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역사 - History of Writing History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랫동안 역사를 배웠지만 '역사의 역사'에 관해 생각해본 적은 드물다.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 한국과 외국의 역사 서술을 비교, 대조해본 적은 더더욱 없다. 누군가가 떠먹여주는 역사를 그저 삼키는 데 급급했다. 내가 뭘 삼키고 있는지 알지 못했고, 알려고 하지 않았다. 


이 책은 일종의 '서평집'이다.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사마천, 이븐 할둔, 랑케, 마르크스, 박은식, 신채호, 백남운, 에드워드 H. 카, 슈펭글러, 토인비, 헌팅턴, 제러드 다이아몬드, 유발 하라리 등 동서고금의 주요 역사가들이 남긴 저작을 저자가 직접 읽고 생각한 바를 적었다. 대한민국에서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은 사람이라면 박은식, 신채호, 백남운을 알 것이다. 서양사를 공부한 사람이라면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동양사를 공부한 사람이라면 사마천을 알 것이고, 역사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랑케, 카, 토인비, 정치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헌팅턴, 슈펭글러 등이 익숙할 것이다. 책 좀 읽는다 하는 사람이라면 다이아몬드와 하라리가 가깝게 느껴질 것이다. 이들의 사상을 각각 따로 정리한 책은 많지만, 한 권의 책으로 연표를 만들고 좌표를 그린 경우는 이 책이 유일하지 않을까 싶다. 


이 중에 대다수의 독자들에게 가장 낯선 이름은 단연 이븐 할둔(1332~1406)일 것이다. 이븐 할둔은 문명을 환경의 산물로 간주하고 세계를 일곱 기후대로 나누어 환경과 문명의 관계를 살피면서 인류사를 썼다. 그의 책 <역사서설>은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보다도 앞서 '인류사' 또는 '빅 히스토리(big history)'를 다룬 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역사서설>은 7세기에 탄생한 이슬람 문명과 아랍 사회의 현황 및 특징을 기록한 책으로도 가치가 상당한데, 안타깝게도 지식의 전파를 제한하는 이슬람 세계의 관습으로 인해 19세기 들어서야 외부에 알려지고 번역, 출판되었다.


역사를 배우기도 벅찬데 '역사의 역사'까지 배워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의 답은 이렇다. "사실은 과거의 것이고 역사가는 현재에 산다. 과거의 사실 가운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을 선택하는 기준과 그 사실들을 일정한 관계로 맺어 주는 해석의 관점은 역사가를 둘러싼 현재의 환경, 역사가의 경험, 역사가의 이념과 개인적 기질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된다." 먼 미래의 후손이 한국 현대사에 관한 글을 쓴다면 그 내용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변수는 어느 신문이냐는 것이다. 예컨대 <조선일보>인가 <한겨레>인가에 따라 박정희 대통령은 '위대한 영도자'가 되거나 '방탕한 독재자'가 된다. (231쪽 인용) 


'역사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나아가 인간과 인류를 이해하는 것이다. "14세기 이슬람 문명과 중국 문명은 만나지 않았다. (중략) 그런데도 두 문명의 지식인들은 국가 권력의 존재 의미, 군주와 백성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서 거의 동일한 윤리적 규범을 만들어냈다." (113쪽), "민족주의자든 아나키스트든 마르크스주의자든, 식민지 시대 지식인들이 쓴 역사를 읽으면 가슴이 아리다. 그들이 살았던 사회적 환경과 오늘 내가 살아가는 세상이 같지 않은데도 이러는 이유가 무엇일까." (213쪽) 지리와 기후도 다르고, 정치 체제와 경제 수준도 다른 나라들이 비슷한 사회 관습과 윤리 규범을 공유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으로 볼 수 있다. 타고난 시공간이 다르고 정치 성향이 다른데도 역사가가 서술한 역사를 읽으면 그들의 심정에 공감하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것 또한 인류의 생래적 기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저자는 후기에 이 책을 가리켜 '잠시 가이드의 설명을 듣고 인증 사진을 찍는 패키지여행과 비슷하다'라고 썼다. 패키지여행도 가이드의 실력과 내공에 따라 여행의 질이 천차만별인데, 이 책은 가이드가 좋아서 그런지 패키지여행이라도 웬만한 자유여행보다 알차고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