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과 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 수록,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ㅣ 문지 에크리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5년 4월
평점 :

예약해서 샀는데 초판 3쇄다. 빠르게 주문했다고 생각했는데 1쇄가 아니라니. 1쇄 받으신 분들 부럽고요... 어젯밤에 도착한 책을 오늘 오전에 읽었다. 두께는 얇지만 단숨에 후루룩 읽을 만한 내용이 아니고 시간을 들여서 찬찬히 읽어보면 좋을 내용이라서 앞으로 여러 번 정독하게 될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 여행 갈 때 가지고 가고 싶은 책이라고 생각했다. 공항에서 글 한 편, 숙소에서 시 한 줄, 이런 식으로 읽으면 좋을 듯. 그런 날이 언제쯤 오려나.
전체 내용이 궁금해서 책을 빠르게 훑다가 눈길이 멈춘 대목은 한강 작가님의 하루 루틴이다. 글 제목이 <출간 후에>이고 글 내용 중에 <작별하지 않는다>가 여러 번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작별하지 않는다> 출간 후에 지키신 루틴인 듯하다.
"매일 시집과 소설을 한 권씩 읽는다, 문장들의 밀도로 다시 충전되려고.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과 걷기를 하루에 두 시간씩 한다, 다시 책상 앞에 오래 앉아 있을 수 있게." (44쪽)
아무리 전업 작가라고 해도 매일 시집과 소설을 한 권씩 읽으신다니 너무 대단하다. 문장들의 밀도로 다시 '충전'되는 기분. 내가 책을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과 걷기를 하루에 '두 시간씩' 하신다는 것도 놀랍다. 소설도 안 쓰면서 운동량은 훨씬 적은 나... 반성한다. 이 시절 "언젠가 가보고 싶었던 선유도공원의 폐허 같은 구조물들과 초록 숲 사이를 걷다 돌아오기도 했다"라고 쓰셨는데(43쪽) 나도 가봐야지. "폐허 같은 구조물"이 어떤 건지 궁금하다.
다음 글에는 <작별하지 않는다>를 쓰는 동안에 지키려고 노력하신 루틴이 나온다.
1. 아침 5시 30분에 일어나 가장 맑은 정신으로 전날까지 쓴 소설의 다음을 이어 쓰기.
2. 당시 살던 집 근처의 천변을 하루 한 번 이상 걷기.
3. 보통 녹차 잎을 우리는 찻주전자에 홍차 잎을 우린 다음 책상으로 돌아갈 때마다 한 잔씩만 마시기. (61쪽)
"늘 성공했던 것은 아니다."라는 단서를 달기는 했지만, 앞의 루틴에서 '읽기'가 '쓰기'로 바뀐 것 외에는 큰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매일의 중심 활동이 읽기이든 쓰기이든 간에 그러한 활동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몸을 움직이는 시간을 가진다는 점이 본받을 만하다. 커피가 아닌 '홍차'를 드신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홍차도 종류가 많은데 어떤 홍차 드시는지 궁금하고요... 나도 이제 슬슬 커피 줄이자(라고 맨날 말만 하면서 오늘 벌써 두 잔째의 커피를 마신 나. 반성한다...).
루틴 이야기가 (나에게) 워낙 인상적이라서 루틴 이야기를 길게 썼지만 루틴 이야기만 있는 건 아니고, 2024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과 미발표 시, 산문, 정원 일기 등도 실려 있다. 각각 다른 시기에 다른 목적으로 쓴 다른 형태의 글(들)인데, 책 전체로 보면 이사를 앞두고 그동안 자신이 쓴 시들을 모아서 손수 시집을 엮을 정도로 글쓰기를 좋아했던 아홉 살 여자아이가 그 후에도 열심히 소설과 시, 산문을 써서 마흔 여덟 살에 처음으로 자기 명의의 집을 사고, 그 집에 딸린 작은 정원을 기쁜 마음으로 가꾸는 '전개'가 소설처럼도 읽히고 영화처럼도 보인다.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