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리코더 - 못하는데 어째서 이리도 즐거울까 아무튼 시리즈 76
황선우 지음 / 코난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때 엄마 등쌀에 못 이겨 피아노, 바이올린 같은 악기를 배워서 성인이 된 후 주변 사람들이 이런저런 악기를 취미로 배울 때에도 별다른 흥미나 관심을 못 느꼈다. 그랬던 내가 처음으로 악기 연주에 관심을 가지게 한 사람이 <아무튼, 리코더>의 저자 황선우 작가다. 황선우 작가는 음악가도, 음악 전공자도 아니다. 영문과 출신에 잡지 에디터를 거쳐 작가, 팟캐스트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는 그에게 오랫동안 음악은 듣는 것이지 직접 연주하는 것, 만드는 것이 아니었다. 그러다 2017년 크리스마스에 동거인 김하나 작가에게 리코더를 선물 받고 팬데믹 기간 동안 본격적으로 연습하면서 그의 음악 생활이 달라졌다.


황선우 작가의 책 <아무튼, 리코더>에는 그가 리코더를 불게 된 계기와 리코더로 인해 달라진 일상, 새롭게 발견한 세상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처음에는 팬데믹 때문에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심심함을 달래려고 황선우 작가는 리코더를, 김하나 작가는 우쿨렐레를 연주하며 놀았다. 그러다 인스타그램 라이브 기능을 켜고 연주하면서 '서울사이버음악대(서사음)'이 탄생했고, 점점 북토크나 동네서점 이벤트에 불려 다니게 되었다. 최근에는 여둘톡 3주년 행사에서 800명을 대상으로 연주를 선보였다. 여기까지는 황선우 작가의 팬이자 여둘톡 애청자로서 익히 알고 있던 사실인데, 리코더 실력 향상을 위해 따로 수업도 받고 한 번의 연주를 위해 백 번을 채울 정도로 연습하신 줄은 몰랐다. 역시 대단...!


리코더를 불기 시작하면서 리코더를 불기 전에는 상상도 못 했던 일들을 경험하게 되는 모습도 흥미로웠지만, 자기 자신에게 있는 줄도 몰랐던 재능을 발견하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저자에게는 음과 음 사이의 거리와 관계로 계이름을 파악하는 능력, 즉 '상대음감'이 있다. 리코더를 본격적으로 불기 전에는 자신에게 이런 재능이 있는지도 몰랐고, 있다 한들 쓸 데도 없었다. 저자가 리코더를 통해 있는지도 몰랐던 재능을 발견한 것처럼, 어쩌면 나도 뭔가 새로운 걸 해보면 숨어 있던 재능을 찾게 될지도...?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에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못해도 즐거운 게 무엇인지부터 곰곰이 생각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