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곤란한 감정 - 어느 내향적인 사회학도의 섬세한 감정 읽기
김신식 지음 / 프시케의숲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정글에 버려져 동물들의 손에 자란 모글리와 같은 처지가 아닌 한, 대부분의 인간은 크고 작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며 성장하고 살아간다. 사회학자 김신식의 <다소 곤란한 감정>은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감정을 사회학의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다. 저자가 연구하는 감정사회학은 이름 그대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 마음, 심리 등을 사회학의 관점에서 채집하고 분석하는 학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울과 행복, 차별과 혐오, 사랑, 공감 등의 감정을 나타낼 때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들을 사회학적으로 고찰한다. 상대가 우울감을 드러낼 때 "한때 나도 말이야"라는 말로 운을 떼며 자신도 "앓아봤다"라고 '위로'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당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우울한 사람에게 이런 말은 위로가 아니라 우울감에 대한 '평가'로 들린다. 때로는 너보다 먼저 마음을 앓은 나는 너보다 훨씬 성숙한 상태임을 공표하는, 우월감의 발로로도 여겨진다. 


'내 취향이다.' '취향 존중' 같은 말은 어떨까. 저명한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취향에 대해 이렇게 정의했다. "취향은 무엇보다도 먼저 혐오감, 다른 사람의 취향에 대한 공포감 또는 본능적인 짜증('구역질 난다')에 의해 촉발되는 불쾌감이다." (130쪽) 즉, 취향이란 본질적으로 타인의 취향에 대한 혐오감, 불쾌감을 내재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취향에 대한 지나친 고집이나 집착은 '취향 아닌 것', '취향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한 배척 또는 차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기만하다'라는 말은 어떨까. 기만은 위선과 위악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속성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어느 연예인이 기부를 하거나 선행을 했다는 소식이 들리면 다 자신을 홍보하려는 속셈이라고 비난하면서, 범죄를 저지른 연예인이 방송에 복귀해 경제적 어려움이나 가족들의 고통을 호소하면 불쌍하다며 넘어간다. 이렇게 위선보다 위악에 관대함을 베푸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서는 위선의 결과가 선, 위악의 결과가 악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좋은 글이 많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