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위니콧(Donald Winnicott: 1896 - 1971)은 대상 관계이론분야의 전문가인 영국의 정신분석가이다. 진정한 자아와 거짓 자아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하다.
페북에서 다음과 같은 그의 글을 읽었다. ˝It is a joy to be hidden, but disaster not to be found.˝ 인간 심리의 이중적이고 복합적인 면모를 잘 설명한 글이란 생각이 든다.
국내에 나온 책으로 ‘한 어린 소녀의 정신분석적 놀이 치료사례‘라는 부제가 붙은 ‘피글‘이란 작품이 있다.(이 책은 내게 잘 맞을 것 같다. 놀이, 정신분석, 어린 감수성 등이 키워드란 점에서.)
백의에서 나온 장 다비드 나지오의 ‘위대한 7인의 정신분석가‘에 7인의 한 사람으로 소개되어 있다.(도널드 위니코트로 명명)
나지오는 눈(NUN)에서 나온 ‘카우치에 누운 정신분석가‘의 저자이기도 하다. 이 밖에 눈에서 나온 안젤라 조이스의 ‘리딩 위니코트‘가 있다.
다시 위니콧의 말을 이야기하면 나는 언급된 그 글을 보고 나희덕 시인의 ‘푸른 밤‘을 생각했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길이었다....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 하나의 지름길이었다˝(직관적이지만...)
출처(出處)란 말이 있다. 출(出)은 출사(出師) 즉 현실 정치에 참여해 배운 바를 실천하는 행위이고 처(處)는 은일함 곧 초야에 묻혀 도를 연마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내 이야기를 하게 된다. 숨음(hidden)이든 발견(found)이든, 출이든 처이든 모두 하나를 버려야 하는 것. 내게 유난히 어필되는 것은 내 마음의 갈팡질팡 때문.
정중동(靜中動)이나 동중정(動中靜)은 있지만 출중처(出中處)나 처중출(處中出), 은중현(隱中顯)이나 현중은(顯中隱)은 없는 세상. 그 둘 사이에서 매혹되는 것은 나의 신경증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