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맛살라 인디아 - 현직 외교관의 생생한 인도 보고서
김승호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008년 11월
평점 :
나는 인도에 대해서 깊이 있는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나에게는 인도하면 생각나는 단어는 겐지스강 과 타지마할그리고 요가와 명상이다. 한쪽에선 시체를 태우고 한쪽에선 그 물에 목욕을 하는 모습을 담은 인도를 소개하는 영상에서 인도란 위생관념이 전혀없는 낙후된 나라임에 틀림없고 지금도 카스트라는 신분제도에 의해 사회가 움직이는 나라로 거대한 인구를 가진나라 인도. 누구나가 잘 살고 싶은것은 당연할텐데 가난해도 행복한 사람들이 진짜 인도인들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고 인도는 쉽게 풀어낼 수 없는 복잡한 내용이 중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국가라고 평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우리의 것과 다르다고 해서 무시하거나 싫어하는 것은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태도이다. 따라서 ‘인도를 바로 볼 수 있는 자세’는 자기중심적인 시각이 아니라 폭넓고 포용성 있는 문화적 상대주의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인도대사관 참사관으로 인도에서 2년 반 동안 체류하면서 6대 인종과 다양한 문화, 민주주의와 카스트 제도가 혼재된 정치 현실,젊은이들의 연애와 결혼, 인도 안의 한류열풍 등 이 책은 인도 내 정치와 문화, 생활과 풍습, 경제 전반 등 인도를 알기 위해 필요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이 책은 인도를 알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개론서와 같은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책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최근에 뭄바이 테러에서 볼 수 있듯이 . 볼거리와 읽을거리가 풍부하다 정보기술(IT), 철강, 의학, 문화, 교육 등 다방면에서 그러한 인도의 힘을 파헤친다. 소수의 중상류층이 고도성장의 과실을 향유하는 동안 11억 인구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농촌 인구는 여전히 빈곤의 굴레에서 허덕이고 있다. 또한 경제 성장의 빛나는 외양 뒤에 자리한 환경오염과 빈부 격차, 도시의 슬럼화, 전 인구의 30퍼센트에 달하는 빈곤층, 여성과 낮은 카스트에 대한 해묵은 억압, 정치적 파당화의 어두운 그림자는 예전과 다르지 않다.
인도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인도의 역사는 다양한 민족, 종교를 아우르며 발전했고 그 다양성 속에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 인도의 문화는 다인종 국가의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다양한 언어와 제2의 공용어인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의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있으며 포용성과 복합성, 변화성을 지닌 힌두교는 인도인의 생활이라 할 만큼 인도인의 생활을 반영하고 있다. 브라만, 크샤트리야, 바이샤, 수드라 등으로 이루어진 카스트제도도 인도사회에서는 매우 지배적이다. 인도의 정치는 범민족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국민적 다양성 인정하며 통합의식을 고취로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해가고 있는 것이다.
중국을 대체하는 새로운 생산기지, 인도는 저렴한 비용으로 무제한의 숙련공 조달 가능하며 최근 인도가 자동차와 그 부품에서부터 철강, 석유화학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제품과 부품을 해외에서 생산하려는 외국 제조업체들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으며 오늘날, 아시아인은 자유시장경제, 혁신적인 과학기술, 능력주의, 법치주의의 포용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역에서 서구의 장점들을 받아들이고 이해했다. 그리고 이제 독자적인 방식으로 혁신을 이뤄내고 있다. 아시아인의 약진은 멈출 수 없다. 앞으로 2050년쯤 되면 세계의 경제 중심지는 중국, 인도 등 아시아가 될 것이라는 예측도 등장한다. 누가 뭐라 해도 이제 인도는 전 세계 기업의 촉각을 곤두세우게 하는 거대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11억 인구의 10%인 1억 명 이상이 중산층이라면 왕성하면서도 확실한 구매력을 갖춘 셈이다. 또한 25세 미만이 전 인구의 반을 넘는다면 국가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세계 최대의 노동력을 갖추었다. 대한민국의 33배에 달하는 광활한 국토의 크기는 또 어떠한가. 이런 모든 조건으로 인해 인도는 우리에게도 매력적인 시장이 되고 있다.
느리더라도 착실히 나아가는 인도의 경제력은 무한한 경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중국에 비해 경제적 측면에서 10년 뒤져있지만 서비스 산업에 큰 비중을 두고 있고 인도의 인구 및 노동력의 증가율은 중국의 두 배에 이르고 있다. 인도인들은 중국이 단거리 경주에서는 이기고 있지만 마라톤에서는 인도가 승리할 것이라고 자신한다. 인도와 중국은 지속적인 성장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경쟁하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석유, 천연가스, 원자로 매매협정을 맺고, 심지어 수단, 이란, 미얀마 등 불량 국가들과도 협상한다. 인도의 가장 큰 장점은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는 찾기 어려운 저임금 숙련 기술자와 디자이너를 대량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도 상공회의소 사무총장에 의하면 다국적 기업들이 처음에는 인도 내수시장을 바라보고 인도에 현지 공장을 세우지만 저비용으로 그리고 가장 효율적으로 공산품 조달이 가능한 국가가 인도라는 것을 곧 깨닫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수 많은 서방과 아시아 다국적기업들이 2억5천만명에 이르는 인도 중산층 소비자들을 갖고 있는 인도 내수시장을 확보하고 수출전진기지로 삼기 위해 인도에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있거나 확장중에 있다. 수십 년 내에 우리는 미국, 인도, 중국이 초강대국의 지위를 공유하는 삼극 세계에 살게 될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