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일은 없고요?
이주란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향을 떠나 서울에 있는 회사에 취직해 힘든 나날을 보내던 수연은 세들어 살던 다가구 주택에 불이 난 것을 핑계로 회사에 사직서를 내고 엄마가 살고 있는 도시로 간다. 고향도 아니고 연고도 없는 그곳에서 식당을 운영하며 살고 있는 엄마는 수연에게 자신이 밥을 해주는 공장의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일을 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한다. 그렇게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때로는 식당 일을 거들고 심부름을 하면서 일상을 보내던 수연은 일 문제로 상의하기 위해 서울에 와 달라는 연락을 받고 고민에 빠진다. 


이주란 작가의 세 번째 소설집 <별일은 없고요?>에는 일견 별일 없이 살고 있는 듯 보이는 사람들의 일상이 그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의 속내를 찬찬히 들여다 보면 별일이 없지 않다. 표제작 <별일은 없고요?>의 수연은 고독한 타향 살이와 회사 생활로 인해 심신이 모두 지친 상태다. <사람들은>의 두 은영은 어머니와 사별하고 깊은 상실감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어른>의 '나'는 유일한 가족이었던 할머니를 여의고 슬픔에 빠진 상태에서 혈연도 아닌 아줌마로부터 깊은 위로를 받는다. <여름밤>의 상은은 고단한 시절을 함께 지나온 친구들이 하나둘 사라지거나 떠나는 것을 지켜보며 쓸쓸해 한다.


이 소설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위해>이다. 할아버지, 할머니와 셋이서 살았던 수현은 '조용히 살라'는 할머니의 당부에 따라 자신의 욕망을 억압하고 표현을 자제하며 자랐다. 하루 세 끼를 제대로 먹어본 적이 없을 만큼 가난했던 수현은 어른이 되고 스스로 돈을 벌게 되면서 점차 형편이 나아졌다. 그러던 어느 날 수현은 옆집 아이 유리가 어린 시절의 자신처럼 보여서 도움의 손길을 건넨다. 처음에는 도움을 거부했던 유리가 점점 수현에게 마음의 문을 열면서 둘만의 특별한 하루를 보내게 되는 과정이 감동적이었다.


이어지는 단편 <이 세상 사람>은 가정 폭력 피해자인 '나'가 캠핑장에 갔다가 어떤 장면을 목격하면서 경험하는 감정을 그린다. <서울의 저녁>은 예전에는 한 집에서 같이 살았지만 이제는 더는 볼 수 없는 친구를 그리워 하는 내용이고, <파주에 있는>은 남편이 죽은 후 대학 후배의 집에서 지내는 현경이 첫사랑의 메일을 받고 재회하는 과정을 그린다. 어느 단편도 서사가 분명하지 않고 모호한 편이지만, 대체로 이별 또는 상실이 원인으로 제시되며, 재회 또는 귀향으로 과정이 전개되며, 공감 또는 회복으로 결말이 난다. 어떻게 보면 심심하고 뻔한데 왠지 모르게 좋고, 계속 따라 읽게 되는 매력은 분명히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