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이 분다, 가라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제13회 동리문학상 수상작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2010년에 나온 이 소설을 2016년에 처음 읽고 2025년에 다시 읽었다. 처음 이 소설을 읽고 쓴 리뷰를 찾아 보니 그 때의 나는 일 년 전 사고로 친구를 잃은 이정희가 친구의 명예를 지켜주려고 애쓰는 이야기로 읽은 것 같다. 이번에 이 소설을 다시 읽으면서는 이정희와 친구 서인주의 관계가 그저 친구이기만 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정희와 인주는 분명 친구였다. 그것도 아주 오랜. 중학생 때 처음 만난 두 사람은 성격도 취향도 많이 달랐지만 그 덕분인지 금세 친구가 되었다. 당시 정희 아버지는 일을 안하고 어머니는 식당 일 때문에 바빠서 정희는 집에 있기가 불편했다. 그래서 자주 인주네 집에 놀러 갔는데, 인주네 집에는 화가인 외삼촌이 있었다. 여느 남자들과 달리 인상이 유순한 외삼촌이 그림 그리는 모습을 지켜보던 정희는 곧 그림에 흥미를 느끼고 외삼촌에게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림보다는 운동에 소질이 있었던 인주는 정희와 외삼촌이 그림을 매개로 급속도로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고 묘한 감정을 느낀다.
몇 년 후 외삼촌은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그 충격으로 인해 정희는 그림을 그만두고 영문과에 진학한다. 화가가 된 것은 오히려 인주인데, 미술 전공자도 아니면서 독학으로 미술을 배우고 미술 학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나 일 년 전 미시령에서 죽었다. 그 때까지 정희은 인주가 사고로 죽었다고 믿었는데, 인주가 함께 미시령에 가자고 했을 때의 어조가 죽으러 가는 사람의 어조가 아니기도 했고, 무엇보다 인주에게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주를 잘 안다고 주장하는 미술평론가 강석원이 조만간 출간할 인주의 평전에 인주가 자살했다고 쓸 예정임을 알게 되면서 정희의 믿음이 위협받기 시작한다.
정희는 강석원의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 강석원 몰래 강석원이 소유하고 있는 인주의 그림을 보러 가기도 하고, 인주의 죽기 전 행적이나 생전에 인주가 만난 사람들을 찾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정희는 인주의 오랜 친구인 자신조차 인주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았다는 걸 깨닫고, 좀 더 일찍 인주의 삶을 들여다보지 못한 것을 반성한다. 자신과 인주 그리고 외삼촌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본다. 정희에게 인주는 친구였고 외삼촌은 첫사랑이었다. 외삼촌에게 정희는 조카였고 인주는 조카의 친구이자 (아마도 첫)사랑이었다. 그렇다면 인주에게는 어땠을까. 인주에게도 정희는 그저 친구, 외삼촌은 그저 외삼촌이었을까. 그저 친구, 그저 외삼촌이었다면 인주는 왜 외삼촌이 죽고 정희가 그림을 그만둔 후에도 혼자서 계속 그림을 그렸을까. 그것도 외삼촌의 작업을 연상시키는 그림을.
인주가 어떤 마음으로 정희와 외삼촌을 바라보고 어떤 심정으로 그림을 그려 왔는지는 끝까지 알 수 없다. 다만 정희는 인주의 사인을 밝혀냄으로써 인주가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제부터는 인주의 친구로서가 아니라 인주를 기억하는 사람으로서. 인주의 몫이었던 삶을 살기로 한다. 정희가 인주 몫의 삶을 살듯이, 인주는 외삼촌 또는 정희 몫의 삶을 살았다. 죽은 사람 몫의 삶을 대신 산다는 모티프는 한강 작가가 이 소설 이후에 발표한 <소년이 온다>에도 나온다. 타인 몫의 삶을 대신 산다는 것은 사랑인가 흠모인가 연대인가 속죄인가. 하나로 단정하기가 나로서는 아직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