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하다는 착각 - 왜 여성의 말에는 권위가 실리지 않는가?
메리 앤 시그하트 지음, 김진주 옮김 / 앵글북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학생이던 시절에는 반장은 남자가, 부반장은 여자가 맡는 일이 흔했다. 간혹 여자가 반장으로 뽑히면 나댄다, 드세다는 말과 함께 그 반 남자들은 뭐하냐는 조롱 섞인 핀잔이 나돌았다. 그 시절로부터 이십여 년이 흐른 지금은 학급이나 학교에서 여자 반장, 여자 회장이 뽑히는 게 별난 일이 아니지만, 정부나 기업을 비롯해 사회 전반을 보면 권위 있는 자리에 여성을 앉히는 경우가 여전히 드물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권위는 남성과 어울리는 단어이지 여성과 어울리는 단어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메리 앤 시그하트의 책 <평등하다는 착각>은 여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권위 격차'에 대해 다룬다. 예전에 비하면 훨씬 많은 수의 여성이 정부나 기업의 최고위직에 오르고, 미투 운동을 계기로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남성이 여성보다 지적이고, 전문적이고, 권위를 인정 받아 마땅한 존재라고 여긴다. 일례로 여성은 남성 작가가 쓴 책도 읽지만 남성은 여성 작가가 쓴 책을 웬만해선 읽지 않는다(만화, 영화, 드라마도 마찬가지). 여성은 아무리 뛰어난 성취를 해내도 누군가(남자)의 아내, 연인, 어머니, 딸로 호명된다. 


남녀 간 권위 격차가 가장 분명하고 빈번하게 드러나는 영역은 바로 '대화'이다. 지역과 세대를 불문하고 수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말이 남성의 말만큼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험이 있다고 했다. 사람들은 남성이 말할 때보다 여성이 말할 때 더 많이 끼어들고, 전문성에 의문을 표시하고, 제대로 귀 기울이지 않는다. 여성은 남성처럼 말하라는 조언을 듣지만, 남성은 여성처럼 말하라는 조언을 듣지 않는다. 모든 남성이 아나운서처럼 듣기 좋은 음성으로 조리 있게 말하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말을 훨씬 잘하는데도 '남성처럼 말하기'가 권장되는 것은, 아직도 남성이 기준이고 곧 권위이기 때문이다. 


딸 가진 부모들은 딸에게 공부를 열심히 해서 학점을 잘 받으면 취업을 잘 할 수 있다고 격려하지만, 실제로는 학업 성취도가 최상위권인 여성 집단이 학업 성취도가 중간 수준인 여성 집단보다 취업 시장에서 성공하기 힘들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능력과 열의를 기준으로 선발되는 반면 여성은 호감도를 기준으로 선발되며, 인사권자(주로 남성)들은 대체로 자신보다 높은 지능을 가졌고 스펙도 좋은 여성에게 호감을 가지지 않는다(200-1쪽). 유능하면서 남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외모와 성격을 지녔다면 그건 그것대로 불이익을 당할 소지가 있다. 


"여전히 일상생활에서 남성은 강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헤엄치고 여성은 강물을 거슬러 헤엄친다. 남성들은 빠르게 스쳐 지나가는 강둑 풍경을 보면서 스스로 굉장히 헤엄을 잘 친다며 기뻐한다. 그리고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려고 분투하는 여성들을 보면서 '쟤들은 왜 나만큼 빠르게 헤엄치지 못할까? 그건 분명 수영 실력이 나보다 부족하기 때문일 거야.'라고 생각한다." (27쪽) 


현실이 이러한데도, 최근에는 10대 남성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극단적인 반페미니즘 정서가 유행하고 있다. 로라 베이츠의 연구에 따르면 남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남성이 겪는 모든 문제를 페미니스트 탓으로 돌리는 식의 악질적인 여성 혐오 메시지가 끝없이 바이럴 되며 10대 남자아이들의 눈과 귀를 막고 있다. 이는 미국이나 영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여성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퇴보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