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철학이다 - 에이나 외버렝겟의 행복론
에이나 외버렝겟 지음, 손화수 옮김 / 꽃삽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복권에 당첨되는 상상을 해본다. 시험에 합격을 하거나 취업,승진 등 좋은일만 생긴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일상에서 한번쯤은 상상을 하며 행복을 꿈꾸는 항목일것이다. 행복감은 어떨때 느껴질까 생각해보면 어떤 사람은 순간순간 행복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것이며 전혀 그런 기분을 느끼지 못하며 사는 사람들도

분명 있을것이다.

 

이 책은 행복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된 계기를 가져다준 책이었다. 대부분 행복론을 다루는 책들은 심오한 철학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 솔직히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내뇽들이 많았다. 그렇다고 행복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는 세속적인 자기계발서에서 다루른 내용들은 내용이 대부분 비슷비슷했었던 기억이 난다.

 

실제 생활을 하다 보면 공기와 같아서 평소에 잘 느끼지 못하고 사는것들이 너무도 많다. 대표적인것이 건강이라고 생각한다. 건강할때에는 그 소중함을 모르고 살다가 아파보아야지만 그 소중함을 느끼게 되는 우를 범하기도 하고 주위의 인간관계에서도 소중한 사람들에 대해 또 그렇게 생각하며 사는것 같다. 그래서 자신의 의지로 무엇을 할 수 있다는것도 엄청난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진정한 행복이란 인생의 여러 상황가운데서도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선택하고 상황을 긍정적으로 주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는 말도 많은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이 책은 인생을 살며 꼭 한번쯤은 새겨두어야할 내용들이 담겨 있다. 고난에 처했을때 왜 하필 나에게 고통이 찾아왔을까 하고 절망하기 보다는 그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에서 고통을 성숙한 인격을 만드는 거름으로 생각해볼 수도 있을것이다. 결국 행복이란 마음가짐이라고 생각한다. 철학적으로 훈련이 되지 않은 일반인들을 위해서도 가급적 이해하기 쉽게 쓰여져 있는 행복에 대한 내용이 마음에 들었다. 너무 허황된 내용이라 공허하지도 않았다.

 

우리의 삶은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으며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과 주변의 상황을 통제하고 장악함으로써 가능한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 일에 어떻게 반응하고 처신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말이 특히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행복은 우리가 자신을 만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 다른 상황속에서 사고하고 선택을 내리며 이에 따른 결과를 수용할 수 있어야한다는 내용이나 내 삶의 주인공은 바로 나라는 사실에 대해 일깨워준 소중한 책이다.

 

행복은 바로 지금 느낄 수 있는 것이어야 진정한 의미가 있으며 미래에 집착하지 않고 현재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는 교훈은 참으로 마음속에 새겨볼만 하다. 책읽기를 통해 삶의 주인공이되서 주도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꼭 가져야하는 마음가짐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된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역동원 역경 - 한의학의 원류를 찾아서 만화로 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1
주춘재 지음, 김남일.강태의 옮김 / 청홍(지상사)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역경은 (易經, Classic of Changes, Book of Changes)은 유학(儒學)의 삼경 중 하나로,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이라 일컬어 지고 있다. 이를 주역(周易)이라고도 한다. 쓴 연대는 대략 동주 시대로 추정되어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학서로 그 영향은 전통적인 문화의 모든 영역에 미치고 있다.  지금도 자연과학이나 인문과학에 미치는 계시와 충격이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책 '의역동원 역경'은 최근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주역(역경0에 대해 만화로 쉽게 풀어쓴 대중서이다. 한자로 역경의 역(易) 은 '일'(日)과 '월'(月)이라는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은 양(陽), 월(月)은 음(陰)으로 역경의 심원한 철학적 이론을 명시하고 있다. 태극은 음과 양으로 나누어지는데, 양은 하늘, 남자, 밝음, 태양, 위, 강함, 정신, 불, 선 등을 나타내고, 음은 땅, 여자, 어두움, 달, 아래, 부드러움, 육체, 물, 악 등을 나타낸다. 또한 사상이 다시 음과 양으로 나누어 팔괘가 되는데, 천지의 생성원리를 표현하기도 하고 만물의 변화과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팔괘를 서로 겹쳐서 64괘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대성괘'라고 하며 주역의 본문을 구성하는 괘이다. 크게 두부분으로 나누어 우주의 선천적인 생성원리와인간의 후천적인 변화와 순환 과정을 상징한다.

 

주역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데, 역전과 역경이 그것이다. 역경은 64괘와 각 괘의 해석을 담고 있고 고대로부터 전해졌다고 여겨지는 문서이다. 각 괘의 해석은 다시 7개의 작은 해석들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해석은 괘의 총론에 해당하며, 나머지 여섯개의 해석은 각 효에 따른 해석이다. 여기서 효란 음양을 의미한다. 단 첫번째와 두번째 괘인 건과 곤은 이 7개의 작은 해석에서 예외인데, 건과 곤은 각각 하나의 해석을 더 가지고 있어 총 여덟개의 작은 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음안에 양이 있고, 양안에 음이 존재하며 서로 분할, 침투하고 있다. 이 간단한 도형이 사람들에게 엄청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는 우주만물이 발전하고 변천하는 법칙에 대해 사색하는 것은 중국의 전통적 철학에 빼 놓을 수 없는 요소이며 한의학과 그 양생학의 이론적 기초를 이룬다.

 

'황제내경'은  '역경'과 거의 같은  시기에 성립된 체계적인 의학서적으로 엄격한 논리와 웅대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역학을 전면적으로 응용하고 있는 가장 전형적인 책이다. 특히 정확한 고증과 더불어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평이한 언어로 서술되어 있어 쉽게 심오한 중국의 오래된철학에 대해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책으로 일반인이나 전문가를 막론하고 동양의 역학을 과학적으로 고찰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락경혈 십사경 만화로 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4
주춘차이 지음, 정창현.백유상 옮김 / 청홍(지상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사경은 십이경맥과 임맥, 독백의 합칭이다. 십사경발휘에서 "십이경의 배열 순서와 유주하는 차례로 선후를 매기고, 입맥,독맥의 기경을 덧붙여, 이를 십사경이라고 했다"고 하였다. 기경팔맥중에 독맥과 임맥만이 자체의 경혈을 가지고 있어 십이경맥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므로 십이경맥 계통에 포함시켜 십사경이라 합칭한다" 이것은 경락계통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다.(p.2. 동양의학대사전 에서)

 

경락은 인체내 기혈(氣血)운행의 통로이며, 인체의 안밖 및 위·아 래를 연결하고 장부 기관을 연계하는 독특한 계통이다. 경락은 경맥(經脈)과 낙맥(絡脈)으로 나뉘는데, 경맥이란 기혈이 상 하로 운행하는 통로이고, 낙맥이란 기혈이 좌우로 운행하는 통로이다. 사람의 몸에는 내장기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순환계가 상하·좌우 ·종횡으로 머리 끝에서 발끝까지 분포되어 있다.

경맥과 낙맥을 흐르고 있는 에너지를 기혈, 또는 영위(營衛)라고 하는데, 이는 서양 의학에서 말하는 순환기 계통이나 신경 계통과 비슷 한 점이 있으나 다르다. 질병시에 나타나는 증상들은 기혈이 순조롭게 행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이런 경우의 치료는 경락을 순조롭게 소통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강구된다.


경혈이란 신체의 표면에 있는 침·뜸·부항 치료의 자극점으로서 경락 (經絡)상에 있어서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에 알맞은 자리를 말한다. 이는 인체의 중요한 기초적 물질인 기(氣)와 혈(血)이 지나는 통로인 경락을 따라 신체의 바깥 부분에 위치하는데, 기(氣)가 모이고 출입 하는 곳이라 하여 혈(穴:구멍)이라 한다. 기가 출입하는 구멍(穴)은 인체 표면의 여러 곳에 있는데, 그 중에서도 주요한 14개의 경맥(경 락 중에서도 주된 줄기)을 따라 있는 것을 ‘경혈’이라 하며, 모두 365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도법(骨度法)혈자리를 정하는 방법이다. 골도분촌법(骨度分寸法)이라고도 한다. 옛날에는 뼈마디를 기준으로 하여 치수를 정하여 인체 각 부위의 길이와 크기를 재었는데 이를 골도(骨度)라고 한다. 그리고 이 방법을 사용하여 혈자리를 헤아려 찾는 것을 골도법이라고 한다. 

이 책은 한의학의 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뼈대가 되는 기본이론 중 하나인 음양오행학설, 장상학설, 경락학설인데 이 중 경락학설은 인체의 생명활동의 미묘한 변화를 잘 나타내주고 있으며 각 부분의 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이 책을 통해 '경락'이 한의학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수혈은 이 경락이 인체의 체표 상에서 반응하는 지점이라는것을 새롭게 알게되었다. 어찌보면 상당히 전문적인 분야인지라 어렵게 파고들면 끝도 없는 깊이가 느껴지지만 일반적으로 궁금했던 부분에 대해 많은 해답을 얻게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여행가 - 불굴의 개척자 6人의 열정과 도전정신
우한 엮음, 김숙향 옮김 / 살림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한나라에서부터 명나라 때까지 불굴의 도전 정신으로 역사를 바꾼 대여행가들의 삶을 조명한 책으로 중국 칭화대 교수를 지낸 역사학자인 저자가 전하는 사막과 바닷길의 험로를 뚫고 대장정을 완수한 여행가 6인의 이야기를 담은 것이다.

 

이들은 어째서 앞날이 보장된 삶을 버리고 고난의 길에 올랐을까. 생사의 고비에서도 흔들림없이 전진을 택한 힘은 무엇인가. 이 책 '대여행가'는 '도전에 핑계란 없으며, 나아가지 않는 자는 죽은 자'라고 말한다

 

장건은 한나라 섬서성 사람이다. 황제의 밀명을 받은 장건은 100여명의 시종을 데리고 기나긴 서역 여정에 올랐다. 그러나 도중에 흉노족에 잡혔다. 흉노족에 잡힌 장건은 11년 동안 온갖 고충을 겪었다. 흉노의 선우는 장건을 회유하기 위해 흉노족 여인과 결혼하게 했다. 장건은 흉노족 아내와의 사이에 아들까지 낳았다. 그러나 장건의 의지는 흔들리지 않았다. 그는 흉노의 감시와 위협을 뚫고 회유와 가족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끝내 탈출했다. 급하게 도망치느라 식량과 물을 충분히 챙기지 못했고 여러 차례 죽을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기어이 대월지에 도착해 황제의 밀서를 전달하고 연합군을 결성했다.

 

장건의 여행경로는 천산산맥 북쪽 기슭의 천산북로를 거쳐 세계의 지붕 파미르 고원을 넘어 중앙 아시아로 들어갔다가, 천산남로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장건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것은 떠난 지 13년 만이었다. 이후 장건은 서역 개척의 핵심 요원으로 활동했다. 서역의 지리, 민족, 식물 등에 관한 지식을 중국에 들여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첫 서역행은 한 무제 때의 장건. 흉노 퇴치를 위해 대월지와 연합전선을 구축하려 떠난 장건 일행은 13년 만에 빈손으로 돌아왔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그한테 묻어온 것들이 더 소중한 것으로 평가됐다. 비단을 서역에 전하고 대신 포도와 석류를 들여오면서 ‘실크로드’를 연 첫 인물이 된 것이다.

 

중국 동진(東晉) 때인 401년 환갑을 훨씬 넘은 65세에  승려 법현(法顯)은 천신만고 끝에 가까스로 대설산(히말라야)을 넘었다. 그리고 길을 떠난 지 2년 만에 마침내 천축(天竺·인도)에 닿았다. 불교 신자는 늘지만 제대로 된 불경이 없는 상황에서 불경을 구하기 위해 떠난 구도의 여행이었다. 이외에도 당나라 때 5전6기로 일본행에 성공해 일본 율종의 시조가 된 감진(鑒眞), 지리학에 빠져 천하를 누빈 명나라의 선비 서하객(徐霞客), 15세기 초 꼼꼼한 준비로 일곱 차례의 대원정을 실행한 정화(鄭和)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10년전에 이어 또다시 찾아온 위기의 시대에 한번쯤 읽어보고 이들의 고난을 극복하는 도전정신과 개척정신을 오늘에 교훈으로 마음속에  세길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격별 영어 공부법 - 영어공부도 궁합이 맞아야 한다
방성주 지음, 이우일 그림 / 살림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최고의 성격검사 MBTI로 찾아내는 맞춤형 영어 공부법에 관한 책이다. 부제가 설명하고 있듯이 영어공부도 궁합이 맞아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기본 바탕이다.영어로 상처 받은 마음 영어로 치유하기 편이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어에 대한 거부감을 지우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데일리 에세이와 셀프 토크를 해 본 결과 정말 영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또 성격 유형을 알면 훨씬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 이 책은 각 유형별로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공부법을 제시한다. 여기서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머리글자만 딴 것으로 70여년 동안 계속적으로 연구 개발한 인간이해를 위한 성격유형검사의 도구로 사용되는 MBTI를 바탕으로 각자에게 어울리는 영어 학습법을 알려준다. 영어 강사인 저자가 자신의 경험과 가르침을 통해 자연스럽게 영어를 익히는 법을 정리했다.

 

칼 융의 심리유형 이론을 마이어스와 브릭스 모녀가 장장 50년 동안 체계화한 것이다. MBTI 성격 유형 검사는 4가지 지표를 근거로 사람에게는 8가지 성향이 있다고 본다. 심리학에서 이야기 하는 방어기제 심리의 8가지 유형을 영어에 접목 시켜 이야기 하고 있다 사람들은 8가지 성향을 모두 사용하나, 특히 더 많이 사용하는 4가지 성향이 있으며, 그 4가지의 조합으로 성격을 16가지 유형 - 외향형(Extroverted)/내향형(Introverted), 감각형(Sensing)/직관형(iNtuitive), 사고형(Thinking)/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인식형(Perceiving) - 으로 나누는 것이 바로 MBTI다. 예를 들어 외향형에 감각형, 사고형, 인식형인 사람은 각각의 머리글자를 따서 ESTP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방어 기제가 발동되면 모든 것을 부정적으로 봅니다. 그런데 문제는 부정적 정신 상태에서 입력된 정보는 의식 속에 남기가 어렵다는 거죠. 왜냐하면 인간의 뇌는 생존을 위해 즐거운 일이나 행복한 일은 의식에 오래 남겨두고, 나쁜 일이나 불쾌한 일은 가급적 빨리 무의식으로 내려 보내려 합니다. 방어기제가 발동되면 정신과 육체는 경계 태세를 갖춥니다. 고로 우울한 상태에서 한 영어공부는 대충 의식 속을 떠돌다가 바로 무의식으로 들어갑니다. 다시 말하자면, 부정적인 마음을 갖고 공부한 영어는 아무리 열심히 해도 머리에 오래 남지를 않고, 오히려 설렁설렁 놀면서 한 영어공부가 머리에 오래 남는다는 것입니다. What a paradox! 오, 영어공부의 역설이여!( p. 3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