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초난난 - 남녀가 정겹게 속삭이는 모습
오가와 이토 지음, 이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달팽이 식당>을 읽고 오가와 이토의 신작이자 두번째 작품인 <초초난난>을 추천받아 이번에 읽어보았다. '초초난난'은 '남녀가 정겹게 속삭이는 모습'이라는 뜻을 가진 말인데(그것도 모르고 나는 팬심에 '초난'이 먼저 떠올랐다) 소설 내용도 제목 그대로 주인공 시오리가 기노시타 라는 남성을 만나 사랑하면서 벌어지는 얘기다.
문제는 이 기노시타 라는 남성이 기혼남이라는 것. 그와 있으면, 그저 마주보고 앉아서 맛있는 음식을 배불리 먹고 소소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뿐인데도 너무나 행복했지만, 어린시절에 부모의 이혼으로 평화롭던 가족이 하루아침에 뿔뿔이 흩어지는 일을 겪었던 시오리는 자신이 기노시타와 사귀어도 될지, 과연 사귄다면 그 끝은 무엇일지 걱정되어 좀처럼 맘을 열지 못한다.
그러나 불륜을 소재로 한 여느 소설과 달리 이 책은 애처롭지도, 처연하지도, 질척거리지도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책의 숨겨진 주인공은 바로 '음식'. 기모노 상점이 주 배경인만큼 일본의 전통요리와 가정요리가 줄줄이 등장하고, 도쿄 안에서도 일본의 전통이 많이 남아있는 동네인 야나카와 아사쿠사의 명물이 심심할라치면 나오고, 시오리가 사랑해마지 않는 케이크, 빵 같은 베이커리도 쉴새없이 나온다. 푹빠져 읽고 있자니 내가 사랑에 고픈 건지 배가 고픈 건지 모를 지경이었달까...ㅎㅎ
음식, 사랑, 가족... 오가와 이토는 이런 본능적인 소재들을 참 좋아하는지(누가 싫어하겠냐마는.) 소설 곳곳에 <달팽이 식당>과 비슷한 부분이 많았다. 특히 줄줄이 이어지는 음식의 향연, 읽는이로 하여금 고통(!)스럽게 만드는 음식 묘사...
게다가 <달팽이 식당>이 판타지가 살짝 가미된 여성의 성장소설이라면, <초초난난>은 전형적인 애정소설. 기노시타 이 남자는 또 왜 이렇게 멋있는지, 그에 대한 묘사도 죽음이다. (내 개인적인 취향이니 태클 사절.) 책 읽는 내내 동생이랑 '기노시타한테는 이거 데이트가 아니라 먹자계 아니냐'며 흉을 봤지만, 먹자계라도 좋으니 이런 남자 한번 보기나 하고 싶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