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머니의 나라 - 오래된 미래에서 페미니스트의 안식처를 찾다
추 와이홍 지음, 이민경 옮김 / 흐름출판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싱가포르의 잘 나가는 변호사 추와이홍은 중국 대륙을 여행하다가 윈난성에 있는 모쒀족 거주 지역을 방문한다. '여신이 다스리는 어머니의 나라'라는 소개에 호기심을 느낀 추와이홍은 전설에나 존재하는 줄 알았던 모계사회가 이곳에 존재하는 걸 알고 흥분한다. 그 후로 추와이홍은 일 년에 몇 번씩 모쒀족 거주 지역을 찾다가 이제는 아예 그곳에 집을 짓고 일 년의 절반을 살고 있다.
'돈도 명예도 다 가진 나인데, 현대식 화장실조차 없는 모쒀족의 나라가 왜 이렇게 편안할까.'
저자는 모쒀족이 '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모계사회'라는 점이 그 이유라는 걸 깨닫는다. 모쒀족은 가부장제가 아닌 가모장제 사회다. 한 집안의 대는 할머니(가부장제 사회의 외할머니)에게서 어머니, 딸로 이어진다. 집안에 아버지는 없고 외삼촌이 아버지 역할을 대신한다. 가부장제 사회에선 아들이 태어나면 기뻐하고 딸이 태어나면 실망하지만, 모쒀족 사회에선 아들이 태어나면 기뻐하고 딸이 태어나면 더 기뻐한다. 모쒀족 여성은 생명을 잉태하고 출산하는 귀한 존재로 대접받기 때문에 살생을 하지 않고 부엌에 드나들지 않으며 고되고 위험한 일을 하지 않는다. 모쒀족 남성은 여성을 즐겁게 하기 위해 몸단장을 부지런히 하고 노래와 춤 실력을 가다듬는다.
저자는 불과 십여 년 전까지 잘 유지되었던 모쒀족 사회가, 중앙 권력이 침투되고 자본주의 물결이 밀려들면서 위협받고 망가지는 모습까지 가감 없이 서술한다. 중국 정부는 모쒀족에게 결혼 제도와 일부일처제를 강요한다. 모쒀족 남녀가 다른 지역에서 일자리를 구하면 같은 일을 해도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급료를 받기 때문에 남성의 발언권이 높아지고 여성의 발언권이 낮아진다.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가부장제와 일부일처제 등을 접한 젊은 사람들은 모쒀족 문화가 별나고 이상하다고 여긴다. 진정 '별나고 이상한' 건 이쪽 사회인데. 안타까워하는 저자의 마음이 충분히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