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 드는 밤의 궁궐 기담 궁궐 기담
현찬양 지음 / 엘릭시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궁에서 사는 사람은 왕족만이 아니다. 적어도 조선 시대에는 왕족을 보필하는 수많은 하인들도 왕족과 함께 궁에서 살았다. 그중에는 어릴 때 궁에 들어와 궁중 여인들의 시중과 잡일을 도맡아 하는 궁녀들도 있다. 현찬양 작가의 소설 <잠 못 드는 밤의 궁궐 기담>은 바로 이런 궁녀들 사이에 오가는 기담으로부터 출발한다.


왕비가 머무는 교태전 소속의 궁녀 백희는 같은 궁녀인 노아에게 나이가 몇인데 세숫물 하나 제대로 못 받아 온다고 지청구를 듣는다. 그럴 만한 게 백희는 원래 남부럽지 않은 가문의 딸이었는데, 오빠가 알 수 없는 병에 걸리면서 부모가 가산을 탕진하고 종국에는 집안 전체가 몰락하면서 고아 신세가 되는 바람에 궁녀가 되었다. 반면 노아는 고려 시대부터 궁녀로 살아서 말투가 할머니 같다는 뒷말을 듣기는 해도 궁녀 중에 가장 왕실 법도를 잘 알고 몸가짐도 바르다.


그런 백희와 노아에게 어느 날 반갑지만은 않은 손님 한 명이 찾아온다. 그는 바로 교태전의 주인인 중전의 딸 경안궁주다. 올해로 열세 살인 경안궁주는 궁녀들 사이에서 도는, 경복궁 자리가 원래 도깨비 집터였고 그래서 밤마다 귀신이 나타난다는 소문에 대해 질문한다. 백희와 노아는 조선의 기틀인 유교 사상에 반하는 괴력난신의 이야기를 어찌 궁주님 앞에서 할 수 있겠느냐며 거부하지만, 경안궁주는 더욱더 강하게 궁녀들을 조른다. 그렇게 시작된 이야기가 점점 더 해괴한 사건들을 부르는데...


이 소설에서 좋았던 점은 단순한 무서운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 속에 어릴 때부터 죽을 때까지 궁 안에 갇혀 살아야 했던 궁중 여인들의 희로애락이 담겨 있다는 점이다. 궁녀들만 해도 일견 비슷비슷해 보이지만 누구는 고아가 되어 살 길이 막막해 궁녀가 되었는가 하면, 누구는 양갓집 규수로서 가문을 위해 궁녀가 되었다. 궁주들 또한 왕의 총애를 받는지 안 받는지에 따라 궁중 내의 입지가 전혀 다르다. 이러한 차이와 차별로 인한 애환을 기담이라는 형태로 승화한 에피소드들이 하나같이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