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결국 흥행을 우선시하는 것이 자본주의 사회의 속성이지만 대중적인 작가들을 저는 반기지 않습니다. 작품성이 없어 보인다는 생각 때문인데 그들도 작품성에 비중을 두었다면 흥행이 잘 안 되는 작가들 이상으로 잘 쓸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작품성이 무엇인지를 따지는 것 자체가 이론의 여지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인기도 있으면서 작품성도 갖춘 작가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인기 작가들이 대중에 영합하느라 작품성을 발휘할 여력이 없는 것과 실제 그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라 생각합니다.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올해 한강 작가의 수상을 보며 다행이라 생각하면서도 20년 전부터 그 작가의 작품을 아끼듯 읽어온 저로서는 숨겨둔 애인을 빼앗긴 것 같기도 합니다.(오늘 경복궁 공부를 함께 한 한 여자분은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자 남자들 중에서 그런 감정을 갖는 경우는 아예 없다 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하더군요.) 참 많은 사람들이 그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을 소급(?)해 읽는 것을 보며 보는 눈을 갖추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한강, 채식주의자 깊게 읽기’ 같은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작품성과는 별개로 한강 작가와 함께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다른 작가를 집중적으로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런 작가를 찾아 읽는 것도 창의적으로 해야겠지요? 오늘 이정우 교수의 ‘소은(素隱)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를 읽다가 “어떨 때는 엘레아학파를, 어떨 때는 헤라클레이토스를 써먹는 소피스트들의 양동작전을 분쇄하는 길이기도 하다.”(13 페이지)는 글을 읽었습니다. 이 부분을 읽으며 지난 해 읽은 천하무적 아르뱅주의‘를 떠올렸습니다. 상반되는 아르미니우스적 가치관(자유주의)과 칼뱅주의(예정론)를 널뛰듯 오가는 기회주의적 신앙의 목회자들에 대한 비판서입니다.


그러고 보니 오늘 경복궁 어디 어디인가를 넘어서는데 선생님께서 문지방을 밟지 말라는 말씀을 하신 것이 생각납니다. 경계인 문지방을 밟는 것은 중간자적 존재 즉 살아 있는 것도 아니고 죽은 존재도 아닌 좀비 같은 존재가 되는 것이라는 의미였습니다. 창의력(이라고 할 것까지 없겠지만)은 이런 방식으로 건져올리는 것이 아니겠는지요? 엘레아학파의 사상은 다(多)와 운동(運動) 즉 물리적 세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상이고,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은 만물유동론(萬物流動論)이다.: ’박홍규 형이상학의 세계‘ 참고)


수상을 계기로 그간 작품성이 있음에도 아니 어쩌면 그렇기에 많이 읽히지 않은 작품들이 읽히고 한국 문학 - 한강 작가의 수상이 한국 문학의 영광인 양 떠들어대는 것은 무리한 끼어 맞추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 도 더불어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오랜 즉 선호(選好) 즉 노쇠함 때문인지 이제 (한강 작가 본인이 이런 글을 읽을 가능성이 거의 없겠지만) 한강 작가가 소설 만큼은 아니더라도 시도 자주 출간한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울러 (대체로 흥행과 관계 없는 장르인) 시를 쓰시는 분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 - 영화로 보고, 글로 읽고, 귀로 듣는 클래식의 세계
최영옥 지음 / 다연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와 클래식 음악의 관계를 해명한 책을 읽는다.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이다. 영화와 그림(한창호 지음 '영화, 그림 속을 걷고 싶다'), 영화와 정신분석(김서영 지음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영화와 인문학(김영민 지음 '영화인문학'), 영화와 경제학(박병률 지음 '영화 속 경제학') 등 영화와 함께 생각하는 또는 영화로 만나는 다양한 전문 분야의 책을 읽은 기억이 난다. 나는 영화보다 클래식 음악을 더 좋아한다. 그래서이겠지만 최영옥 저자의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을 클래식에 비중을 두고 대하게 된다.


최근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초기 작 중 하나인 '여수의 사랑'에는 비제의 칼멘 중 하바네라가 아니면 아무것도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듣는 자흔이라는 여자가 나온다. 그녀는 "여수(麗水)에 가면, 나한테도 음악 같은 건 필요 없어요"란 답을 한다. 영화화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중편 소설이고 드라마틱한 부분이 없다고 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한다면 관련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생각해본 적이 있다. 영화 제작자들도 내가 그랬듯 자신의 영화를 빛낼 클래식 음악들을 고르고 생각하느라 분주한 시간을 보내리라.


말했듯 클래식 음악보다 영화를 덜 좋아하는 나는 클래식 음악이나 작곡가들을 이해하기 위해 영화를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들을 공부하듯 들으려는 나는 그의 교향곡 54악장이 수록된 (좋아하는 작가 중 하나인) 토마스 만 원작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을 아직 감상하지 못했고,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2악장이 아름답게 흐르는 '엘비라 마디건'을 보며 비슷한 듯 다른 투명한 슬픔이 인상적인 같은 작곡가의 피아노 협주곡 232악장을 영화에 담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저자 최영옥 님은 음악전문지 기자, 음악칼럼니스트, 음악 평론가, 공연 기획자 등 음악 전문가이지만 강의를 위해 클래식 음악들이 흐르는 영화를 찾고 훑는 등 노력을 기울이느라 가끔 자신이 클래식 음악 전문인지 영화 전문인지 헷갈린다고 말한다.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은 저자의 말에 의하면 영화들 중에서도 클래식이 될 영화들을 중심으로 엮은 책이다. 흔히 클래식이라면 고전 또는 낭만 음악 위주로 생각을 하지만 고전(古典)이란 말이 의미하듯 시대를 뛰어넘어 살아남을 명작들을 의미한다.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은 클래식 음악에 얽힌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거기에는 작곡가, 연주자, 영화감독 등과 관련된 다양한 사연들이 있다. 지난 2000년 바흐 서거 250주년 기념으로 일본의 NHK가 방영한 어느 사찰에서의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6곡 전곡 연주를 들으며 말할 수 없는 희열을 느낀 기억이 지금도 선명하다. 영화였다면 그렇게 고즈넉한 분위기에 투박한 첼로 선율을 수십 분씩 담아낼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클래식 음악과 관련한 영화 이야기는 이런 방식으로 하면 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영화는 당연히 스토리가 위주이다. 거기에는 사람들의 삶과 사연이 깃들어 있다. 나는 아직 영화를 뇌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또는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긴다. 물론 이는 인간과 삶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불교 수행의 궁극적 목적 가운데 하나가 (깨달음이 아니라) 고통을 여의고 기쁨을 얻는 것(서광 스님 지음 '치유하는 유식 읽기' 191 페이지)이듯 내가 영화를 통해 뇌과학을 이해하려는 것도 삶과 사연들을 이해하고 사람들과 더 잘 어울려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런 의도로 올해 초 읽은 책이 제프리 잭스의 '영화는 우리를 어떻게 속이나'이다. 잭스에 의하면 뇌가 진화해온 오랜 시간 동안 영화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뇌의 인식 시스템은 현실과 영화를 구분하지 못한다.('영화는 우리를 어떻게 속이나' 16 페이지) 음악은 그렇게 영화가 우리를 교묘히 속이는 것을 돕는 보조 장치가 아닐지?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이 다룬 클래식 음악이 나오는 46편의 영화 중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중 편지의 이중창이 나오는 '쇼생크 탈출'부분에는 의미심장한 글이 나온다.


프랭크 다라본트가 감독한 이 영화에는 수감자 앤디가 교도소 방송실의 문을 닫아걸고 음반을 트는 장면이 나온다. 바로 모차르트의 여성 이중창 곡인 '저녁바람 부드럽게'로 수감자들은 느닷없이 흘러나오는 음악을 듣고 잊고 있던 바깥 세계의 자유를 떠올린다. 음악은 우리를 속이는 영화를 돕는 조력자이기도 하지만 현실을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하는 매개체이기도 한 것이다.


앞서 정신분석 이야기를 했지만 '영화가 사랑한 클래식'에는 "괴이쩍은 사랑의 정신분석학적 보고서"인 미카엘 하네케의 '피아니스트'와 그 영화에 수록된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이야기가 나온다. 아닌 게 아니라 김서영 교수의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에도 이 영화가 나온다. 김서영 교수는 "정신분석이란 바로 이렇게 드러난 이야기와 함께 또 다른 이야기를 읽어 내게 만드는 도구"('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204 페이지)란 말을 한다.


최영옥 저자는 "난해하고 모호하기 그지 없"는 영화라는 평과 함께 감독이 영화를 보는 내내 저마다 자신의 삶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영화가 '피아니스트'란 말을 던진다. 저자는 세상과의 단절에서 오는 고통을 겪은 슈베르트의 삶을 생각하면 해답이 나올 것도 같다는 말을 한다. 영화에는 이렇듯 이야기들이 나온다. 이제 영화들을 조금 더 주의 깊게 눈여겨 보게 될 것 같다. 어쩌면 클래식 음악을 듣기 위해 영화를 감상하려는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문학의 특성은 명쾌함과 단순함을 거부한다는 데 있다.‘(2016년 6월 10일 한겨레신문)는 문강형준의 말에 김재인은 “니체의 말을 빗댄 뻘소리. 인문학은 명료하다.“(2016년 6월 11일 자신의 페이스북)는 말로 응수했다. 흥미롭다. 내가 누구의 말이 맞는지를 판단할 여력은 없다. 다만 인문학자들 사이에도 관점의 차이는 있다는 생각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굳이 말하자면 문강형준은 영문학, 독문학, 사회학을 공부했고 김재인은 미학, 철학을 공부했다. 이 차이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모르겠다. 덧붙인다면 그들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인문학을 체계 없는 학문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쌩 2016-08-24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무래도 자신의 학문적 기반을 무엇으로 삼고 출발했냐에 따라, 이런 인식의 차이를 불러온게 아닐까요?
제가 아는 모교수도 철학적 아포리즘이 매혹적인 이유는 그것이 간결하고 함축적이며 명석함을 가지기 때문이라고 말하더군요.

기하학 공준이 다섯개가 아니라, 오십개였다면 유클리드체계의 우아함은 증발했을 것이라고...

벤투의스케치북 2016-08-24 20:45   좋아요 0 | URL
네. 반갑습니다. 저는 세상이 불확실하고 불분명한 점이 있지만 인문학은 그런 점을 최대한 명료하게 다룰 줄 알고 분석하고 견해를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들려주신 말씀과 상응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독서(讀書)는 혼자 하는 행위 즉 독서(獨書)라 할 수 있지만 아직 읽지 않은 책을 만나면 어진 선비를 만난 듯 하고, 이미 읽은 책을 만나면 고인을 만난 듯 하라는 ‘독미견서 여봉양사(讀未見書 如逢良士) 독이견서 여우고인(讀已見書 如遇故人)’이란 말에 따르면 결코 혼자 치르는 행위가 아닌 듯. 문제는 다시 만나는 고인은 시들하고 새로 모습을 보이는 어진 선비는 너무 많아 숨이 막힌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