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랑의 김수근 건축가가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의 고문실(누가 봐도 고문실로 쓰일 수 밖에 없다는...)을 알고 설계(독재정권에 협조)했다는 설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뉜다.
건축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나뉘는지 모르지만 정신과 의사 한스 요아힘 마즈가 말했듯 우리가 어떤 이의 진술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진술 대상 이상으로 진술자의 성향이나 가치관이란 말을 되새기게 된다.
그리고 이를 인간이 은유를 사용해 사건을 새로 쓰는 즉 의미를 부여하는 예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 궁금하다.
조선사를 배우다 보니 그 중 하나인 왕릉에 관심이 많이 간다. 왕릉의 형태(단릉, 쌍릉, 합장릉, 삼연릉, 동봉삼실릉, 동원이강릉, 동원상하릉)도 흥미롭다.
김수근 이야기를 했지만 제 20대 임금 경종과 계비인 선의왕후가 묻힌 쌍릉인 의릉(㦤陵)도 이야기거리가 있다. 하나의 이슈로 수렴될 수도 있는 이야기이다.
서울 석관동에 소재한 의릉은 선의왕후의 ‘의‘를 이름으로 삼은 능이다. 옛 중앙정보부 강당이 능 울타리 안에 자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의릉 내의 옛 중앙정보부 강당도 수수한 건축물이라는 말과 심미성 높은 건축물이라는 엇갈린 평을 받는다.
조선사 공부를 하면서 거듭 느끼는 것은 우리 옛 건축물들이 인문적 가치를 담아 자연친화적이고 비압도적인 정신을 표현하는 것들이라는 점이다.
시험 하루를 앞둔 이 시점에도 이런 가외의 것들에 관심을 두는 나의 공부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란 생각을 하는 오후이다.
쇼스타코비치의 재즈 모음곡 중 왈츠가 신을 내는, 정오를 넘긴 이 시각.
고양 덕양구의 서삼릉에 회묘(懷墓)란 이름의 묘에 묻힌 폐비 윤씨가 문득 생각난다.
그의 쓸쓸한 삶을 한번쯤 가서 보고 싶다. 글쓰는 사람으로서 신경증이 있을 뿐이라던 롤랑 바르트를 따라 조선사 그리고 능을 배우는 사람으로서 책임감이 있기 때문이라 하면 지나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