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라는 이상한 나라 - 꾸준한 행복과 자존감을 찾아가는 심리 여행
송형석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1월
평점 :

'내 마음 나도 모르겠어!' 다른 사람도 아니고 내 마음인데, 이따금 나조차 내 마음을 이해하기 힘든 이유는 뭘까.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인물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나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방법은 없을까.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고 이해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이 책 <나라는 이상한 나라>를 읽어보면 어떨까. <무한도전>, <마이 리틀 텔레비전>, <김제동의 톡투유> 등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대중들과 꾸준히 소통해 온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송형석이 쓴 이 책은 저자의 전작인 <위험한 심리학>, <위험한 관계학>을 잇는 일종의 3부작이다.
다중지능 이론에 따르면 자기 내면을 관찰하고 파악하는 것은 '내적 성찰 능력'이라는 이름의 지능의 일종이다. 이 지능이 좋을수록 마음의 형태나 형성 과정을 시각 정보나 은유적인 이야기로 이해하는 것이 쉽고, 자신의 능력과 장단점을 정확히 이해한다. 반대로 이 지능이 좋지 않을수록 자기 내면에 관심이 없고, 자기 내면에 관심이 없는 만큼 자신이 뭘 원하는지 정확히 모른 채 삶의 액셀을 더욱 세차게 밟는다. 내적 성찰 능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일기 쓰기가 있고, 전문적인 방식으로는 꿈 분석, 그림 분석 등이 있고,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내 소지품 생각해보기,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 나열해보기, 내가 계속 숨기는 것이 무엇인지 추리해보기 등이 있다.
자기 내면을 들여다볼 때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은 '방어 기제'다. 자기 자신이 방어를 하거나 저항하는 포인트를 알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사소한 감정들에 예민해질 필요가 있다. 타인과 대화할 때 약간 말하기 불편한 주제, 대화하기 어색한 주제, 상대의 놀림에 순간 발끈하는 지점 등이 자신의 콤플렉스일 가능성이 높다. 자신이 세워놓은 방어벽을 무너뜨리려면 자기 논리의 파괴가 일어나야 한다. 자기가 믿고 있는 불변의 진리조차 틀릴 수 있다고 생각하고, 끊임없이 "왜?"라고 질문하며 의심하고 따져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심리 상담은 결국 한 사람의 내면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집요하게 질문하는 것이며, 이는 과학적 사고나 인문학적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익히고 있는 사고방식이기도 하다.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기가 절대적으로 옳다는 믿음을 걷어내고 나면 타인을 증오하거나 혐오하는 마음도 줄어든다. 세상에 절대적으로 옳은 사람은 없고, 누구나 틀릴 수 있고 어떤 부분은 모를 수 있다는 걸 인정할 때, 마음은 한결 너그러워지고 인간관계도 훨씬 편해진다. 이 책의 후반부에는 인간의 무의식을 이해하기 위한 꿈 분석 사례가 나온다. 자신의 의식과 무의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독자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