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 셸터 - 2023 부커상 인터내셔널 수상작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가리아 출신 작가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의 소설 <타임 셸터>는 2023 인터내셔널 부커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이 소설은 한 남성이 과거의 기억 속에서 살아가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위해 그들이 기억하는 과거를 완벽하게 재현한 공간을 제공하는 클리닉을 고안하면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 2020년대에 80대인 노인이 알츠하이머병에 걸려서 자신이 아직 청년이었던 1940년대의 기억만을 가지게 된다면, 그에게 낯선 2020년대에 살게 하는 대신 그에게 친숙한 1940년대를 재현한 공간에 살게 해 여생을 보다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클리닉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자 일반인들도 자신들이 선호하는 과거에 살고 싶다는 의사를 표하고, 급기야 전 세계적으로 나라 전체가 돌아가고 싶은 시대를 국민투표로 정해서 회귀하는 현상이 벌어지게 된다. 이 책에는 작가가 살고 있는 유럽에 한정해 각 나라의 국민들이 어느 시대를 가장 좋다고 생각할지 가정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만약 아시아에서 같은 주제로 국민투표를 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졌다. 일본은 경제 성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1980년대일 것 같고, 한국은 문민정부 출범 이후부터 외환위기 직전까지 아니면 2002년 한일 월드컵 전후가 아닐까.


이 소설은 사람들이 좋은 시절은 이미 지나갔다(과거에 있다)고 생각하는 걸 전제하는데 원래 이렇게 변화를 두려워하고 익숙한 걸 추구하는 생각 자체가 보수주의의 근간이다. 반대로 진보주의자들은 좋은 시절은 아직 오지 않았다(미래에 있다)고 생각하고 변화에 포용적인데, 이 소설에는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상황을 가정하지는 않는다. 아무래도 작가 자신이 살고 있는 유럽이라는 지역 자체가 현재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새로운 흐름이 출현할 가능성이 적고, 좋았던 과거로 돌아가자는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사회의 보수화, 우경화 경향에 더 관심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어디 유럽만의 문제일까. 현재 한국에서 일어나는 상황(계엄령을 계몽령이라고 부르지 않나, 이승만, 박정희를 찬양하지 않나)을 보면 우리가 이미 경험한 세상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대신 예측 가능하고 애써 변화할 필요 없는 과거에 머무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한국에도 많은 것 같다. 그렇다면 계엄령에 찬성하는 사람, 이승만, 박정희 시대가 더 좋았다고 말하는 사람들끼리 모여 사는 타임 셸터가 생기면 어떨까(이미 어떤 지역들에 끼리끼리 모여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이걸로 누가 소설 써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