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 구하기 - 개정판
조나단 B. 와이트 지음, 안진환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2009-05-05 

 

아마도 사회과학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수업 시간이었을 것이다. 경제학과 교수님께서 경제학이 낯설거나 어렵게 느껴진다면 읽어보라시며 책 제목 몇 개를 칠판에 적어주셨다. 그 책들은 대부분 '경제팩션(faction)' 이었다. 당시 나는 [북& 월드] 에서 나온 [소설로 읽는 경제학] 시리즈를 찾아서 읽었는데, 이 책들이 나의 경제학 성적에는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모르지만, 적어도 경제학적 사고방식에 적응할 수 있게끔 도와줬다고 생각한다. [애덤 스미스 구하기] 역시 그 목록에 있었으리라고 짐작되는데, 당시에는 읽어보지 못하고 이제서야 읽어보았다.  

 

2003년 1쇄 발행되고, 올해 12쇄 발행된 [애덤 스미스 구하기] 는 세계 유명대학이 교재로 택하고 있으며, 여러 신문과 잡지, 단체에서 선정한 책이기도 하다. 그만큼 인기도 있고 명성도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에이~ 경제학 책이 재밌어봤자 얼마나 재밌겠어?' 하는 마음이 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내게는 '경제학 책이 이렇게 재밌을 수도 있구나' 싶은 책이었다.

 

이 책의 매력은 첫째, 애덤 스미스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자본주의와 자유무역 경제의 기초를 제공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경제학이나 애덤 스미스의 이름이 익숙하지 않더라도, 보이지 않는 손이나 푸줏간 주인의 일화 등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 그가 실은 도덕성과 정의를 중시한 인물이었다는 주장은 매우 낯설다.  

 

   
  이기심은 인성의 본성이지만 그 이기심을 조절하려고 노력하는 것 또한 인간의 본성이다.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안정감을 얻으면서도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존재가 되지 않기 위해 분별력 있고 신중하게 행동하는 것, 그게 바로 자기애야. 이기심이란 자신의 욕구가 타인의 합법적인 권리와 상충될 때 자기 본위대로 자기 욕구에만 집착하는 것을 뜻하니까. (p.197)  
   



[애덤 스미스 구하기] 는 경제학 서적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철학 서적에 가깝다. 이는 애덤 스미스가 경제학자가 아닌 도덕 철학자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경제학 공부에 보탬이 되거나 지식을 얻기 위한 '참고서'로서 이 책을 읽는다면 곤란하다. 오히려 이 책은 이제까지의 경제학적 개념을 뒤흔드는 경험이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학 초보나 학부 신입생이 읽는다면 미리 경제학적 배경을 다진다는 점에서 좋을 것이고, 경제학을 오래 배운 사람에게는 새로운 자극이 될 것이다. 적어도 말로만 들었던(!) 애덤 스미스의 책들을 한 번 제대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둘째, 여행기 혹은 추리소설을 읽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경제학과 대학원생인 주인공은 우연한 계기로 애덤 스미스를 만나서 자동차 여행을 하게 된다. 여행을 하는 틈틈이 애덤 스미스의 사상에 대한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편안한 기분으로 읽을 수 있다. 또한 두 사람은 여행 도중에 애덤 스미스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는 괴한에게 연달아 습격을 당하는데, 범인이 누구인지 찾아나가는 후반의 즐거리는 흡사 추리소설을 읽는 듯하다. 

 

이 책은 본문 외에도 애덤 스미스 연보, 자료 노트, 참고문헌 가이드, 교사를 위한 가이드 등 알찬 부록이 실려 있는 것도 특징이다. 특히 나는 초록색 표지와 가로 폭이 좁은 디자인, 그림과 사진 등 이미지가 거의 없고 활자가 위주인 편집이 너무나도 마음에 든다. 이런 '책 다운 책'이 많아졌으면 좋겠는데, 요즘은 양장본에, 활자는 별로 없고 이미지만 잔뜩 들어있는 책이 많이 나와서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