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그것을 보았어 - 박혜진의 엔딩노트
박혜진 지음 / 난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 문장으로 유명한 소설은 많지만 마지막 문장으로 유명한 소설은 많지 않다. 마지막 문장을 이야기하면 작품 전체의 내용에 대한 스포일러가 될 수 있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기 때문일까. 12년 차 출판사 편집자이자 8년 차 문학 평론가인 박혜진의 책 <이제 그것을 보았어>는 52편의 문학 작품의 마지막 문장을 소개한다.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이런 시도를 할 수 있었던 건, 아마도 첫째로는 저자가 소개하는 문학 작품 대부분이 유명한 고전이라서 결말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거나 결말을 알아도 독서의 가치가 훼손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서 밀러 <세일즈맨의 죽음>, 마르그리트 뒤라스 <연인>, 알베르 카뮈 <이방인>, 버지니아 울프 <등대로>, 프란츠 카프카 <변신>,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의 줄거리나 결말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많아도 마지막 문장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궁금하거나 가물가물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시길.


둘째로는 마지막 문장이 가진 힘을 믿기 때문이다. 좋은 문학 작품의 마지막 문장은 이야기의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이 된다. "마지막 문장은 끝까지 읽은 사람만 그 묘미를 발견할 수 있는 광활한 세계다. 작품을 정직하게 완주한 사람만이 마지막 한 마디의 무게를 정확히 가늠할 수 있다. 그 점이 인생을 닮았다." (325쪽) 저자는 헤르만 헤세의 소설을 10대, 20대, 30대에 읽고 각각 다른 인상을 받았던 경험을 소개하며 문학 작품을 한 번 완독하는 데 그치지 말고 인생의 다양한 시기에 여러 번 다시 읽어보길 권한다. 독서의 목적은 읽은 책의 권수를 늘리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생의 경험을 더욱 폭넓게 하는 데 있다는 것을 잊지 않길 당부한다.


이 책에는 편집자인 저자가 직접 편집한 한국문학 작품들에 대한 일종의 편집 후기 같은 글도 여러 편 실려 있다. 대표적인 예가 조남주 <82년생 김지영>과 김혜진 <딸에 대하여>인데 두 작품을 비교하며 쓴 글도 흥미롭다. 문학동네 계열사인 난다에서 출간된 책이지만 (저자가 재직 중인) 민음사에서 출간된 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점도 인상적이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시리즈와 오늘의 젊은작가 시리즈를 열심히 읽어온 독자(=나)라면 참고삼아 읽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