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의 해미(海美)는 정해(貞海)의 해(海)와 여미(餘美)의 미(美)를 합해 만든 이름이다.

해미(海美)를 말하면서 해미읍성(邑城)을 빼놓을 수 없다. 해미면에 자리한 조선 시대의 읍성이며 천주교 순교 성지이다.

고종때의 일로 주로 이름 없는 천주교 신자 1000여명이 생매장당한 곳이다.

나희덕 시인의 ‘해미읍성에 가시거든’은 내가 즐겨 읽는 시이다. 시인은 이 시에서 회화나무와 느티나무를 이야기한다.

회화나무는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할 때 형틀로 사용한 나무이고 느티나무는 마을의 자랑거리인 우람한 노거수이다.

시인이 말하는 것은 그 회화나무의 아픔을 헤아린 뒤 찾는 느티나무 그늘 아래에서 회화나무를 잊은 듯 웃고 있지만 말고 그 나무의 어둠도 기억하라는 것이다.

최근 내 주요 관심지가 된 창덕궁에도 회화나무와 느티 나무가 있다. 해미의 두 나무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궁궐에 사는 나무들이다.

회화나무는 돈화문(敦化門)을 들어서면 보이는 왼쪽에 있고 느티나무는 이 나무들을 등지고 볼 수 있는 금천교 옆에 있다.

삼정승을 상징하는 중국을 따라 창덕궁에도 같은 의미로 회화나무를 심었다.(장세이 지음 ‘서울 사는 나무’ 289 페이지)

그러면 느티나무는? 창덕궁 금천교(錦川橋)를 와서 보라고 말하는 나무가 아닐지?

돌로 만들어졌기에 임진왜란때도 불에 타지 않은 금천교에서 내 관심을 가장 크게 끄는 것은 무지개 모양의 다리 기둥이다. 힘을 분산시키고 안정감도 있고 아름다운 대칭인 다리.

자연인 나무는 대칭이 아니고 인위인 다리는 대칭인 것이 눈에 들어온다. 대칭도 아름답지만 비대칭으로부터 오는 나무의 자유도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