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 신화·거짓말·유토피아
자미라 엘 우아실.프리데만 카릭 지음, 김현정 옮김 / 원더박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는 어디에나 있다. 정치도 종교도, 문학도 과학도, 예술도 스포츠도, 본질적으로는 이야기이거나 이야기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야기는 구체적으로 인간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까. 인간들은 어떤 이야기를 선호할까. 궁금하다면 독일의 저널리스트 자미라 엘 우아실과 프리데만 카릭이 공저한 책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를 읽어보길 권한다.


이야기는 크게 두 가지 힘을 가진다. 하나는 사람들을 변화시키거나 세상을 움직이는 동인이 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을 선동하거나 불안 또는 혐오를 조장하는 것이다. 사실 이 두 가지 힘은 방향만 다를 뿐 크게 다르지 않다. 성경의 문장들이 기독교인들에게는 치유와 평화의 메시지로 읽히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인간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동물과 자원의 착취를 합리화하는 파괴의 메시지로 읽히는 것처럼, 어떤 사람의 '변화'가 누군가에게는 '선동'으로 보이고, 어떤 사람의 '동인'이 누군가에게는 '조장'으로 보일 수도 있으니 말이다. 


그러니 이야기의 힘을 이해하고 그것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최초로 시도한 사람은 아마도 신화학자 조지프 캠벨일 것이다. 조지프 캠벨은 1945년에 출간된 자신의 저서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에서 수천 개에 이르는 전 세계 신화와 전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패턴을 정리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를 다시 6가지로 정리한다. 책에 따르면 사람들은 경쟁, 탐색, 변신, 복수, 약자, 러브스토리 등의 코드가 들어 있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유난히 인기 있는 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을 떠올려 보면 이러한 코드가 하나도 빠짐 없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대표적인 예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책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목은 인간이 존재의 우연성을 견디느니 차라리 잘못된 설명을 믿는 편을 택한다는 것이다. 만사를 통제할 수 없는 인간은 그저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의 노리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스스로 아무것도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너무나 무력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인간은 스스로를 운명의 플레이어라고 '믿고' 믿음을 통해 자신에게 권능을 부여한다. 대표적인 예가 종교인데, 나는 사랑도 그렇다고 생각했다. 두 사람이 만나 서로 사랑에 빠지는 건 무수히 많은 우연이 겹쳐서 일어난 사건이자 일종의 오해 또는 착각인데, 그렇게 생각하고 싶지 않으니까 운명이니 인연이니 같은 말로 당위성을 부여하는 것 아닐까.


이야기의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인 문학의 힘에 대한 설명도 흥미로웠다. 프랑스에서 문학이 발전한 시기는 공교롭게도 프랑스에서 세계 최초로 인권 선언이 발표되고 민주주의가 급속도로 발전한 때와 일치한다. 저자들은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에 대해 당시 프랑스 국민들이 수많은 문학 작품을 열심히 읽으며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발달하고 인권 의식이 향상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거라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문학의 위기와 독서 인구의 감소는 곧 인권의 위기, 민주주의의 후퇴로 연결되는 걸까. 마음이 무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