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 입이 트이는 페미니즘
이민경 지음 / 봄알람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자서 고구마를 퍼먹고 있었을 페미니스트를 위한 책.

속시원한 글이지만, 이미 여성의 불평등함을 인지하고 이런 저런 노력을 기울여온 사람에게는 너무 쉬운 책이랄수 있다.

책이 오자마자 읽어버렸는데, 이 문제에 관심없고 관계 조차 가져보려 하지 않던 사람이라면 속도는 차이가 날수도 있고...

서론이 책의 2/3 쯤 되는 것 같고, 본론 조차 큰 도움?은 안되지만, 많이 읽혔으면 좋을 책임은 인정.

내가 얼마나 괴로운지 나한테 말하지 말고, 강에 가서 말하라 - 황인숙 <강> 중.

맨스플레인이나 역차별, 군대 이야기로 주도권을 잡으려는 남자들에게 활용할 만한 가장 신박한(내 기준에..) 언어로 저 시를 꼽겠다.

맺음말에 `끝까지 오셨네요. 당신은 사실 이 책을 읽지 않아도 됐을텐데 고생 많으셨습니다.` 라는 구절을 보니

아.. 니맘이 곧 내맘이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2016. Aug.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6-08-11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저도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을 읽기로 선택한 사람은 어차피 이 책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 책을 정작 읽어야 할 사람들은 읽을 생각도 안하고요.
얼마전 경향신문 기사 보니까 페미니즘 책을 가장 많이 사는 사람들이 20대 여성이던데, 남자들이야말로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장착해야 할 대상들인데도 공부할 생각을 않네요. 된장녀가 김치녀다 욕이나 해대고... 페미니즘 공부하면 그런 말 하는게 얼마나 무식한 짓인지 알텐데요..

hellas 2016-08-11 16:41   좋아요 0 | URL
페미니즘에 관한 책이 가진 문제점이랄까. 여타 다른 분야는 무지한? 사람들이 읽든 안읽든 그 자체로는 서로에게 아무런 단점이 없지만. 이 분야에선 아무래도 읽고 관심가진 사람만이 더 북북 속을 끓이게 되죠. 어차피 편향적인 제 인간관계안에선 남녀모두 관심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아무래도 그건 제 성향에 따른 관계니까. ㅡㅡ 서글픕니다. 어디 광장에 나가서 소리라도 질러야하는지... 그 역시 무의미일지라도. 댓글들은.... 안보는게 답일까요 ;ㅈ;

cyrus 2016-08-11 17: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미니즘을 낯설게 느껴지는 독자에게 권할 수 있는 책이겠어요. 페미니즘은 죽을 때까지 해야 하는 공부라고 생각해서 이런 책도 읽어보고 싶고, 마음에 들면 지인에게 권하고 싶습니다. ^^

hellas 2016-08-11 17:09   좋아요 0 | URL
낯설게 느끼는 독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긴 하죠. 그래서 주변에서 권해주면 좋을것같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