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덧 혼불문학상도 9회째입니다.
저는 5회 이광재작가님의 「나라 없는 나라」부터 함께 읽었는 데 소설이라는 것을 인지하지만서도 제가 잘 모르고 있던 역사를 배워가는 것 같아 어렵게 느껴졌지만 뿌듯했던 것 같아요.
박주영작가님의 「고요한 밤의 눈」과 권정현작가님의 「칼과 혀」, 전혜정작가님의 「독재자 리아민의 다른 삶」까지 혼불문학상 수상작품들을 꾸준히 따라서 읽게 되었는 데 이번에도 수상작이 나왔고 늘 그래왔덩 것처럼 읽어보았습니다.
제목은 「최후의 만찬」이고 서철원작가님이 3년간 공들여쓰셨다고 하셨는 데 읽어보니 정말 공들여 쓰신 흔적이 역력하였습니다.
처음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가 서학을 섬겼다는 이유로 순교하는 장면이 나와서 단순히 서학(천주교박해)를 다룬 이야기겠거니 싶었고 올해 초에 정난주마리아의 험난했던 삶을 그렸던 김소윤작가님의 「난주」가 떠올랐었는 데 이들이 죽고 나서 발견된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렸지만 모사품인 게 분명한 「최후의 만찬」그림이 나오고 거기서 정약용과 먼 옛날의 사람인 장영실까지 등장하고 그 것을 밝히려고 밀라노로 떠나는 김홍도와 그를 신뢰하고 인정하는 아비인 세자가 뒤주에 갇혀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한 것을 결코 잊지 못하는 임금까지 등장하여서 솔직히 역사적 배경지식이 얕은 것도 모자라 바닥까지 보이는 제게는 조금 벅찬이야기였지만 마지막에 이르러 도향과 초라니패의 행보를 눈으로 읽으면서 가슴 속에서 알 수 없는 벅차오름도 느꼈습니다.
비록 쉽게 읽히지는 않았지만 결코 가볍게만 읽혀져서도 안된다고 느꼈습니다.
요즘 같이 흉흉하고 어려운 시기에 ‘장영실‘ 같은 인물이 나올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철원작가님, 좋은 글을 읽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