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나 많은 여름이
김연수 지음 / 레제 / 2023년 6월
평점 :

이미 세상을 떠난 작가들의 작품을 읽는 것도 좋지만, 동시대를 살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을 따라 읽는 것도 좋다. 외국 작가의 작품들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는 것도 좋지만, 같은 나라에서 살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내가 속한 세계를 새롭게 보는 것 역시 좋다. 김연수 작가가 2023년에 발표한 소설집 <너무나 많은 여름이>를 읽으며 이 작가와 같은 시대, 같은 장소에 살고 있어서 운이 좋고 다행이라고 느꼈다. 그렇지 않았다면 발견하지 못했을 아름다움과 슬픔이 있기 때문이다.
짧거나 긴 소설 여러 편으로 이루어진 이 소설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글은 표제작 <너무나 많은 여름이>이다. 여러 정황상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로 보이는 이 글은 작가의 어머니와 사별한 과정을 그린다. 저자는 경북 김천의 한 제과점에서 삼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사실은 부모님이 셋째를 원하지 않았다거나, 어머니가 일본 치바 현 출신이라거나 하는 디테일이 더해지기는 했으나 김연수 작가의 이전 책들을 꾸준히 읽어온 독자라면 크게 새롭지 않을 내용인데도 읽는 내내 따뜻하고 뭉클했다. 특히 미취학 아동 시절의 저자가 각각 일터나 직장으로 떠난 식구들을 기다리며 집을 지키던 장면에 대한 묘사가 좋았다.
그런 어머니와의 이별을 준비하며 저자가 보낸 시간들에 대한 기록도 좋았다. 저자는 머릿속이 복잡할 때마다 집 근처 호수공원을 달리거나 걸으면서 현실을 잊거나 현실의 다른 면을 보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다시 보게 된 책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이다. 이 책에 따르면 "나의 소유를 줄일수록 자연은 점점 늘어난다. 무소유란 어떤 의미에서는 자연을 다 가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욕망에 대답하는 사람이 아니라 삶을 돌보는 사람이 되면서 세상 사람들이 가난이라고 말하는 것이 그에게는 풍요로운 삶이 됐다." (247쪽)
나는 이 대목이 생에 대한 집착 또한 어떤 면에서는 소유이고, 소유를 줄이면 자유를 얻을 수 있듯이 집착을 버리면 고통을 줄일 수 있다는 뜻으로 읽혔다. 다시 말해서 소중한 사람과 헤어지고 싶지 않은 마음, 영원히 살고 싶은 마음 또한 욕심이며, 그러한 마음은 가지면 가질수록 괴로울 뿐이니 괴로움에서 벗어나려면 그 마음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자신의 딸 열무의 미래를 상상하는 것으로 사별의 고통과 생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는데, 이는 저자의 또 다른 소설집 <이토록 평범한 미래>에 담긴, 미래를 긍정하는 힘으로 현재의 고통을 견디는 사람들의 모습과 이어져 있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