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결정짓는 7가지 힘 - 관용·동시대성·결핍·대이동·유일신·개방성·해방성
모토무라 료지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명문 와세다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저자는 학생들이 학업 성적이나 어학 실력에 비해 교양 면에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저자가 생각하는 글로벌스탠더드로서의 교양이란 '고전'과 '세계사'이다. 그중에서도 세계사는 자국의 역사는 물론 현실 정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교양이다. 


세계사를 공부하는 것이 어렵다면, 당장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 위주로 배우는 것도 괜찮다. 이를테면 대제국을 건설한 로마의 사례를 통해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 조화롭게 공존하는 방법을 배우는 식이다. 참고로 저자는 로마가 엄청난 번영을 이룰 수 있었던 비결로 '관용'을 든다. 예컨대 로마는 속주에 라틴어 사용을 강요하지 않았으며 속주의 종교와 문화, 관습 등을 인정했다. 반대로 속주에 라틴어 사용을 강제하고 속주의 종교와 문화, 관습을 억압하기 시작했을 때, 로마는 쇠퇴와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다. 


세계사를 공부하다 보면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비슷한 성격의 사건이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대표적인 예가 한과 로마다. 기원전 202년 로마는 제2차 포에니전쟁에서 대승을 거두고 지중해 패권을 장악해 제국의 초석을 다졌다. 같은 시기 중국에서는 항우와 유방이 마지막 결전인 해하전투를 벌였고, 이 전투에서 승리한 유방은 훗날 한 제국을 세웠다. 비슷한 성격의 두 사건이 같은 해에 일어난 것은 아마도 우연이겠지만, 두 사건의 공통점을 찾다 보면 그 과정에서 다양한 역사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난민 유입을 두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로 민족 대이동이 일으킬 수 있는 변화를 든다. 일례로 16세기까지 네덜란드의 국교는 가톨릭이었다. 하지만 종교 혁명의 여파로 프로테스탄트 중에서도 칼뱅파가 네덜란드로 대거 밀려들면서 가톨릭과 칼뱅파 인구 비례가 역전되었고, 네덜란드는 유럽에서도 대표적인 칼뱅파 국가가 되었다. 이런 식으로 난민 유입에 의해 종교가 바뀌거나 인구 구성이 바뀌면 사회 문화와 관습, 제도 등이 차례로 바뀔 것이다. 세계사를 배우면 이런 안목을 갖추기가 한결 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