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 나는 무엇이고 왜 존재하며 어디로 가는가?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일단 같은 문과 출신으로서 저자에게 매우 공감했다. 저자에 따르면 자신이 문과를 택한 이유는 1. 수학을 못해서, 2. 문과 과목을 좋아해서,인데 정확히 나도 그랬다. 수학을 못한다고 해도 노력으로 커버 가능한 성적이라서 문과 전공 중 상대적으로 이과에 가까운 경제학을 택했는데 (복수전공, 부전공으로 온) 수학, 통계학 전공자들을 이기기 어려웠다는 것까지도 완벽히 나의 고등학교~대학교 시절 경험과 일치한다. 이것이 문과 출신 경제학 전공자들의 보편적인 경험일까. (결국 나는 경제학에서 아주 먼 분야로 도망쳤지만...)


이 책은 그동안 역사, 정치, 경제, 글쓰기, 여행 등 인문사회 분야의 책을 주로 집필해 온 저자가 약 10년 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읽어온 과학 교양 도서들을 소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코스모스>, <이기적 유전자>, <침묵의 봄>, <엔드 오브 타임> 등 대중적으로 유명한 과학 교양 도서들을 저자는 어떻게 읽었고, 어떤 점이 흥미롭다고 생각했는지를 설명한다. 어디까지나 '문과 출신'인 저자가 읽은 과학 '도서'에 대한 서술이기 때문에, '이과 출신'의 관점과는 다를 수 있고 과학 자체에 있어 새로운 내용이 제시되는 것은 아니다.


칸트, 헤겔, 마르크스, 밀, 카뮈, 포퍼의 철학에 대해서는 무슨 말이든 할 수 있으면서 갈릴레이, 뉴턴, 다윈,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같은 과학자는 이름 말고는 아는 게 없다는 사실이 불편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그동안 문과 출신이라는 이유로 문과 중심의 공부와 독서만을 해왔던 것을 반성한다. 저자는 파인만을 인용하며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거만한 바보'가 되지 말고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정직한 바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거만한 바보가 많은 세상에선 아무도 상대방의 이론이나 철학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며 그만큼 타협과 발전의 가능성은 줄어든다. 반면 정직한 바보가 많은 세상에선 상대방의 이론이나 철학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타협과 발전의 가능성이 높다.


이 책을 집필한 동기에 대해 저자는 '인문학의 질문을 다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답한다. 저자는 과학 교양 도서를 읽으며 얻은 과학 지식을 통해 첫째로 오래 알았던 역사 이론에 대한 평가를 바꾸었고, 둘째로 난해한 책을 쓴 철학자를 존경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칸트다. 저자는 대학 시절 철학 과목 수업에서 칸트를 공부할 때 현상이니 사물 자체니 하는 용어들이 이해가 되지 않아 애를 먹었다. 그 때로부터 몇십 년이 흐른 후 양자역학을 공부하면서 칸트의 철학과 상당히 비슷하다는 걸 깨달았고, 칸트가 왜 위대한 철학자인지 납득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이 외에도 뇌의 거울신경세포를 통해 맹자의 측은지심을 새롭게 이해하고, 사회생물학을 통해 사회주의가 실패한 이유를 설명한다. 뇌 신경세포의 작동 방식을 무리하게 경제학에 접목해서 탄생한 것이 경제학의 한계생산력분배이론이라는 설명도 흥미로웠다. 문과와 이과 간에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아쉽지만, 같은 학문 안에서도 소통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는 대목도 인상적이었다. "경제학자들은 자기네끼리도 협동 연구를 잘 하지 않는다. 노동시장 연구자와 국제금융 연구자가 학문적 대화를 나누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어디 경제학만 그렇겠는가." (20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