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궁궐로 떠나는 힐링여행 : 창덕궁 ㅣ 인문여행 시리즈 8
이향우 글 그림, 나각순 감수 / 인문산책 / 2013년 6월
평점 :
응봉(鷹峯)이란 종로구 와룡동, 삼청동, 성북구 성북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서 매봉이라고도 한다. 이향우 저자는 안국역이 아닌 종로 3가역에서 내려 창덕궁을 볼 것을 제안한다. 돈화문(敦化門: 창덕궁의 정문)을 향해 북쪽으로 길을 걸어보자는 의미이다. “돈화문로를 따라 걷다 보면 응봉을 머리에 얹은 돈화문이 보인다.”고 한다.
‘중용’의 대덕돈화(大德敦化)를 출처로 하는 돈화는 임금이 큰 덕을 베풀어 교화를 도탑게 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돈화문은 현존 궁궐 문들 중 가장 오래된 문이다. 저자는 무엇을 보고 어떤 감동을 받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취향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21 페이지) 계절, 날씨,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분위기와 멋을 느낄 필요가 있다.
물론 나는 이야기 거리를 찾는 데 큰 관심이 있다. 왕이 움직일 때 머무르던 별궁(別宮)을 뜻하는 이궁(離宮)으로 출발한 창덕궁은 창경궁과 함께 경복궁 동쪽에 있다는 의미에서 동궐(東闕)로 불렸고 창경궁과 함께 후원을 공유했다. 돈화문은 창덕궁의 남문이다. 금호문, 요금문, 경추문은 창덕궁의 서문이다. 단봉문은 동문이다. 건무문은 북문이다.
돈화문 안쪽에는 천연기념물인 오래된 회화나무가 있다. 중국 주나라에서 궁의 외전 영역에 괴목(槐木: 느티나무)을 심어 삼정승들이 정사를 논한 것에서 유래했다. 같은 회(檜)자를 쓰지만 회화나무일 때는 회, 느티나무일 때는 괴라고 읽어 구분한다.(장세이 지음 ‘서울 사는 나무’ 285 페이지)
금천교(禁川橋)는 배산임수의 조건으로 명당수를 궁궐의 외전 영역에 인위적으로 끌어들인 냇물 위에 세운 다리이다.(39 페이지) 금천교는 조선시대 궁궐 돌다리들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모든 궁궐의 외전에는 반드시 금천이 있다. 창덕궁의 금천교(禁川橋)는 금천교(錦川橋)이다.
금천교 홍예 북쪽에는 현무를 의미하는 거북을 놓았고 남쪽에는 성군의 출현을 상징하는 백택(白澤)을 조각했다. 두 홍예 사이 가운데에 역삼각형 형태의 사나운 나티(짐승의 모양을 한 귀신의 일종) 부조 조각을 했다. 창덕궁 궐내각사는 궁궐의 궐내각사들 중 유일하게 복원되었다.
창덕궁에는 내각이라 불리는 규장각이 있다. 강화의 규장각을 외규장각, 창덕궁의 규장각을 내규장각(내각)이라 한다. 규장각은 왕립 도서관이다. 봉모당과 보각(왕실 서고) 사이에 향나무가 있다. 종묘가 국가 사당이라면 창덕궁 선원전은 왕실의 사당이라 할 수 있다.(65 페이지)
종묘 대제는 왕이 주관하는 친행(親行)과 세자나 고관이 대행하는 섭행(攝行)으로 나뉜다.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을 마주치게 된다. 태종과 영조 태 진선문 안에 북을 설치해 민원을 듣고자 했다. 옥당(玉堂)은 홍문관(弘文館)의 별칭으로 옥 같이 귀하고 아름다운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학문 연구, 시강(侍講), 언론 기능을 했다. 시강은 왕이나 세자에게 경서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중층 팔작지붕인 인정전은 밖에서 볼 때 2층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천장이 높은 통층 건물이다.(88 페이지) 인정문을 들어서면 금천교를 이어 진선문에서부터 따라 온 삼도(三道)가 인정전 월대까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삼도는 가운데 길이 양쪽 가장자리 길보다 넓고 약간 높다. 가운데 길은 임금이 다니는 어도이고 오른쪽 길은 문반이 다니는 길, 왼쪽 길은 무반이 다니는 길이다.
삼도 좌우에 품계석이 있다. 정조가 조정의 위계질서가 문란해졌다 하여 바로잡기 위해 관리의 품계를 나타내는 표지석으로 세운 것이다.(95 페이지) 인정전에도 잡상이 있는데 잡상은 궁궐 건죽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악귀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지붕 추녀마루에 장식한 토우의 일종이다. 우리 나라 궁궐의 잡상 종류는 모두 열 가지이다.(108 페이지)
인정전 월대 모퉁이에 있는 무쇠로 만든 큰 물동이를 드므라고 한다.(110 페이지) 창덕궁의 편전은 선정전이다. 선정문과 선정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행랑이 있는데 이렇게 건물 중앙을 가로지르는 행랑을 천랑(穿廊)이라 한다. 선정전은 혼전(魂殿)으로도 사용되었다. 혼전은 임금이나 왕비의 국장 뒤 삼년간 신위를 모시던 전각이다.
선정전은 조선의 궁궐 전각 중 유일하게 남은 청기와 건물이다.(117 페이지) 선정전 앞은 창덕궁의 동쪽 궐내각사가 있던 곳이다.(120 페이지) 선정전 동쪽의 희정당은 국왕이 평소 거주하던 곳이다. 순종이 타던 리무진 승용차가 건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남행각에 현관(porch) 시설을 덧붇였다.
희정당 지붕 동쪽 합각 마루에는 강(康)이란 글자가, 서쪽 합각 마루에는 녕(寧)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132 페이지) 희정(熙政)이란 화평하고 즐거운 정치를 의미한다. 희정당은 내전(內殿) 영역에 속하는 왕의 침전으로 지었으나 순조때부터는 편전으로 주로 사용했다.(137 페이지)
보경당(寶慶堂)은 성종 때에 수렴청정을 하던 정희왕후가 신료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정사를 보던 곳이다. 장고(醬庫)는 음식물을 항아리에 담아 보관하던 곳이다.(醬: 젓갈 장) 대조전(大造殿)은 왕비의 시어소(時御所: 임시 거처)이자 침전 영역이다. 용마루가 없는 무량각(無樑閣) 지붕의 건물이다.
대조전에 딸린 휴식 공간으로 사용된 경훈각(景薰閣)이 있다. 경훈은 경치가 훈훈하다는 의미이다. 훈(薰)은 향풀 훈자인데 종묘가 위치한 곳이 훈정동(薰井洞)이다. 희정당 동쪽의 성정각(誠正閣)은 창덕궁의 동궁이다. 성정이란 거경(居敬) 궁리(窮理) 성의(誠意) 정심(正心)에서 유래한 말이다. 영현문(迎賢門)이 유명하다. 현인을 맞이하는 문이란 의미이다.
관물헌에 걸려 있는 현판의 집희(緝熙)는 인격이 오래 빛나기를 바라다, 계승하여 넓히겠다는 뜻이다.(174 페이지) 관물은 사물을 관찰한다는 뜻이다.(緝: 모을 집) 성정각 담장 너머에 중희당(重熙堂)이 있었다.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동궁 영역으로 여러 천문 기구들이 마당에 놓여 있었다.
중희당은 정조가 장자인 문효세자를 위해 지은 세자의 집이었으나 문효세자가 5세에 죽자 정조가 자신의 편전으로 사용하다 후에 효명세자(순조의 세자)가 대리청정을 한 곳이다.(179 페이지) 낙선재(樂善齋)는 헌종의 사랑채로 단청을 하지 않은 소박한 집이다. 석복헌 동쪽에 수강재(壽康齋)가 있다. 낙선재나 석복헌과 달리 단청을 한 집이었다.
대왕대비의 처소를 동조(東朝)라 한다. 궁궐의 동쪽에 위치했다. 수강재는 순원왕후의 육순을 맞아 대왕대비의 거처로 고쳐 지어졌다.(206 페이지) 창덕궁 후원을 현재와 같은 규모로 확장한 왕은 세조이다. 후원 영역에 많은 정자가 지어진 것은 인조 때이다.(234 페이지) 후원의 면적은 약 9만평으로 창덕궁 전체 면적 14만 5천평의 60퍼센트에 이른다.
천원지방(天圓地方)에 근거해 지은 정자가 많다. 부용정도 그렇다. 하늘의 덕은 둥글고 원만한 데 있고 땅의 덕은 반듯한 데 있다는 의미이다. 주합루(宙合樓)의 주합은 천지를 의미하고 규장각(奎章閣)의 규장은 황제가 지은 문한(文翰)이나 어필을 의미한다. 규장각은 문장을 담당하는 하늘의 별인 규수가 빛나는 집이라는 의미이다.(254 페이지)
1776년 3월 경희궁에서 즉위한 정조는 즉위 석 달 무렵 창덕궁 후원에 규장각을 짓도록 명하여 9월에 완공시켰다.(255, 256 페이지) 의두합(倚斗閤)은 효명세자(순조의 아들)가 닮고 싶었던 할아버지 정조를 지칭한다. 효명세자는 할아버지인 정조의 뜻을 이어 왕권을 강화하고 세도정치를 타파하고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 했다.(285 페이지)
연경당(演慶堂)은 효명세자가 1828년 아버지 순조의 40세 생신에 존호를 올리며 의례를 행하기 위해 진연처로 창건했다.(293 페이지) 연경(演慶)은 경사가 널리 퍼진다는 의미이다.(演: 펼 연) 북촌의 계동마님댁이 창덕궁 연경당을 본따 지은 건물이다. 연경당은 궁궐 안의 민가 형식의 집으로 단청을 올리지 않은 백골(白骨)집이다.(295 페이지)
연경당은 본디 사랑채의 당호였다. 사랑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사랑방과 누마루로 나뉘어져 있다.(299 페이지) 창덕궁 존덕정은 모임 지붕의 건물이다. 용마루 없이 추녀마루로만 구성된 지붕이다. 존덕정 북쪽 창방에는 정조가 쓴 글이 걸려 있다. 만천명월주인옹자서(萬天明月主人翁自序)란 글이다. 만개의 개울이 달빛을 받아 빛나고 있지만 하늘의 달은 오직 하나라는 뜻이다.
정조 자신을 달에 비유하여 달빛이 만개의 개울을 고루고루 비추듯 만백성을 보살피겠다는 애민사상과 하늘의 달이 하나이듯 임금도 오로지 정조 하나 뿐이니 이에 대한 도전은 결코 용서할 수 없다는 강력한 왕권을 주장한 개혁 군주로서의 정치관을 읽을 수 있다.(321 페이지)
창덕궁은 그 어떤 임금보다 정조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의 뜻에 따르는 것이 태극과 음양오행에 합당한 일이며 우주의 원리를 거스르지 않는 일이라 말한 정도...품계석, 규장각, 주합루, 만천명월주인옹자서, 상조회(賞釣會) 등은 그의 그런 의지를 잘 보여준다.
폄우사(砭愚榭)는 효명세자의 독서처였다.(326 페이지) 폄우란 어리석음을 경계한다는 의미이다.(砭: 돌침 폄. 榭: 정자 사) 관람정(觀纜亭)은 부채꼴 모양의 정자이다. 관람정의 현판은 파초잎 모양이다. 청의정(淸猗亭)은 궁궐 안의 유일한 초가 정자이다. 정조는 문장을 아름답게 꾸밀 줄 알면서 환을 쏠 줄 모르는 것은 문무를 갖춘 재목이 아니라고 꾸짖었다. 규장각 신하들에게 활을 쏘게 한 곳이 바로 춘당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