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일 비비언 고닉 선집 3
비비언 고닉 지음, 김선형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읽는 것이 쓸모 있다고 생각한다는 작가의 말에는 동의.
그러나 읽을 책이 너무나 많고, 재독을 하려고 모셔놓은 책들은 그저 먼지만 쌓여가는 게 현실이지 않은지.

재독이 여러 면에서 심리 상담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점도 동의한다. 과거의 좋았던 책들, 심지어는 인생의 책이라고까지 여겼던 책들이 시간이 흘러 다시 마주했을 때 실망감과 헛헛함으로 다가오는 경험을 왕왕 했기 때문이고, 그로 인해 좋았던 책은 그냥 좋았던 책으로 남겨두는 것이 아름답지 않나 싶기 때문이다.

다시 읽어 경멸스러운 감정까지 느껴지는 후진 성인지 감수성을 마주할 때 그런 생각이 유독 든다.

그러나 읽었던 작품에서 미처 느끼지 못했던 삶의 정수를 느낄 수도 있다.
경험의 깊이가 달라서, 미처 알지 못했어서, 읽는 시점의 내면이 달라져서.... 어떤 경우든지 과거의 좋았던 책이 더 좋아지는 경험도 충분히 있었다.

작가도 그런 지점들을 이야기하고, 그 책들 안의 좋은 점을 보존하려는 마음이 느껴지는 글들이다.

역자 후기에서 말하는 '80대의 읽기가 20대의 읽기를 무화하지 않는다는 사실' 점이 와닿았다.

언급된 많은 작가들 중 엘리자베스 보엔, 엘리자베스 스텐턴이 궁금해졌다. 영미문학은 번역을 거쳐야 제대로 읽어볼 수 있다는 점이 아쉽다고 늘 생각한다.

- 문학작품에는 일관성을 갈구하는 열망과 어설프고 미숙한 것들에 형태를 부여하려는 비상한 시도가 각인되어 있어, 우리는 거기서 평화와 흥분, 안온과 위로를 얻는다. 무엇보다 독서는 머릿속 가득한 혼돈으로부터 우리를 구원하며 순수하고 온전한 안식을 허한다. 이따금, 책 읽기만이 내게 살아갈 용기를 준다는 생각이 든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그랬다. - 10

- 내 독서의 목적은 한결같이, 오로지 단 하나였다. 나는 통제할 수 없는 외부의 힘에 얽혀드는 주인공의 행보를 통해 (짜릿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는 대문자 L로 쓰인 Life, 그 삶의 압력을 느끼려고 책을 읽었다. - 13

- 손가락 말단까지 철저히 정치적 동물이었던 스탠턴은 이 사유를 여성을 위한 정치적 평등의 필요성과 연결 짓지 않을 수 없었다. 여성에게 행동 반경을 확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주어져야 한다는 주장의 논거로 그가 아는 한 가장 강력한 것은 모든 삶은 궁극적으로 고독하다는 사실이었다. 이제 그는 바로 이런 관점에서 여자들에게 시민의 권리를 허락지 않은 결과에 직접 호소한다.
인생의 사나운 풍파에서 여자들을 보호한다는 얘기는 순전히 조롱일 따름입니다. 삶의 폭풍은 남자들에게 불어치듯 여자들에게도 나침반의 전 방위에서 불어 칠 뿐만 아니라 더 치명적인 피해를 초래합니다. 남자들은 자기를 보호하며 저항하고 승리하는 훈련을 받기 때문입니다. 인간 경험에 있어선 사실이 그러합니다.(...) 부자와 빈자, 지식인과 무지렁이, 현자와 바보, 선한 자와 악한 자, 여자와 남자를 막론하고, 언제나 똑같습니다. 그 모든 영혼은 각자 혼자서 다만 자기 자신만을 믿고 의지해야 합니다. (...) 길고 따분한 행진을 각자 혼자서 해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 모두가 항상 짊어지고 살아온 고독입니다. 그것은 차디찬 얼음산보다 더 접근하기 어렵고, 한밤의 바다보다 더 심오하지요. 그것이 바로 자아의 고독입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이라 일컫는 내면의 존재는 그 어떤 인간이나 천사의 눈길, 손길로도 꿰뚫지 못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개인의 삶입니다. 나는 묻습니다. 누가 감히, 그 누가 감히 다른 인간 영혼의 권리와 의무와 책임을 대신 떠맡을 수 있단 말입니까?
유대계 미국인의 그 어떤 글도 <자아의 고독> 만큼 정곡을 꿰찌르는 자아 감각을 내게 돌려주지 못했다. 자연과 역사라는 이중의 덫에 갇힌 내 자아의 감각 말이다. 내게 그 연설문은 시처럼 읽혔다. 그만큼 존재의 본질 자체로 느껴졌다. - 145

2024.may.

#끝나지않은일 #비비언고닉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깨비 2024-05-31 1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재독을 좋아하는데 인생책이었던 책이 더이상 인생책이 아니게 되면 진짜 헛헛할 것 같아요. 얼마전 이동진님 책을 읽었는데 이동진님은 다른 이유로 재독을 안하시더라고요. 일단 지식에 대한 열망이 강하셔서 다독을 하시고 세상에 읽을 책이 넘나 많잖아요. 인간의 수명에는 한계가 있고요. 한 사람이 일생동안 읽을 수 있는 책의 양은 유한하니까 재독은 안하신다고. 저는 그래도 재독이 좋아요. 심리적 안정감 ㅎㅎㅎㅎ

2024-06-01 21:3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