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하나의 문장
구병모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11월에 출간되자마자 읽었는 데 막상 리뷰를 쓰지 않고 그 시기에 읽었던 책들과 엮어서 통합으로 올렸던 책중 구병모작가님의 세번째 소설집 「단 하나의 문장」을 다시 한 번 읽어보니 가물가물했던 내용들이 조금씩 떠올랐습니다.
사실 동인문학상 최종 후보작 중 하나(최수철작가님의 「독의 꽃」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여서 다시 한 번 읽어봐야지 마음을 먹고 작은도서관에서 빌려 보았습니다.
읽어보면서 느낀 것이지만 윤이형작가님의 작품을 읽는 듯한 기분이 들기도 했는 데 아마도 비슷한 연배이시며 아이를 양육하는 엄마의 입장이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첫번째로 실린 (어느 피씨주의자의 종생기)처럼 SNS에서만 그 것도 작품에 대한 홍보는 전혀하지 않고 일상적인 사진만 이따금씩 올리던 P라는 작가가 거듭되는 논란에 못이겨서 결국에는 작가로서의 ‘죽음‘을 택하는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아무런 관계 없는 익명의 사람들의 무차별적인 언어공격을 받게 된다면 직업이나 성별 나이를 떠나서 견디기 힘들 것 같아요.
(한 아이에게 온 마을이)는 2017년 11월에 출간된 페미니즘 테마소설 「현남 오빠에게」에서 먼저 만나봤던 작품이었는 데 이 것도 아이를 출산할 예정인 정주가 산골마을에서 의지할 때도 없는 와중에 눈 밑에 흉터가 있는 구멍가게정도인 슈퍼를 운영하는 남자와 커피를 마셨다는 이유만으로 남편인 이완에게 한소리를 듣는 모습이 성별을 떠나서 너무 화가나더군요.
그리고 가상세계에서 남편이 죽게 되어 언제 현실로 돌아 올 것인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으며 그 것을 마땅히 하소연할 수도 없는 필리핀에서 온 아내의 안타까운 사연의 (웨이큰).
그외에도 (지속되는 호의), (미러리즘), (사연 없는 사람), (곰에 대해 생각하지 말 것), 「단 하나의 문장」이라는 소설집 제목의 모티브가 된 (오토포이에시스)까지 하나같이 매력적인 단편들을 다시 한 번 읽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아요.
올해 초에 나온 장편소설「버드 스트라이크」도 절반만 읽었는 데 조만간 작은도서관에서 빌려 다 읽어봐야겠습니다.
구병모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월 16일에 제가 자주 가는 작은도서관에서 빌린 책들 3권을 2주 동안 읽어 볼 참입니다.
구병모작가님의 세번째 소설집인 「단 하나의 문장」은 작년에 이미 다 읽었으나 따로 리뷰를 남기지 않았었고 최수철작가님의 신작 장편소설인 「독의 꽃」은 도입부만 읽다가 포기했었어요. 그리고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에서 이미 만나 본 (우럭 한점 우주의 맛)이 수록된 박상영작가님의 연작소설 「대도시의 사랑법」이 3권이 앞서 읽은 윤성희작가님의 「상냥한 사람」과 동인문학상 최종심후보에 올라서 빌렸는 데 인터넷검색 한 결과 최수철작가님이 받으셨군요. 축하드립니다.
아무튼 이 3권의 책을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재 오늘의 젊은 작가 23
황현진 지음 / 민음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늦장부리는 정규직 PD와 반말과 존댓말을 섞어서 쓰는 미래를 생각하고 있을 조연출과 함께 바둑 프로그램 작가이지만 잡다한 업무를 하고 있는 아버지가 지어준 이름을 가진 배호재에게 갑자기 연락을 끊었던 고모 배두이에게서 전화가 옵니다. 어제 저녁에 고모부의 공인중개사 사무실에서 강도가 습격해 강도가 휘두른 칼에 찔려 죽었다고 그리고 바로 장례식장에 와줄 수 있냐고 물어보면서 오늘의 젊은작가 23번째이자 황현진작가님의 세번째 장편소설인 「호재」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이야기는 어제 칼에 찔려 죽게 된 고모부의 장례를 오늘 알게 되어 바로 빈소를 맞이하고 그 다음 날에 발인을 하는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줄거리이지만 고모인 두이와 집밖으로 나도는 방랑벽을 고스란히 아버지에게 물려 받은 호재의 아버지 두오가 몇년째 두문불출하다 가끔씩 명절에만 들르다 결국에는 아버지의 유산이며 자신의 전부이기도 한 택시를 버려두면서까지 행방이 묘연해져 아버지가 죽었다고 확신을 가지게 된 호재의 계약직 작가의 일상과 두문불출할 수 밖에 없었던 사연이 있는 호재의 아버지 두오의 바꿀 수도 무를 수도 없는 과거와 그런 두오와 함께 다니던 오식과 낙오에게서 두오를 너무 가까이 하게 했다는 죄책감을 가지고 있으며 두문불출하는 두오를 이해하는(?) 두오의 누나인 두이의 과거가 고모부가 죽은 상황과 교차되어 이야기가 진행이 됩니다.
사실 저는 사칙연산을 잘 못한다는 이유로 호재를 미래가 보이지 않는 아이들 중 하나로 낙인을 찍은 담임의 모습에서 구구단을 못외워서 매번 외울때까지 남아야했던 2학년이었던 초등학생시절의 저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그 때 담임선생님도 저의 미래가 캄캄하게 느껴지셨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을 테죠.
매주 자신이 열심히 일한 돈으로 로또를 사고 그 로또가 당첨되지 않는 것에 낙심하며 언젠가는 자신에게도 그런 행운이 올 것이라고 당연하게 믿었던 고모부가 남의 집 내력을 세밀하게 꿰뚫어 보면서 자신의 집을 아주 비싸게 팔아버리겠다는 다짐도 하며 사무실에서 소주 한 잔 들이키던 고모부가 겪게 된 불행이 누구에게도 예기치않게 찾아올 수 있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소설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의 결정적인 행운이라 할 수 있는 ‘호재‘도 불현듯이 찾아올 수도 있다는 것도 말입니다.
황현진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타의 일
박서련 지음 / 한겨레출판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한때 교회를 나름대로 열심히는 다녔지만 모범생은 아니어서 동정으로 예수를 잉태한 마리아에게 언니가 있다는 사실을 오늘 다 읽은 박서련작가님의 두번째 장편소설 「마르타의 일」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첫 장편소설이었던 「체공녀 강주룡」도 뒤늦게 읽었고 후반부에는 훑어보기만 해서 이번 소설도 어렵겠거니 싶었는 데 이번에는 잘 읽혀졌습니다.
저는 따로 SNS계정을 가지고는 있지만 하지는 않아서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 소설에서는 임리아로 개명한 임경아가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하고 평소에 경아이자 리아에게 딱히 관심을 가지지 않던 임용고시준비하며 카페 아르바이트를 하던 임수아가 동생의 장례를 치르던 도중에 의문의 문자가 오면서부터 이야기가 진행이 됩니다.
사실 경아(리아)의 죽음에는 의문투성이로 가득찬 데 경찰을 부르지 않고 구급차만 왔다는 것과 의문의 문자를 보낸 사람이 경아의 죽음을 알고 있다는 점......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평소에 리아가 스스로 목숨을 끊을 만한 성정이 아니었다 점등 경아의 죽음에 수아가 의문을 가지면서도 곧 다가올 시험에 맞춰 자신의 일상을 계획하고 실천에 옮기는 모습이 인상깊었습니다.
정말 아무일도 없던 것처럼 돌아갈 수 있을까요?
저는 외동이라 그런 것에 대해 무지하면서도 막상 제가 수아의 입장이 된다면 마냥 두려워하며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며 패닉상태에 오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저 또한 임리아(경아)처럼 누가 내게 관심을 가져줬으면 하지만 막상 저에게만 관심이 쏠려서 집착이 되면 무서울 것 같습니다.
아무튼 꿈에 이야기가 실현될까봐 스스로 진저리치면서......
박서련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후의 만찬 -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덧 혼불문학상도 9회째입니다.
저는 5회 이광재작가님의 「나라 없는 나라」부터 함께 읽었는 데 소설이라는 것을 인지하지만서도 제가 잘 모르고 있던 역사를 배워가는 것 같아 어렵게 느껴졌지만 뿌듯했던 것 같아요.
박주영작가님의 「고요한 밤의 눈」과 권정현작가님의 「칼과 혀」, 전혜정작가님의 「독재자 리아민의 다른 삶」까지 혼불문학상 수상작품들을 꾸준히 따라서 읽게 되었는 데 이번에도 수상작이 나왔고 늘 그래왔덩 것처럼 읽어보았습니다.
제목은 「최후의 만찬」이고 서철원작가님이 3년간 공들여쓰셨다고 하셨는 데 읽어보니 정말 공들여 쓰신 흔적이 역력하였습니다.
처음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가 서학을 섬겼다는 이유로 순교하는 장면이 나와서 단순히 서학(천주교박해)를 다룬 이야기겠거니 싶었고 올해 초에 정난주마리아의 험난했던 삶을 그렸던 김소윤작가님의 「난주」가 떠올랐었는 데 이들이 죽고 나서 발견된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렸지만 모사품인 게 분명한 「최후의 만찬」그림이 나오고 거기서 정약용과 먼 옛날의 사람인 장영실까지 등장하고 그 것을 밝히려고 밀라노로 떠나는 김홍도와 그를 신뢰하고 인정하는 아비인 세자가 뒤주에 갇혀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한 것을 결코 잊지 못하는 임금까지 등장하여서 솔직히 역사적 배경지식이 얕은 것도 모자라 바닥까지 보이는 제게는 조금 벅찬이야기였지만 마지막에 이르러 도향과 초라니패의 행보를 눈으로 읽으면서 가슴 속에서 알 수 없는 벅차오름도 느꼈습니다.
비록 쉽게 읽히지는 않았지만 결코 가볍게만 읽혀져서도 안된다고 느꼈습니다.
요즘 같이 흉흉하고 어려운 시기에 ‘장영실‘ 같은 인물이 나올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철원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