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문화 평론가 강영희 님의 ‘올바른 불행 사용법 몰랐던 류철균‘이란 글을 읽었다.

류철균이 ˝나는 불행의 사용법을 알고 있다˝는 자신의 카톡 글을 언젠가 ˝나는 불행하다˝는 글로 바꾸기 바란다는 강영희 님이 주장하는 것은 불행에 대한 진정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보며 ‘호모 루덴스‘의 저자 요한 하위징아가 ‘문화사의 과제‘란 책에서 진화란 개념이 역사학에서 처음 나온 것이라 주장한 것을 생각하게 된다.

이 말을 통해 돌아보게 되는 것은 진화의 의미, 역사를 배우는 것의 의미, 그리고 내 정체성 등이다. 최근 정조(正祖)를 좋아한다는 36기 동기 한 분, 연암 박지원을 좋아한다는 한 시인과 대화를 하며 내 정체성을 돌아보았다.

나는 정조를 좋아하고, 연암보다 다산을 좋아한다. 연암은 자신을 감추는 글을 잘 썼고, 다산은 자신을 명징하게 드러내는 글을 잘 썼다. 연암이 해학과 골계에 능했다면 다산은 진지하고 간곡했다.

연암과 다산 사이에 정조가 있다. 문체반정으로 인한 화제거리는 그 한 예이다. 정조의 독살설, 정조가 고백한 태양증(기와 담 등의 울체로 인한 다혈질, 조급증 등) 등을 더 알아보아야 한다.

정조는 밤에 벽을 돌 때가 있었다고 한다. 정조의 개혁군주 여부 즉 정조가 개혁 군주인가 아니면 수구적 인물인가의 여부 등도 더 알아 보아야 한다.
물론 내게는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를 치우고 어좌 뒤에 책가도 병풍을 둘러친 정조, 할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아버지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한 사건으로 트라우마를 안고 반대파에 둘러 싸인 채 왕이 된 정조,

총애하는 의빈 성씨 사이에서 얻은 세자 순의 이른 죽음을 지켜보며 한없는 상실감에 싸였을 정조에 관심(연민)이 간다.

불행 그리고 거기서 나아가 인간에 대한 연민이 없을 경우 나타나는 증상의 생생한 예가 최근 드러났다. 삼성의 반도체 노동자가 백혈병으로 사망한 것에 이의제기하는 사람들을 겨냥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신성한 삼성을 흔들지 말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하는 이상한 괴물 같은 족속들이다. 어디부터 잘못된 것인지 안타까운 현실이다.

자본주의의 영향에 괴물이 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바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얼마든지 있다. 그럼에도 우려스러운 것은 물론이다. 한 생명에 대한 비인간적 시각은 백번 탄핵되어도 지나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효(文孝)세자는 정조가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장자이다. 세 살에 세자가 되었으나 다섯 살에 홍역을 앓다가 세상을 떠난다.

정조는 화마(火魔)를 입었거나 아픈 기억이 있는 창덕궁 동궁 영역을 보수하지 않고 내전인 성정각 옆에 중희당이란 새 동궁을 지어 세자를 가까이 있게 했다.

할아버지 영조와 아버지 사도세자의 관계를 경험으로 체득한 결과이다. 고궁박물관 궁궐실의 창덕궁 동궁과 후원 코너를 설명하는 글을 쓰다가 몇 가지 실수를 했다.

발표 전이어서 다행이지만 마음이 좋지 않다. 내원상화임자갱재축을 내원화상임자갱재축이라 쓴 것이 하나이다.

내원(內苑)은 후원의 다른 이름이고 상화(賞花)는 꽃구경을 의미한다. 임자(壬子)는 1792년이다. 갱재(賡載)는 임금이 시문을 지으면 신하들이 이어 짓는 것이다. 축(軸)은 두루마리이다.

정리하면 내원상화임자갱재축은 1792년 정조(1752- 1800)와 규장각 관원들이 창덕궁 후원에서 술을 즐기며 시를 짓고 화답한 내용을 모은 두루마리이다.

어렵다기보다 생소하다고 해야할까? 공부, 이제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널드 위니콧(Donald Winnicott: 1896 - 1971)은 대상 관계이론분야의 전문가인 영국의 정신분석가이다. 진정한 자아와 거짓 자아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하다.

페북에서 다음과 같은 그의 글을 읽었다. ˝It is a joy to be hidden, but disaster not to be found.˝ 인간 심리의 이중적이고 복합적인 면모를 잘 설명한 글이란 생각이 든다.

국내에 나온 책으로 ‘한 어린 소녀의 정신분석적 놀이 치료사례‘라는 부제가 붙은 ‘피글‘이란 작품이 있다.(이 책은 내게 잘 맞을 것 같다. 놀이, 정신분석, 어린 감수성 등이 키워드란 점에서.)

백의에서 나온 장 다비드 나지오의 ‘위대한 7인의 정신분석가‘에 7인의 한 사람으로 소개되어 있다.(도널드 위니코트로 명명)

나지오는 눈(NUN)에서 나온 ‘카우치에 누운 정신분석가‘의 저자이기도 하다. 이 밖에 눈에서 나온 안젤라 조이스의 ‘리딩 위니코트‘가 있다.

다시 위니콧의 말을 이야기하면 나는 언급된 그 글을 보고 나희덕 시인의 ‘푸른 밤‘을 생각했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길이었다....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 하나의 지름길이었다˝(직관적이지만...)

출처(出處)란 말이 있다. 출(出)은 출사(出師) 즉 현실 정치에 참여해 배운 바를 실천하는 행위이고 처(處)는 은일함 곧 초야에 묻혀 도를 연마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내 이야기를 하게 된다. 숨음(hidden)이든 발견(found)이든, 출이든 처이든 모두 하나를 버려야 하는 것. 내게 유난히 어필되는 것은 내 마음의 갈팡질팡 때문.

정중동(靜中動)이나 동중정(動中靜)은 있지만 출중처(出中處)나 처중출(處中出), 은중현(隱中顯)이나 현중은(顯中隱)은 없는 세상. 그 둘 사이에서 매혹되는 것은 나의 신경증 때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뢰하는 분이 대학때 낙제를 받은 적이 있다는 글(2017년 1월 10일 경향신문 기사 ‘결국 문제는 정치다‘)을 중요 참고점으로 삼아도 될까? 신뢰하는 분이란 서강대 정치학과 손호철 교수이다.

그분은 대학때 데모를 밥먹듯 하다가 정치란 무엇인가란 시험 문제에 상식에 기대어 만백성을 잘 먹고 잘 살게 하는 것이란 답을 냈다가 낙제를 받았다고 한다.

그 분이 지금 제시하는 답은 정치란 갈등 조정의 제도화이다. 내가 손 교수의 글에서 취한 요지는 준비하지 않으면 그 누구도 온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전 6곡을 대중 앞에서 완벽하게 연주하기 위해 13년을 하루도 거르지 않고 연습했다. 심지어 그는 아흔 살에도 하루 네 다섯 시간씩 연습을 했다.

왜 그렇게 열심이시냐는 누군가의 물음에 자신은 아직 발전의 여지가 있다고 답한 그는 삶을 마치기 직전까지 첼로 연습을 했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내가 시험 준비를 게을리한 탓에 점수가 나쁘게 나왔기 때문이다. 다른 책을 읽느라 머리가 아팠던 까닭도 있지만 이는 내 잘못이다.

시험 준비만 했다면 머리도 그렇게 아프지 않았을 것이고 시간도 빼앗기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나를 돌아본다. 나는 과연 문화해설을 사랑하는가.

시연으로 만회하는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다행히 내가 할 완성된 시연 시나리오에 좋은 평이 답지하고 있다. 이제 쉬고 외울 일만 남았다.

내가 생각해도 시나리오가 만족스럽다. 미션, 질문, 쉬운 내용, 흥미, 직접성(전시 유물을 설명하는) 등에서 그렇다.

지금까지 두 차례 치른 시연은 점수에 반영되지 않아 내 스타일을 고수했다. 일부러 어렵게 한 것은 아니고 결과적으로 어렵고 관념적이었다. 순응이 최선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장 플라스(mise - en - places) vs 데뻬이즈망( de‘paysement)... 모든 것이 반드시 제 자리에 있는 것 vs 어울리지 않는 낯선 곳에 있는 것. 두 가지 모두 어려움. 몹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