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
필리프 J. 뒤부아 외 지음, 맹슬기 옮김 / 다른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조류학자이자 작가인 필리프 J. 뒤부아와 작가이자 기자인 엘리즈 루소가 함께 쓴 <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 얼마 전에 오목눈이의 사랑을 읽으며 새에 대한 관심이 많이 커졌었는데요. 오랜 시간 동안 새를 관찰하며, 새가 살아가는 모습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 에세이가 너무나 좋았네요. 카르페디엠을 떠올리게 한다는 암탉의 모래 목욕을 직접 보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로 말이죠.  

 새를 그렇게 잘 알지는 않지만, 저는 독수리를 정말 좋아하기는 했어요. 독수리의 비상이 너무나 아름답게 느껴졌고, 엄청 멋있는 새인데요. 저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독수리는 유럽의 여러 왕조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잖아요. 하지만 작가는 이렇게 물어봅니다. 특정한 새를 상징으로 삼을 때 과연 새를 잘 관찰했는지, 그리고 새가 갖고 있는 내면을 잘 들여다 보았는지 말이죠. 물론 독수리에 대한 환상을 내려놓기는 싫었지만, 생각보다 과대평가된 새라는 말을 부정할 수는 없더군요. 심지어 피라미드의 꼭대기 독수리의 불안한 식사에 대한 이야기까지 나오고요. 도리어 용맹하고 호전적인 새로 꼽히는 새는 유럽 울새였습니다.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전에 오목눈이를 봤을 때와 닮았다고 생각할 정도로 귀여운 외양을 갖고 있어요. 하지만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고, 심지어 포식자라고 할 수 있는 고양이한테도 덤빌 정도라고 해요. 그리고 금눈쇠올빼미 역시 작은 체구를 갖고 있지만 용맹한 새이고요. 진정한 전사에게 필요한 것은 빛나는 갑옷과 무기가 아니라, 용기와 자신감 그리고 의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리고 우리에게도 인생을 살아가면서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 같아요.

 피라미드의 정점에 서있는 독수리, 그들의 서열상 지배자의 입장에 선 암탉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자신의 힘을 과시하느라 도리어 정말 필요한 것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인데요. 저도 그럴 때가 꽤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다 정말 해야 하는 것들을 챙기지 못하거나, 정말 소중하게 여겨야 할 시간들을 놓치기도 하죠. 그래서 늘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과연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나의 삶에 나는 어떤 가치를 부여하고 싶은지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어민이 가장 즐겨 쓰는 영어관용표현 200
박은철 지음 / 뜨인돌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용적인 표현은 언어를 풍부하게 만들어주죠. 다만 그런 표현들은 문화적인 경험 등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단순히 암기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어민이 가장 즐겨 쓰는 영어관용표현 200>은 그러한 표현이 만들어진 이유와 활용법을 재미있는 만화와 함께 소개해주고 있어요.

 스티비 원더의 ‘You're the sunshine of my life’에 나오는 ‘You're the apple of my eyes’소중한 사람, 무엇보다 귀한 것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요. 노래 가사로 들을 때는 맥락상 그런 뜻이겠거니 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자세한 이야기를 알 수 있었어요. 이 표현은 구약성경에서 유래되었는데요. ‘apple’은 고어에서 눈동자를 뜻했다고 해요. 내 눈에 눈동자와 같은 사람이다. 그만큼 귀한 것이 있을까 싶네요. 성경에서 유래된 표현이 여럿 있었는데요. 그 중에 재미있는 관용표현 113라는 부록에서 본 것도 기억에 남습니다. ‘Rise and shine’,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역시 구약성경에서 나온 표현인데요. 아이들을 깨울 때 흔히 사용한다고 한다니 왠지 아침마다 축복을 받는 기분이 들 것 같네요.

 ‘Pass the buck’책임을 회피하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buck’은 포커게임에서 딜러가 누구인지 표시하는 물건인데요. 칼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 손잡이가 수사슴의 뿌리인 것에서 유래되었는데요. 33대 대통령 트루먼 대통령이 자신의 집무실 책상 위에 붙였다는 문구가 인상적이었어요. 'The buck stops here', 즉 모든 책임은 대통령인 자신이 지겠다는 뜻이죠. 게임에서 시작된 표현도 많았어요. ‘Monday morning quarterback’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사랑 받는 미식축구에서 경기를 조율하며 공격을 이끄는 쿼터백에서 유래된 표현인데요. 주로 일요일에 미식축구 경기가 있는데, 다음날 아침에 마치 자신이 쿼터백이 것처럼 아는 척을 한다는 표현입니다. 그러니 그 뜻은 뒷북치는 사람, 이미 다 끝난 일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비판하는 사람이겠죠.

 재미있는 관용표현한자성어와 호환 가능한 관용표현이 부록으로 나오는데요. 새옹지마, 전화위복과 같은 뜻을 가진 ‘A blessing in disguise’도 있습니다. ‘변장된 축복이라는 뜻으로 표현이 말 그대로 재미있게 느껴졌어요. 그리고 ‘It's not over until the fat lady sings’는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라는 서사 악극곡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4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16시간이 걸리는 공연을 다 봐야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는데, 뚱뚱한 소프라노가 맡는 여주인공인 브륀힐데의 아리아로 마무리한데요. 그래서 아직 끝난 것이 아니다라는 뜻의 표현으로 이런 관용어를 사용하는 것이죠. 재미있게 영어를 배울 수 있어서 너무 좋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나치게 불안한 사람들
엘렌 헨드릭센 지음, 임현경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보스턴 대학교 불안장애센터에서 임상심리학자로 활동중인 엘렌 헨드릭센의 <지나치게 불안한 사람들> 이 책의 원제는 ‘How To Be Yourself’인데요. 번역판 제목이 그러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는 뜻이라면, 원제는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해도 될 거 같아요.

이 책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사회불안입니다. 저 같은 경우도 많은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를 하려고 하면 얼굴이 붉게 상기되고, 땀이 흘러서 너무나 고민스럽게 생각하거든요. 저와 같은 문제를 가진 사람부터 또 사람들과 대화하는 와중에도 쉼 없이 긴장하고, 혹시나 말을 꺼냈을 때 집중되는 것도 부담스러운 사람, 친구가 많지 않아 고민인 사람까지 정말 다양한 부분들을 사회불안으로 볼 수 있더군요.

사회불안의 근본적인 원인인 극도의 자의식이라고 하는데, 이 표현이 정말 마음에 와닿았어요. 많은 친구들과 즐겁게 어울리는 모습을 좋게 보고, 자신은 왜 그렇지 못한지 고민하기도 하죠. 물론 그런 사람들도 있겠지만, 통계적으로 보면 그 것이 아주 평범한 상황은 아니라는 것이죠. 점점 도 작아지는 사회 그리고 나이가 들면 친구를 만들기 어려운 상황은 모두에게 놓여 있는 상황이거든요. 그렇다면 자신을 외톨이라고 혹은 나아가서 사회부적응자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기보다는, 자기 자신 혹은 자신이 만들어가고 있는 관계를 더욱 소중히 여기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아요.

제가 프레젠테이션에 너무나 스트레스를 받던 중에 들었던 말이 있었습니다. 너가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모른다라는 것이었는데요. 사실 저는 그 말을 그저 위로로만 생각했어요. 하지만 절로 기립박수를 치고 싶을 정도로 발표를 잘하시는 분이 내려오셔서 너무 떨렸다고 하는 모 습을 여러 번 보면서, 나만의 문제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점점 하게 되었지요. 그 부분에 대한 이야기도 볼 수 있었는데요. 사실 발표할 때의 저의 모습을 볼 일은 별로 없잖아요. 그런데 차분하게 있을 때와 본인이 너무나 긴장상태라고 여길 때의 모습을 녹화해서 비교해보면 딱히 큰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다고 하니 놀랍더군요. 어쩌면 모두가 호수 위의 백조처럼 노력하고 있었던 것일까요? ^^

다양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이론과 실험을 뒷받침하여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한 책이라 그런지 읽으면서 더욱 공감도 잘 되고, 이해하기 쉬운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놀라게 한 100명의 사람들 - 초등학생을 위한 초등학생을 위한 100명의 위인들
고수산나 지음, 송영훈 그림 / 소담주니어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도 많은 한계가 생기곤 하죠. 신체나 정신적 장애, 성별, 인종과 같은 그러한 벽을 뛰어넘고 세상을 변화시킨 100명의 사람들의 이야기 <초등학생을 위한 세상을 놀라게 한 100명의 사람들>

 소피 제르맹은 수학과 과학을 정말 좋아하는 소녀였어요. 하지만 여자가 공부를 하는 것, 거기다 수학과 과학을 공부하는 것은 너무나 낯선 시절이라, 부모님이 도리어 말릴 정도였죠. 그녀는 다락방에서 몰래 공부를 하다가 얼어 죽을 뻔 한 사건을 겪을 정도로 몰입한 상태였어요. 하지만 과학기술 교육의 최고 학교에서도 그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받아주지 않았어요. 그녀는 그런 것에 절대 좌절하지 않고, 교수들의 강의 공책을 얻어 홀로 공부를 했는데요. 학회에도 제대로 참여할 수 없었던 그녀였지만, 노력은 절대 배신하지 않는다고 하던가요. 결국 아카데미에서도 인정을 받게 되고, 파리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거리와 그녀의 동상이 세워질 정도라고 하네요.

어린 시절 프레더릭 밴팅은 친구가 당뇨병에 걸린 것을 알고, 친구를 위해 당뇨병 치료 약을 만드릭로 결심하죠. 의사가 되어 당뇨병 연구에 몰두하는 와중에 친구의 병은 악화되고 있었는데요. 결국 조수인 베스트와 함께 인슐린을 만들어내고, 친구를 구하는데 성공하는데요. 나중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게 되었을 때도, 조수은 베스트가 공동수상자가 되지 않은 것에 화를 내며 상금의 반을 나누어줬다고 해요. 친구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다고 하지만, 그는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존중과 사랑이 가득했던 것 같네요.

 또한 은퇴한 이후에 체스를 두며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던 해리 리버만이 일흔일곱 살의 나이에 그림을 그리고, 그리운 고향 폴란드의 모습을 그려냈다고 해요. ‘꼬리를 무는 PLUS 인물이라고 하여 연관된 인물이 소개되는 코너가 있는데요. 거기에 저도 화집과 에세이를 겸한 책을 구입한 모제스 할머니가 등장합니다. 수를 놓는 것을 좋아하던 모제스 할머니는 칠십이 넘으면서 신경통 때문에 더 이상 수를 놓을 수 없게 되는데요. 그래서 시작하게 된 그림으로 큰 사랑을 받게 되지요. 저도 가끔은 좀 늦은 나이라…’라며 새로운 일에 발을 빼곤 하는데요. 그런 저를 돌아보게 하는 이야기이기도 했습니다. 초등학생을 위한 이라고 하지만 엄마, 아빠가 함께 읽어도 함께 놀라며 만나게 될 100인이 아닌가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리게 천천히 가도 괜찮아 - 글로벌 거지 부부 X 대만 도보 여행기
박건우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사회 부적응자박건우와 일본 활동형 히키코모리미키가 만나 글로벌 거지 부부가 되어 떠난 대만 도보 여행기’, <느리게 천천히 가도 괜찮아>

두 사람은 나무를 구하기 힘든 서울에서 난로로 겨울을 버티다, 대만으로 떠납니다. 그들이 대만을 도보로 여행하기 위해 잡아놓은 하루 예산은 우리 돈으로 만원이 조금 안 되는 금액이었죠. 10Kg의 배낭을 각자 짊어지고 도교사원이나 학교 같은 곳에서 텐트를 치고 자면서, 68일간의 여행을 하는데요. ‘20번의 학교 야영, 9번의 종교 시설 숙박, 8번의 민가 초대, 7번의 카우치서핑, 1번의 민가 침입 등으로 잠자리를 해결합니다. 절체절명의 순간에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등장하는 사람들의 도움, 나중에는 스스로 드라마를 만들어가기까지 하고요. 대만 사람들이 현지인으로 생각하고 말을 걸어오기에, ‘대만도보여행한국남편 일본부인이라는 문구를 배낭에 붙이고 걸어요. 대만사람들이 응원을 하며 건네는 구호물자를 51번을 받으며 길을 걸어갑니다. 도보여행의 문제는 아무래도 자동차 같더라고요. 큰 차가 다니는 터널이나 커브길에 공포를 느낄 때는 저 역시 걱정스럽기만 했고요. 산길을 만들어서 걸을 때는 그 길을 같이 묵묵히 걷는 부인에게 절로 박수를 치기도 했어요. 대만을 걸으며 만난 수많은 사람들, 그리고 부부 사이에 더욱 돈독해지는 믿음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일 것 같습니다.

대만을 걷기 전에 다녀온 산티아고 순례길 끄트머리에서 주운 등산화를 신은 미키, 그리고 단순한 가죽신발을 신고 나선 박건우를 보면서 그 용기에 절로 감탄할 수 밖에 없네요. 저는 요즘 스페인 하숙을 보면서도, 아무리 잘 준비하고 간다고 해도 못할 것 같다는 생각만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인지 하루하루 지날 때마다 도보의 길이가 쌓이는,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것을 신기해하며 느려서 더욱 아름다운 그들의 여행을 함께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