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심리학 - 미래의 나를 완성해주는, 20대를 위한 인생강의
곽금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20대 심리학>은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가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쓴 심리학 책이다. 곽금주 교수는 서울대에서 '흔들리는 20대(약칭 흔들이)'라는 이름의 인기 강의를 맡고 있다. 현재 20대의 나날들을 보내고 있는 학생들을 많이 만나고 계신 분이 쓰셔서인 사례들이 매우 생생했다. 대학에 들어와서 내가 그동안 얼마나 우물 안 개구리였는지 깨닫고, 이전과는 다른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진로를 정하지 못해 우왕좌왕하고 있는 20대라면 공감이 될 것이다.

 


책에서 '자기효능감'에 대한 내용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얼마전 교육 다큐멘터리를 한 편 봤는데, 선생님이 아이에게 문제를 풀게 한 다음 '높은 점수를 받았구나, 머리가 좋구나'하면서 결과를 칭찬하니 아이는 틀리기 쉬운 고난이도의 문제에는 도전하지 않고 쉬운 문제만 풀려고 한 반면, '열심히 풀었다'며 과정을 칭찬하니 틀리더라도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고 싶어했다.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은 20대에게 꼭 필요하다. 20대는 실패가 많은 때다. 원하는 학교와 학과에 처음부터 철썩 붙은 사람, 지원한 회사마다 합격통보를 받는 사람은 극소수이며 그렇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이다. 그러니 나만 늘 실패한다고 단정짓거나 좌절할 필요는 없다. 그러느니 작게라도 성취한 일들을 되뇌이는 것이 낫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주일에 한 권씩 책 읽기, 일기 꾸준히 쓰기, 돈 아껴쓰기, 일찍 일어나고 일찍 자기 같은 것도 좋다.



저자는 오늘날의 20대는 완전한 성인이 아니며, 신체는 성숙하지만 자아는 덜 형성된 '이머징 어덜트후드'라고 했다. 학업, 취업, 연애, 인간관계 등 온갖 세상일에 시행착오를 겪고 혼란스러워하는 건 나뿐만이 아니었구나. 그런 점에서 20대인 나는 아직도 성장기다. 다만 10대 때와 다른 것이 있다면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아닌 내 스스로의 힘으로 성장해야한다는 점일까. 좀 더 고민해보자.  


 

성인기로 이행하기 위해 인생의 매핑을 시작한 20대 역시 자기효능감이 충만해야 자신의 길을 설계하고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또한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공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이 잘 단련되어 있어야 한다. (p.42)


사실 20대 청년들이야말로 하고 싶은 일이 정말 많다. 하지만 도전에는 언제나 용기가 필요한 법이다. 모든 도전에는 실패와 좌절이라는 리스크가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도전을 멈출 수 없는 것은 리스크 너머에 그보다 훨씬 더 크고 아름다운 것, 바로 가능성과 성취감이 있기 때문이다. 20대에 다양한 도전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테스트하고 성취감으로 가슴을 채우면 성인기로의 이행이 한결 매끄러워진다. 어떤 일이 주어지건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겨 도전을 즐거워하게 된다.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