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와 마음’, ‘미술관으로 간 붓다’의 저자이신 명법 스님의 페북 글을 읽었다. 많은 생각을 하며 한 구절 한 구절을 음미하며 읽었다.

많은 생각을 한 만큼 많은 말을 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나에게 참고점이 되는 것들에 대해서만 말하고 싶다.

대단히 힘들고 어려운 스케줄에 ‘어떻게든 6월만 넘기자‘란 생각을 하셨다는 글, “여기저기서 실패했던 경력들이 이 소임에 필요한 경험들이 될지도 모르겠다.“고 하신 말씀, ”평생을 두고 하실 일”이란 말씀 등이다.

지난 나의 2017년 6월은 네 권으로 책을 역대급으로 가장 적게 읽고 리뷰를 쓴 달이었다.

내 처지가 식음을 폐하고 엎드려 있는 상처 입은 짐승처럼 여겨질 정도였다. 책없는 무인도에 갇힌 사람 같기도 했고.

책에 의지해 겨우 바보를 면하는 나에게 책은 말할 필요조차 없이 중요한 것이다.

일이 바빠서라면 그럴 수도 있겠다 생각할 수 있겠지만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워서였으니 겹으로 아팠다.

이동순 시인의 ‘그 바보들은 더욱 바보가 되어간다’는 시집 제목이 나에게 들어맞는 상황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그런데 궁즉통이라고 어제 드디어 마음만 먹고 있던 요법을 시행했다. 결과는 그렇게 생각을 해서는 아니고 정말 드라마틱하게 통증과 현기증이 가벼워졌다.

결과론이지만 그간 내 선택은 허수경 시인의 시어처럼 ˝각각 따로˝인 ˝치병과 환후˝였다고 말할 만하다.

무엇보다 희망스러운 것은 호전된 퀄리티가 지속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무엇으로 인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을 때까지 조심해야겠다고 마음먹는다. 호사다마(好事多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각설(却說)하고 스님께서 하신 “여기저기서 실패했던 경력들”이란 글에서 얻은 위로와 함께 내게는 너무 큰 쾌거가 아닐 수 없다.

실패를 딛고 일어서면 된다는 깨달음으로 인한 위로와 천혜(天惠)의 선물인 약(藥)으로 인한 실제의 무엇.

그런가 하면 평생을 두고 할 일이란 말씀으로부터 나는 내 이상(理想)을 발견한 마음에 자신감까지 얻었다.

물론 어제의 호사(好事)들이 단발성으로 끝나더라도 다시 도전하고 모색하고 다시 희망할 것이다.

7월은 밀린 책들이 나를 부르는 첫 달이 될 것이다. 스님께 감사드리고 천혜의 선물에 대해서는 놀라움의 인사를 건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4월 26일 경복궁 경회루 2층에서 본 그물을 창덕궁 돈화문 처마에서도 보았습니다.

이게 무슨 이야기거리라도 되느냐 묻는 말씀이 들려오는 듯 합니다. 그 그물을 부시(罘罳)라 한다고 하네요.(그물 부, 면장面墻 시) 새가 날아들지 못하게 하는 그물이라네요.

경회루에서 듣기로는 새가 날아들면 지저분해지기도 하고 어린 생명이라도 생길 경우 뱀이 침입해 살생을 할 수도 있으니 궁궐에서 그런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게 하려 그물을 친 것이라 합니다.

당시 제가 물었습니다. 궁 밖에서는 살생이 일어나도 되는 건가요? 해설사는 했던 말을 되풀이하는 것 외에는 새 답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난감한 문제였을 것입니다. 궁궐 (그물)이 살생 자체를 막아야 하는 것은 아니니 말입니다.

궁궐이 자신의 영역 밖에서 일어나는 살생을 나 몰라라 하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그들 입장에서는 그것까지 책임지고 생각할 의무는 없었을 것입니다.

이번 창덕궁 외전(外殿) 시연에서 부시 이야기를 넣었습니다. 제가 이의를 제기했으면서도 경회루에서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넣은 것입니다. 아, 저도 같은 해설을 하는 것이 된 셈입니다.

오만하지만 악보(현악4중주 16번 4악장)에 ‘그래야만 했나?(Muss es sein?)’라는 말과 ‘그래야만 했다!(Es muss sein!)’는 자문자답을 적어놓은 베토벤 생각이 납니다.

베토벤으로서는 선문답 같았겠지만 예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다 이루었다(Es ist vollbracht)‘는 말씀을 자신의 입장을 대변하는 말로 쓸 수도 있지 않았을까, 란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충남 서산의 해미(海美)는 정해(貞海)의 해(海)와 여미(餘美)의 미(美)를 합해 만든 이름이다.

해미(海美)를 말하면서 해미읍성(邑城)을 빼놓을 수 없다. 해미면에 자리한 조선 시대의 읍성이며 천주교 순교 성지이다.

고종때의 일로 주로 이름 없는 천주교 신자 1000여명이 생매장당한 곳이다.

나희덕 시인의 ‘해미읍성에 가시거든’은 내가 즐겨 읽는 시이다. 시인은 이 시에서 회화나무와 느티나무를 이야기한다.

회화나무는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할 때 형틀로 사용한 나무이고 느티나무는 마을의 자랑거리인 우람한 노거수이다.

시인이 말하는 것은 그 회화나무의 아픔을 헤아린 뒤 찾는 느티나무 그늘 아래에서 회화나무를 잊은 듯 웃고 있지만 말고 그 나무의 어둠도 기억하라는 것이다.

최근 내 주요 관심지가 된 창덕궁에도 회화나무와 느티 나무가 있다. 해미의 두 나무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궁궐에 사는 나무들이다.

회화나무는 돈화문(敦化門)을 들어서면 보이는 왼쪽에 있고 느티나무는 이 나무들을 등지고 볼 수 있는 금천교 옆에 있다.

삼정승을 상징하는 중국을 따라 창덕궁에도 같은 의미로 회화나무를 심었다.(장세이 지음 ‘서울 사는 나무’ 289 페이지)

그러면 느티나무는? 창덕궁 금천교(錦川橋)를 와서 보라고 말하는 나무가 아닐지?

돌로 만들어졌기에 임진왜란때도 불에 타지 않은 금천교에서 내 관심을 가장 크게 끄는 것은 무지개 모양의 다리 기둥이다. 힘을 분산시키고 안정감도 있고 아름다운 대칭인 다리.

자연인 나무는 대칭이 아니고 인위인 다리는 대칭인 것이 눈에 들어온다. 대칭도 아름답지만 비대칭으로부터 오는 나무의 자유도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창덕궁과 관련해 특별히 관련 있는 단어가 옥(玉)이란 글자가 아닐까 싶다. 홍문관(弘文館)의 별칭인 옥당(玉堂)의 옥, 옥새(玉璽)의 옥이 모두 창덕궁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옥당은 궐내각사(闕內各司)에 속하는 곳인데 특별히 창덕궁의 궐내각사만 복원이 되었다.(2013년 출간 이향우 지음 ‘궁궐로 떠나는 힐링 여행 창덕궁’ 49 페이지)

궐내각사는 궁에 들어와서 업무를 보던 관리들의 작은 관청을 말한다.

신문 기사(2015년 12월 14일 세계일보 ‘경복궁 복원규모 줄이고 사업기간 연장’)를 보니 이런 구절이 있다.

“궁궐 내 정치·행정관청이 밀집했던 궐내각사 영역 건물 복원은 3단계(2026∼2034년, 궁중통치권역)로 정해졌다. 지금은 경회루를 등지고 광화문을 바라봤을 때 별다른 건물 없이 잔디밭이 펼쳐져 있는 지역이다.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 등의 건물이 복원될 예정이다.”

지난 6월 7일 창덕궁 수업에서 순정효황후에 대해 들었다.

1910년 한일합방 직전 열린 어전 회의(창덕궁 대조전)에서 순종이 조약에 날인할 것을 강요받은 급박한 순간 병풍 속에서 나온 순정효황후 윤씨(순종의 황후)가 안타까운 마음에 치마 속에 옥새를 감추었다는 내용이다.

최근 한 신문이 이 사실을 전하며 옥새(玉璽)와 옥쇄(玉碎)란 말을 함께 썼다. ˝치마 속에 옥새를 숨긴˝이란 말과 ˝옥쇄와 함께 나라를 빼앗겼습니다.˝란 말이 함께 쓰인 것이다.

그런데 옥쇄는 옥처럼 아름답게 부서진다는 뜻으로 크고 올바른 일을 위해 명예를 지키며 깨끗이 죽는 것을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이런 언어 사용은 앞에서 언급한 ‘궁궐로 떠나는 힐링 여행 창덕궁’에서도 보인다.

“며칠을 차마 사위(嗣位)할 수 없다고 사양하다가 성복(成服)일에 이르러서야 막차(幕次)에서 면복(冕服)으로 갈아입은 왕세자가 빈전에서 무릎을 꿇고 옥쇄를 받습니다.”(85, 86 페이지)

잘 쓴 책인데 사소하겠지만 잘못은 잘못이다. 묘하게도 창덕궁을 설명하는 두 매체(신문과 책)가 오류를 범한 것이다. 옥새와 관련해 다른 궁궐도 이야기거리가 있는지 찾아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밀물때는 해수가 들어차고 썰물때는 지하수가 차올라 담수호가 된다는 제주 비양도의 펄랑못을 티브이에서 보았습니다. 바닷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간만조 수위를 보이는 염습지라네요.

방향 가늠이 어려워 밀물도 썰물도 주체는 달이라는 생각을 하며 보았습니다. 달이 당기니(써니) 우리 입장에서는 바닷물이 멀어지는 것이고 밀어내니 가까와지는 것이라고요. 맞나요?

방향 가늠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한 것은 좌묘우사를 말할 때는 경복궁이 기준이고 동궐과 서궐을 말할 때는 우리가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이것도 맞나요?

그나저나 몇년 전 관리권이 기획재정부에서 한국자산관리공사로 넘어가면서 관리주체가 불분명해 아름다운 풍광이 훼손될 위기에 처했다고 하네요. 현재 날이 더워 습지는 녹조로 가득한 상태입니다.

습지는 일반 재산이지만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것이 맞는데 한국자산관리공사로서는 일반 재산 현황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이를 보며 잊혀진 궁궐인 경희궁은 공원으로 분류되어 서울시의 관리를 받고 경복궁은 문화재청의 관리를 받는 현실을 생각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