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울지 않는 밤
김이설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 외곽에 위치한 모델하우스 분양대행사무소에서 근무하는 '나'는 동료 직원들로부터 공공연하게 따돌림을 당한다. 따돌림의 이유는 '나'가 소장의 처제이기 때문인데, 단순히 소장의 친인척이라서가 아니라 소장이 직원들을 대하는 태도 때문이라는 걸 어렴풋이 알고 있어서 뭐라도 항변도 못하는 상황이다. 이 와중에 업무상 사무소를 드나드는 서형찬이라는 남자가 '나'에게 친근한 태도를 보인다. '나'는 서형찬에게 틱틱거리면서도 점점 호감을 느끼는데, 그러다 서형찬이 부러 밝히지 않았던 어떤 진실을 알게 되면서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하게 된다. 


2023년에 출간된 소설가 김이설의 소설집 <누구도 울지 않는 밤>에는 총 열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일견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사는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대부분의 단편들이 죽음 전후를 그리는 것이 인상적이다. 먼저 소개한 <모면> 정도가 예외적이고, 이어서 등장하는 <내일의 징후>는 4년 동거한 커플이 헤어지는 장면으로 시작해 등장 인물 중 한 명이 죽임을 당하면서 끝나고, <축문>은 1년 전 세상을 떠난 아내를 그리워 하는 남편과 그들의 두 딸 이야기를 그린다. <환기의 계절>은 오래 전 가족을 떠난 아버지가 죽음을 앞두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면서 생기는 일들을 담고 있다.


자매도 많이 나온다. <모면>을 비롯해 <축문>, <환기의 계절>, <치유정원에서>에 나오는 자매들은 같은 사건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며 갈등을 빚고 (아마도) 결국 화해에 이른다. 이 책에 실린 단편 대부분이 밝고 즐거운 분위기는 아니지만, 그중에서도 <반 뗀 라 지?>는 내용이 상당히 어둡다. 베트남에서 시집 온 엄마와 한국인 아빠를 둔 두연은 한 집에 사는 고모의 아들 지혁에게 지속적인 학대와 성폭행을 당한다. 피해와 고통을 호소해도 2차 가해를 당할 뿐이다. 한국 사회의 그늘진 곳까지 꼼꼼하고 세심하게 시선을 드리우는 작가의 태도가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