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이 사람을 움직인다 - 마음을 지배하는 공간의 비밀
콜린 엘러드 지음, 문희경 옮김, 정재승 감수 / 더퀘스트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콜린 엘러드(Colin Ellard)는 심리지리학을 이야기하는 인지신경과학자이다. 심리지리학은 신경과학, 건축, 환경을 접목시킨 학문이다. 엘러드의 주된 작업은 서로 다른 환경에 인간의 뇌와 몸이 반응하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규명을 바탕으로 엘러드는 더 나은 생활 환경을 만드는 노하우를 제공하는 글을 쓴다.
'공간이 사람을 움직인다'는 공간 속의 자연, 사랑의 장소, 욕망의 장소, 지루한 장소, 불안한 장소, 경외(敬畏)의 장소, 공간과 기술 등을 다룬 책이다. 인간은 건축물을 지어 지각(知覺)을 바꾸고 사고와 감정에 영향을 끼치며 인간 행동을 조직하고 권력을 행사하고 돈을 벌어들인다.(23 페이지)
우리가 어디를 가든 신경계와 마음은 우리의 경험에 의해 조작된다. 오늘날 인간의 경험은 그 어느 때보다 건축 환경에 의해 섬세하고 예술적으로 영향을 받는다.(25 페이지) 설계에 의해서든 우연에 의해서든 건축물은 아이의 행복한 미소를 보고 따라 웃으면 덩달아 기분이 좋아지는 현상과 유사한 방식으로 우리를 행동하고 느끼게 만들어준다.(35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인간은 감각기관에 들어온 사실을 일관된 이야기로 엮어 지각된 세계를 존재하는 세계로 만드는 존재라는 말을 한다.(67 페이지) 사랑의 장소라는 챕터에서 콜린 엘러드는 건축물과 낭만적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을 소개한다. 베를린 장벽을 사랑한다고 선언하고 실제로 결혼식 비슷한 의식을 치르고 이름도 발(wall) 발터(독일어로 발은 성벽을 의미한다.)로 개명한 사람이 있다.
콜린 엘러드는 주거공간의 모양과 배치가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끼치고 자기에게 꼭 맞는 집을 만나면 사랑에 빠진다는 말이 사실이라면 이런 상호 작용을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87 페이지) 가장 효과적인 실험 방법으로 콜린 엘러드가 소개한 것은 몰입형 가상 현실(immersive virtual reality)에 기초한 방법이다.
콜린 엘러드는 집의 미래를 논한다. 그에 의하면 건물에도 감각이 있어서 사방의 벽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에 적응하는 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 난방과 온도조절장치도 일종의 반응장치이다.(103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난해하기로 유명한 하이데거의 언어는 평생 태어난 곳에서 멀지 않은 검은 숲의 작은 오두막에서 지내면서 연구에 몰두했던 그가 산책하던 오두막 주변의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산길을 연상시키며, 그의 책 '숲길'은 독일어로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까지 이동하는 것을 몹시 어렵게 만드는 숲 속의 복잡한 길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110 페이지)
환경의 영향력을 알게 하는 글이다. 콜린 엘러드는 어떻게 하면 박물관을 전율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만들 수 있을까?란 물음을 던진다. 콜린 엘러드는 진품이 주는 매력이 정확도가 주는 매력으로 대체된 듯 하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진품인지보다 진짜처럼 보이는지에 관심이 더 많다는 것이다.(128 페이지)
콜린 엘러드에 의하면 이런 변화는 장소와 시간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방식에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준다. 인간은 곡선에 강한 친밀감을 느낀다. 길의 모양에 정서적 영향을 받는 동물이 인간만은 아니다. 자폐 동물학자인 템플 그랜딘은 도살장에 끌려가는 동물들이 직선으로 난 길보다는 곡선의 길을 따라갈 때 스트레스를 훨씬 덜 받는다고 주장했다.(135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욕망과 결합된 장소의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은 우리를 이성의 날카로운 경계를 넘어서 광기로까지 보이는 영역으로 끌고 간다고 말한다.(149 페이지) 장소를 향한 욕망어린 애착은 우리에게 유리한 상황을 예측하고 이용하도록 수천 년 넘게 진화해온 적응 반응에서 나온다.(150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건축가이자 도시공학자인 얀 겔(Jan Gehl)의 말을 인용해 좋은 도시의 거리는 평범한 보행자가 시속 약 5km로 이동하면서 약 5초에 한 번 꼴로 흥미로운 새로운 장소를 볼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말한다.(157 페이지)는 대니얼 벌린이란 심리학자를 언급한다. 벌린에 의해 권태 및 자극 상태에 관한 진지한 논의와 측정 방법이 시작되었다.
벌린은 식욕 및 성욕과 동등한 가장 원시적인 욕구로 정보를 얻으려는 욕구라 믿었다.(159 페이지) 벌린은 인간의 행동은 호기심 즉 새로운 것을 향한 끊임 없는 갈증을 해소하려는 욕구만으로도 동기를 얻는다고 보았다. 우리가 새로운 장소를 탐색하고 예술작품을 감상하도록 이끌어주는 욕구도 이런 욕구이다.
벌린은 권태가 높은 각성 상태, 심지어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할 수도 있음을 밝혔다.(163 페이지) 지루한 경험에 잠깐만 노출되어도 뇌와 신체의 화학반응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65 페이지)
저자는 지루한 건물에 잠시만 노출되어도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면 극단적으로 보이겠지만 실제로 매일 갑갑하고 지루한 환경에 둘러싸인 효과가 누적된다면 어떻게 될까? 묻는다. 콜린 엘러드는 경제적 요인(비용 절감) 때문에 단조로운 건물을 짓는 바람에 지루한 환경이 생겨난다고 주장한다.(169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긴축재정으로 가장 먼저 미술과 디자인 과목을 없애는 현실을 개탄하면서도 애초 건축 설계 관련 교과를 수업 과목에 넣으려고 진지하게 시도한 적이 없다는 사실에는 크게 불안을 품지 않는다고 지적한다.(173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특징 없는 도시 풍경이 조성되는 마지막 이유로 갈수록 디지털 기술과 정보에 의존하면서 건축 환경을 등한시하는 것은 꼽는다. 대중 교통 설계자 재닛 사딕칸은 스마트폰에 정신이 팔린 보행자가 다가오는 차에 부딪히지 않도록 뉴욕의 가장 번잡하고 위험한 교차로의 보도에 보행자의 시선을 끄는 거대한 그래픽을 그리도록 주문했다.(174 페이지)
이 사례는 건축 환경을 등한시 하는 현실을 증거한다. 콜린 엘러드는 감각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타고난 욕구를 무시하도록 설계된 거리 풍경과 건물은 새로움과 감각을 추구하는 진화적 충동을 거스를 뿐 아니라 미래의 인간에게도 편안함이나 행복, 최적의 가능성을 안겨주지 못할 것이라 말한다.(177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높은 수준의 위협이 느껴지는 불편한 장소에서 살면 신경계 반응과 내분비계 반응이 폭발해 정신병리를 앓거나 건강이 악화도기도 한다고 말한다.(182 페이지) 콜린 엘러드에 의하면 대도시에서 성장하거나 거주하는 사람들이 시골에서 사는 사람들보다 불안을 촉발하는 사회적 요인에 뇌가 더 강하게 반응한다.(184 페이지)
심리학과 미학 분야의 오랜 연구 전통에서 인간은 거의 보편적으로 둥근 윤곽선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는 곡선을 부드럽고 유혹적이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는데 반해 삐죽빼죽한 테두리는 딱딱하고 혐오스럽고 위험을 알리는 신호로 여긴다.(193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장소와의 상호작용은 주로 우리가 거의 모든 동물과 공유하는 깊은 차원의 생물학적 원칙에서 나온다고 말한다.(221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오늘날의 많은 연구자들이 모든 경외(敬畏) 경험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광대함(vastness)과 순응(accommodation)이라는 두 가지 고유 속성에 초점을 맞춘다고 말한다.(222 페이지) 순응이란 경외감을 일으키는 자극에 반응하여 세계관을 조정할 필요를 느끼는 방식이다.(223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거대한 건물을 짓고 경외감은 일으키는 건축을 경험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서 권력관계와 사회질서를 유지하려는 성향과 밀접히 연관된다고 말한다.(241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거대한 종교 건축물은 애초부터 우리가 저 높은 천국에 닿을 것처럼 보이는 건물의 꼭대기를 쳐다보도록 설계되었다고 말한다.(247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이든 웅장한 대성당이든 인상적인 시청이나 법원 건물이든 거대한 공간을 지날 때 다들 눈을 위로 드는 보편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말한다.(249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여는 글'에서 여섯 살이던 자신을 스톤헨지에 데리고 간 아빠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50년 전인 그때 콜린 엘러드는 순간의 느낌에 압도되었다고 한다. 콜린 엘러드에 의하면 그것은 어린 아이가 아빠 손을 잡고 낯선 장소에 가서 느끼는 보통의 감정보다 훨씬 큰 경외감이자 누군가가 자신과 공유할 의도 없이 어떤 원대한 목적을 위해 쌓은 거대한 바위 사이로 들어간다는 자각에서 오는 숨막히는 불안감이었다.
여섯 살짜리 아이가 건축세계에 느끼는 단순한 경외감이나 정서반응과 이 분야를 연구하는 어른 과학자로서의 비판적 반응을 가르는 경계를 끊임 없이 넘나든다(18 페이지)는 콜린 엘러드는 '닫는 글'에서 마치 거대한 분수령에서 두 발을 벌리고 선 기분이라 덧붙인다.(315 페이지)
물론 콜린 엘러드는 우리 모두는 거대한 무언가가 다가오고 있고 어찌 보면 이미 여기 와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른다고 말한다.(316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건축가의 창조적 비전을 소시지 기계에 억지로 밀어넣어 이미 시도되고 결함이 드러난 르코르뷔지에 아류의 설계만 찍어내는 과학적 설계로 가는 것은 위험해 보인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건축가에게 건물 안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현실을 외면한 채 마음껏 상상력을 펼치도록 허용하는 것도 현명해 보이지는 않는다고도 말한다.(317 페이지) 콜린 엘러드는 인간은 자기의식을 얻은 뒤로 세계를 감각과 생각과 감정의 자기성찰적 세계와 물리학과 물질의 외부세계로 영원히 구별하면서 정신적으로 엄청난 풍요를 얻은 대신 삶에 끝이 있음을 모르는 동물들의 조용하고 무심한 행복을 잃어버렸다고 말한다.(323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