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 (양장)
백온유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이 난 아파트 11층에서 이불에 싸여 던져졌다. 아파트 아래를 지나는 아저씨는 나(유원)를 받고, 언니는 나를 던진 그곳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죽었다. 아저씨는 나를 받으면서 장애를 입었다. 나는 이들이 만들어 놓은 세계에 던져졌다.
내가 나의 존재를 찾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기도 전에, 무엇이 되고 싶은지, 어떻게 살고 싶은지 알아내기도 전에, 사람들은 나의 존재에 의미를 덧입혔다.
나는 이 두 사람의 희생으로 살았고, 그 희생은 나에게 계속 무엇인가를 요구한다.

유원이 되어 독백을 해보았다.

청소년문학이다. 아이들은 어떤 감상으로 받아들일지 모르겠지만 ‘던져졌다‘는 말은 나에게 실존적인 질문을 떠올리게 한다.

던져진다는 것. 나의 선택이 아닌 사회적 관습이나 의무성 따위에 의해 이미 결정된 현재에 ‘던져진 존재’이다. 이렇게 자신의 선택과 결정이 아닌 임의성속으로 던져져서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불안함 속에서 고통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순간, 그 임의성 때문에 나는 허무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 임의성은 내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나는 어떻게 이러한 세상에서 나의 존재를 찾아내서 그 본래의 모습대로 살아갈 수 있을까?

그 화재는 유원 자신이 일으킨 것이 아니다. 어린 아이였던 유원을 이불에 싸서 던진 언니의 의지도 유원의 선택 밖에 일이었다. 언니를 기억하는 엄마, 아빠, 언니의 친구 신아언니, 당시 사건을 기사로 기억하는 사람들. 유원이 던져진 세계에 함께 던져진 사람들이고, 유원의 존재에 의미를 가중시키는 사람들이다. 예쁘고 착하고 공부도 잘하고 모범적이었던 언니의 몫까지 잘 살아내야 하는 의무를 얹어 준다. 그리고 다른 아이들처럼 살아서는 안 된다는 무언의 말들이 유원을 옭아맨다.

유원을 받아주었던 아저씨는 삶의 불행이 그 사건 때문인 것처럼 부모님에게 돈을 받아간다. 아저씨는 불시에 집에 찾아와 유원과 가족들에게 죄의식과 부채의식을 확인한다. 그 방문은 유원의 마음을 더욱 무겁게 하고, 부모님은 아저씨가 불행한 것이 항상 마음에 쓰여 거절하지 못한다. 유원은 부모님이 그 아저씨에게 고맙고 미안한 마음을 갖는 것을 이해하지만 그 아저씨를 보며 상처받는 자신의 마음을 헤아려주지 않는 것이 슬프고 고통스럽다.

특별한 시선들 때문에 항상 외톨이었던 유원이에게 친구가 생겼다. 수현과의 만남은 마음속에 감추어두었던 의문들을 끄집어내게 한다. 아무에게도 하지 않던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언니 아는 사람들은 다 그래. 언니는 뭘 해도 됐을 앤데 너무 아깝대. 그렇게 갈 사람이 아니래. 분명히 크게 됐을 거래. 나를 11층에서 던진 거 말이야. 그것도 언니가 영리하고 용감해서 그런 결정을 내릴 수 있었던 거래.”
“나 자랑스러우라고 더 언니를 띄우는 것 같기도 해. 근데 왜 나는 그런 말 듣는 게 싫지? 어쩌라는거야 , 나보고.”
-112p

수현은 유원에게 가볍게 사는 법을 가르쳐 준다. 수현이가 아저씨의 딸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 둘의 관계는 잠시 주춤대지만 유원이가 자신을 가둔 의미들로부터 벗어나려는 결심을 하고 하나씩 풀어가면서 수현과의 사이도 회복되고 이해하는 법을 배운다.


유원은 ‘던져진 존재’로서 살지 않기로 결심한다. 자신을 무겁게 하는 사람들을 만나서 이야기를 한다. 더 이상 이렇게 살지 않겠다고, 더 이상 나를 통해 언니의 삶을 요구하지 말아달라고.
그리고 아저씨를 만나서 이야기 한다.

“그때, 제가 너무 무거웠죠. 제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서 다리가 으스러진 거잖아요. 죄송해요. 제가 무거워서, 아저씨를 다치게 해서 불행하게 해서.”
“그런데 아저씨가 지금 저한테 그래요. 아저씨가 너무 무거워서 감당하기가 힘들어요.”
-198p

자신에게 항상 같은 자리를 요구하는 사람들에게 움직이는 존재로 다가가는 것이다.

패러글라딩. 세상에 다시 한 번 자신을던진다. 패러글라이딩하는 유원이는 던져진 아이와 대비를 이룬다. 던져짐에서 던짐으로. 기투.
이 세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존재로 살아가기위해 한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함께 던져진 모든 존재자들과의 본래적 관계를 회복한다. 사랑에 존재를 던진다고 해야 할까?

유원이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자신과 연결된 사람들의 사랑에 대한 믿음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자신과 같은 아픔에서 벗어난 수현의 응원이 있기 때문이다.

유원은 이제 가볍게 사는 것을 연습중이다. 수현과 함께.

우리는 모두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던져진다. 우리가 선택하는 세상이 아니다. 가족, 사회, 관습, 문화는 우리가 던져짐과 동시에 존재에 의미를 만들어내고 가둔다. 나는 어떤 의미에 포획당하고 있을까? 벗어나야 할 의미들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떤 존재로 살아가야 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3-23 01: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자신의 의도와 전혀 상관없이 누군가의 치명적인 희생으로 내가 여기 살아남아 있다니, 아 너무 슬프고 무거운 시작이네요. 뭔가 위로가 될 것 같은 책입니다.

그레이스 2021-03-23 01:21   좋아요 2 | URL
제게는 실존적 질문을 하게되는 소설이었습니다.
청소년문학인데 아이들은 어떻게 받아들일까 생각해봤는데 어려울수도 쉬울수도 있겠단 생각입니다.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세계속에 던져진 아이들의 질문과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