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음악을 하는가 #밑줄긋기

롤랑 마뉘엘: 프랑스 음악계의 선진들, 특히 18세기 음악가들은 음악의 역할이 음악 나름의 방식으로 사물, 인물, 감정을 묘사하고 기술하는 것이라 굳게 믿었습니다. 게다가 그들의 묘사적 교향악 프로그램을 따라가보면 얼마나 재미있는지 몰라요. 하지만 그런 프로그램은 음악의 구실일 뿐이죠. 정말로 들어야 할 것은 음악입니다.

나뉘아 타그린: 프랑수아 쿠프랭은 <라 뮈즈 플랑틴>으로 묘사를 하려고 했을까요? 표현하려고 했을까요? 라모의 <라 쿨리캉>은요?

롤랑 마뉘엘: 우리는 알 수 없죠. 모델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초상화의 아름다움을, 다시 말해 음악의 훌륭함을 감상할 뿐이니까요. (20)

https://youtu.be/8U7D_nUadG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왜 음악을 하는가 #밑줄긋기

롤랑 마뉘엘: 숲에 사는 뻐꾸기, 벽시계의 뻐꾸기는 3도 음정에서 두 음밖에 갖고 있지 않은 악기 같은 역할을 합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뛰어난 프랑스 음악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클레망 잔캥[1]은 프랑수아 1세 치하였던 1528년에 <새들의 노래>라는 4부 합창곡을 만들었죠. 그는 뻐꾸기 울음소리를 따와서 세 개의 음표로 이루어진 그 동기를 변형하고 발전시켰습니다. (16)

https://youtu.be/ceS9-RUpzXQ

------------------
주1. 클레망 잔캥(Clément Janequin, 1480년경~1558년)은 르네상스 시대의 프랑스 작곡가이다. 미사곡이나 모테토도 작곡하였으나 파리풍 샹송에 가장 다채로운 표현을 하였다는 잔캥은 묘사적 샹송의 대가였다. <파리 장사꾼의 소리>, <새노래>, <수다스런 여자들>, <마리니앙의 싸움> 등이 대표작이다. - 위키백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4-29 15: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거서님께서 지난 번 들려 주신 중세음악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 중 하나가 ‘음악에 대한 고증‘문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화에서 시각적인 부분은 사실적으로 고증하는데 반해, 청각적인 부분은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 이유에서 우리에게 중세가 더 낯선 것은 아닌가 싶네요^^:

오거서 2017-04-29 23:40   좋아요 2 | URL
오래 묵은 것일수록 또한 오랫동안 단절된 것일수록 고증이 어려울 테죠. 영화에서 청각적인 부분을 고증하지 않는 것은 전문 지식이 부족하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거나 비용 문제 등이 원인일 것 같습니다. 음악계에서 원전 연구와 함께 악기의 고증과 복원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점점 성과를 인정 받고 있습니다. 고음악과 시대악기 연주(또는 원전연주)가 그렇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따로 알려드릴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책속으로 #중앙일보 #스크랩

• 2000㎞ 행군한 유대인의 생존 투쟁
http://mnews.joins.com/article/21526588

• 경제 논리는 잘 만들어진 쇼
http://mnews.joins.com/article/21526587

• 가지 꼭지에 밀랍, 유리병에 포도 ­… 냉장고 없이 살았던 인류의 지혜
http://mnews.joins.com/article/21526586

• 세상을 읽는 눈
http://mnews.joins.com/article/21526584

•[주목! 이 책] 광기와 문명 外
http://mnews.joins.com/article/215265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youtu.be/ovFPKu00cCc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Op. 35

I. Allegro moderato
II. Canzonetta. Andante
III. Finale. Allegro vivacissimo

•연주자

바이올린, 율리아 피셔 (Julia Fischer)
지휘, 바실리 페트렌코 (Vasily Petrenko)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니 관현악단(Orchestre Philharmonique de Radio France)

•연주 시간: 약 34 분.

(실황 녹음 동영상은 연결된 음반과 다른 연주임)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4-29 13: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제 기억이 맞다면 일전에 <사라사테>로 오거서님께서 소개해주신 바이올린 연주자 같네요.. 강렬한 연주가 인상적이네요. 오거서님 좋은 곡 소개 감사합니다.^^;

yureka01 2017-04-30 00: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ㅎㅎ 이곡은 연주자가 누구인가를 막론하고 제일 좋아하는 곡입니다.^^..

yureka01 2017-04-30 00:1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https://www.youtube.com/watch?v=CTE08SS8fNk

이곡은 곡에 힘이 팍팍 들어가서요~~이곡으로 자주 듣고 있습니다^^..

공부하다 지칠때 들어도 좋네요..ㅎㅎㅎ
 

유발 하라리의 호모데우스 신간 알림을 보자마자 결심한다, 무조건 구매해야지…
즉시 발급되는 적립금을 모아서 예약 구매 완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프리쿠키 2017-04-29 11: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거서님 저와 생각이 정확히 일치하네요^^

오거서 2017-04-29 11:49   좋아요 2 | URL
북프리쿠키 님이 책을 고르는 안목이 저보다 뛰어나신데 이렇게 맞장구쳐 주셔서 기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AgalmA 2017-04-29 12:1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5월엔 모두 이 책 읽느라 정신 없을 듯ㅎ 저도 다음달 바로 살 생각요^^

오거서 2017-04-29 12:14   좋아요 2 | URL
네, 그렇군요. 이웃 분들이 같은 마음인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