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천사 오늘의 젊은 작가 44
이희주 지음 / 민음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천사>는 <성소년>, <마유미>에 이어 세 번째로 읽은 이희주 작가의 소설이다. 이희주 작가의 대표작 <성소년>은 아름다운 소년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그를 납치한 네 여자의 이야기를 그린 미스터리 스릴러 풍의 소설인데, <나의 천사> 역시 소설의 중심에 아름다운 소년이 있다.

 

이 소설은 크게 세 갈래로 진행된다. 하나는 유미, 환희, 미리내의 이야기이다. 인간과 연애하고 결혼하기보다 절대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로봇 '천사'를 구매하는 것이 보편적인 시대. 인간 엄마와 인간 아빠 사이에서 태어난 열세 살 소녀 유미는 아름답지 않은 자연인 부모를 두었다는 사실을 수치스럽게 생각한다. 어느 날 유미의 친구 환희가 천사 중에서도 진짜 천사로 칭송받는 '자비천사'를 동네에서 보았다고 말하고, 유미, 환희, 미리내는 다같이 자비천사를 보러 간다. 자비천사가 산다고 알려진 아파트 안을 돌아다니던 세 사람은 그곳에서 자비천사가 아닌 같은 반 남자아이 이오를 만난다. 환희와 미리내는 실망하지만, 전부터 이오를 내심 좋아했던 유미는 마음이 설렌다.


다른 하나는 전직 형사 민성기의 이야기이다. 퇴직 후 천사를 폐기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부처(butcher)가 된 민성기는 수많은 '천사'들을 만든 불세출의 디자이너 '선우판석'이 장미 저택에 남긴 천사들을 폐기하는 일을 의뢰 받는다. 민성기는 프로답게 일을 처리하지만, 속으로는 젊고 아름다운 소년들을 성적으로 착취한 후 그들이 조금이라도 나이가 들고 추해 보이면 방치하거나 폐기한 선우판석의 행위에 혐오감을 느낀다. 그러나 그 자신도 죽은 아내와 똑같이 생긴 천사를 주문 제작한 후 천사와 아내를 비교하며 천사를 증오하고 자신은 여전히 아내를 사랑한다고 믿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혐오는 모순적이다. 


마지막 하나는 천사를 만드는 공장에서 일하는 윤조의 이야기이다. 하루 여덟 시간을 공장에서 일하고 공장에 딸린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단조로운 일상을 보내고 있던 윤조는 자신과 다른 파트에서 일하는 남성 직원과 함께 밥을 지어 먹으면서 친밀감을 느낀다. 어느 날 동료로부터 그 남성 직원이 부품을 몰래 빼돌리고 있다는 소문을 들은 윤조는 그 소문이 사실임을 확인한다. 대체 이 남성 직원은 왜 부품을 몰래 빼돌리고 있는 걸까.


이야기는 크게 새 갈래이지만, 유미, 환희, 미리내의 이야기 비중이 다른 두 이야기의 비중에 비해 훨씬 크다. 유미, 환희, 미리내는 각각 청소업자, 전업주부, 배우가 되어 전혀 다른 결의 삶을 살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환희와 미리내가 오랜만에 함께 식사를 하고, 둘 사이의 해묵은 애증의 실체가 드러난다. 유미는 의뢰받은 집을 청소하다가 우연히 이오와 꼭 닮은 천사를 발견하고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간다.


인상적이었던 점은 천사가 처음 등장했을 때만해도 절대적인 미를 추구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미의 기준이 다양해지고 급기야 천사보다 인간이 낫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도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는 천사의 공급량이 늘면서 아름다움이 흔해지자 아름다움의 가치가 낮아지고 반대로 아름답지 않은 것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결과다. 결국 우리가 지금은 당연하다고 믿는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나 신봉도 언젠가는 한계에 달할 것이고, 어차피 모든 것에 끝이 있다면 자신에게 정말 소중한 걸 추구하는 게 낫지 않을까. 그게 역시 아름다움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