성 작가들 얘기가 더 좋았다. 내가 여자라서 우대하는 게 아니라, 일단 이 분들이 소개한 방이 내가 기대한 '방'의 개념에 더 가까웠고, (김영하는 대학교에 있는 개인 연구실, 김용택은 본가 서재를 소개했다) 특히 신경숙의 <외딴 방>에 얽힌 이야기는, 저자가 신경숙을 취재하고 싶어서 이 책을 기획한 게 아닐까 싶을만큼 자세히 나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