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 키드가 스펙 세대에게
배성환.조은주 지음 / 책든사자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배성환, 조은주가 쓴 <서태지 키드가 스펙 세대에게>는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지침서다. 서태지를 동경하는 주인공 현철은 원래 전공과 상관 없는 음악을 배우고 대학 가요제를 준비하는 청년이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공모전에 참가하고, 동아리 생활도 하고, 인턴 생활도 하면서 '서태지 키드에서 스펙 세대로' 성장한다. 현철은 사실 전자 음악을 배우고 대학 가요제에 참가하는 등 취업과 전혀 상관 없어 보이는 일들만 했다. 하지만 그런 경험을 통해 현철은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방법, 사람들을 사귀는 방법, 실수가 없도록 꼼꼼히 준비하는 방법 등 많은 교훈을 얻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게임 공모전에 참가했는데, 공모전 입상이 다른 공모전의 기회를 부르고 인턴을 하게 해주고 취업까지 시켜줬다. 



현철의 모습을 보면서 배워야 할 것은 현철의 경력과 취업 과정 자체라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어떻게 연결시키고 확장하느냐, 라는 생각이 들었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경험이 취업이라는 단기 목표가 아니라 장기적인 인생 설계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만약 공모전 입상과 인턴, 몇 차례의 합격 통보 같은 성공에 머물렀다면 지금의 그는 없었다. 그러나 치열한 고민 끝에 그는 자신의 진짜 적성을 찾았고 조금은 낯설고 벅찬 분야인 '컨설턴트'에 도전했다. 이렇게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뭔지'를 찾아낸 것이 가장 큰 수확이 아니었을까? 책의 말미에는 대학 시절의 공모전, 외부활동, 인턴 경험 등을 바탕으로 취업에 성공한 분들의 인터뷰도 실려있다. 그 중 한 분이 구글 코리아에 재직중인 김태원 씨였다. 몇 년 전 그 분의 강연을 학교에서 들은 적이 있다. 그 때 그분께서 자신의 최종적인 Career goal은 '토크쇼 진행자'라고 하셨는데, 그 후 책도 내고 여러 곳에서 활발히 강연 활동을 하시는 걸 보면서 생생한 비젼과 행동이 수반된 열정은 성공을 가져다준다는 걸 새삼스레 느꼈다.  



적어도 내가 집중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는 발만 담그고 살짝 구경할 것이 아니라, 두 팔 걷어붙이고 발꿈치를 들어보는거야. 너처럼. (p.45)

 

'경험축적법칙'은 일정노력을 지속적으로 투입한다고 바로 결과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런 경험의 잔가지들이 모여서 정말 네가 원하는 불꽃을 활활 오래 태울 수 있게 해주는 것이지. ... 혹시 좋아하는 일, 잘 하는 일, 해야 하는 일을 구별할 줄 알아? 아마 이 3가지를 갖출 때 정말 네가 되고 싶다던 너만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을 거야. (p.54)
     
목적을 가진 커뮤니케이션에는 반드시 상대가 원하는 방식으로의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이야. 취업 커뮤니케이션(면접)이든 발표 커뮤니케이션(PT)이든 발표자가 의도한대로 청중은 절대로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잊어선 안돼. the matter는 우리에게 중요한 issue일 뿐이지, 반대편에 앉아서 듣고 있는 그들에게는 항상 so what이거든. (p. 135)  


정말 중요한 것은 spec이 아니라 benefit이야. ... spec이 중요하다. 맞는 말이야.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네가 구매자에게 어떤 효용 가치를 줄 수 있느냐 하는 문제야.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으로 어떤 결과를 생산해낸 경험이 있는지, 그로 인해 무엇을 배웠고 또 회사에 입사한 후엔 어떤 인재로서의 자질을 보여줄 수 있는지 확인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야.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