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를 오랫 동안 다루다 보면, 다루지 못하는 다른 것을 만나도 그것을 다룰 수 있는 요령을 터득할 수 있는 것 같다. 요즈음 발견한 기분 좋은 이론이다.
어려서부터 암기력이 뛰어나지 않다는 걸 잘 알았다. 수학을 좋아했음에도 미적분의 그 많은 공식의 암기는 내게 힘든 일이었고 저절로 외워지는 몇 가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시험 칠 때 공식을 만들어서 쳤다. 그러니까 늘 내 암기는 80% 가량이었던 거다. 100%라는 단어를 별로 좋아하지도 않지만, (왜 100%를 다 채워야 되는지 이해를 못했다고나 할까) 100%를 제대로 할 의지가 없는 적이 많았다.
작년 봄 즈음, 갑작스런 제안으로 시작한 공부는 많이 버거웠다. 돌아서면 외울 것 투성이였다. 매번 암기한 것을 테스트를 했는데 당장 한 주 전에 외웠던 것도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하다 못한 선생님은 암기하는 방법까지 우리들에게 가르쳐주었다. 몇은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을 했는지 암기하는 시늉만 하고 바빴다는 핑계를 대며 테스트 시간을 피했다. 다른 몇은 선생님 말대로 되는지 안되는지 테스트해보지, 라는 생각 조차 없이 그저 암기력이 떨어지는 판국에 누군가가 제시한 방식을 일단 따라해보자라는 생각으로 매일 반복을 했다. 일주일이 지나고 한달이 지나고 여러 달이 지났다. 방학을 맞이한 요즈음, 양자간의 차이는 확연히 드러났다. 누군가는 기껏 외웠던 것조차 헷갈려하고, 누군가는 자신의 머리가 자각하기도 전에 입에서 술술 나와버린다. 머리보다 입이, 몸이, 먼저 반응을 하는 것이다. 방학이라고 무작정 쉬는 것이 아니라, 다음 번 공부를 위해 기존의 못다 외운 것들을 죄다 암기해놔야하기에 요즘도 매일 동물이 입으로 자신의 털을 고르는 방식처럼, 입으로 점검을 한다. 출근길에, 퇴근길에, 운동하러 나가서, 자기전에, 그리고 중간중간에.
학창 시절에도 이렇게 열심히 해보지 않은 공부를 뒤늦은 나이에 하는 것이 이상하기도 했지만 제 옷인양 이미 내 몸에 붙어버렸나보다. 요즘엔 내친 김에 평소에 해보다 매번 실패한 것들을 하나씩 건드려본다. 먼저 외국어. 조만간 어디 나갈 계획이어서 외국어가 무척 절실한 상황이다. 학원도 실패, 인강도 실패, 개인 스터디도 실패, 이것저것 죄다 실패한 경력이 있는 나는 여전히 약국에 외국인이 오면 부담스럽다. 물론 바디 랭귀지로 다 소화를 해내지만 언제까지나 그럴 순 없다. 언젠가 해외에 나갔을 때 그 나라 언어를 구사하는 것과 아닌 것의 차이를 많이 경험했다. 물건을 사는 것이나 길을 묻는 것 등이 아닌 사람이 사는 것에 관한 대화를 하고 싶었던 나는 그저 눈으로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했다. 그들의 언어로 그들의 일상사에 대해 듣고 싶었고, 그들의 언어로 나의 느낌을 이야기하며 교감을 나눠보고 싶었던 나는 (나에게는 어렵기만 한) 언어의 장벽을 절감했다. 그래도 80% 정도에서 늘 만족하는 게으른 성향 때문에 언어 구사를 못함으로 생기는 많은 아쉬움을 그냥 묻어두었다. 이번의 시도 역시 그럴 수도 있다, 라는 생각도 하지만, 실패는 두렵지 않다! 아자아자! 란 생각으로 재도전을 시작했다. 방식은 선생님에게 배웠던 방식 그대로. 계속 반복해서 듣고, 반복해서 복기하고, 반복해서 상상하고, 반복해서 이해하다보니 조금은 들리는 듯한 느낌이다. 외국 말이 걸러져 우리 말로 번역되어 들리는 것이 아니라, 외국어 자체의 느낌 그대로 단어들이 들리기 시작한다. 그러고나니 기존에 알았던 외국어 단어까지 새삼스럽게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어, 이게 이런 느낌이었어? 애플이 사과로 번역되지 않고, 애플 그 느낌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 느낌은 그러니까, 예전에 내가 '시'를 이해하던 방식과 비슷하다.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가슴으로 온전히 들어오는 그 무엇에 대해 손으로 만지듯 느껴지는 그 감각 말이다.
한동안 '시'를 들춰보지 않았는데 이제 잃어버린 그 느낌을 다시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낙원에서 쫓겨난 듯 그 감각이 이제 내게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 같았는데 먼길을 둘러서 그 감각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배운 것 같다. 공부에서 외국어로, 그리고 '시'로 넘어가는 길이 제법 반질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