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명전은 현재 경운궁 밖에 위치하고 있다. 정동극장을 나와 바로 우회전 해 십여 미터 가면 만날 수 있다. 지난 8월 경운궁 답사에서 동선을 설정하며 문의했는데 경운궁 경내에서 중명전을 보기 위해 나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나는 중명전을 보러 갔다가 다시 들어오는 동선을 취해도 되는지를 물었었다. 당연히 안 된다는 답을 들었다.

중명전의 옛 이름은 수옥헌이다. 중명전이 궁 밖에 위치하게 된 것은 일제가 궁을 축소하기 위해 석조전과 중명전 사이에 도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중명전은 궁 밖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중명전은 을사늑약이 체결된 비운의 전각이자 고종의 서재로 쓰이던 곳이다. 고종은 이곳에서 여러 외국 사신을 접견했다.

긴박한 대한제국기에 서재라니 할 수도 있다. 1904년 경운궁의 대화재로 고종은 수옥헌을 임시 거처로 쓰며 전각의 이름을 중명전으로 격상시켰다.

궁궐 전각에도 위계가 있다. 전당합각재헌루정(殿堂閤閣齋軒樓亭)이 그것이다. 근정전, 자선당, 곤녕합, 비현각, 집옥재, 영춘헌, 경회루, 향원정 등이 그 예이다.

이 여덟 전각들 중 일곱 전각은 경복궁의 것들이다. 하나 예외인 것은 영춘헌이다. 창경궁의 건물로 정조의 서재로 쓰인 곳이다. 정조 역시 책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군주이다.

모레 치를 시연 준비를 하며 이런 저런 생각을 한다. 나 역시 미적거리고 있다. 그래도 나는 내일 치를 시연을 아직 준비하지도 못했다는 분에 비하면 나은 걸까?

미적거리다가 꼭 마감에 임박해 글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일단 시작을 하면 어떤 미지의 힘이 자신을 쓰기 모드로 몰고 간다는 분의 글을 최근 읽었다.

글과 달리 해설은 쓰고 외워 말로 설명까지 해야 하니 더 어려운데 참 길게 미적거린다는 생각이 든다. 완벽주의 탓도 아니고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 쓰다가 자신감이 떨어지면 중단하는 이 것, 양가감정일까?

그나마 글을 외우기 좋게 쓰는 비결 같은 것을 조금 알게 되었다. 다행이지만 그것을 믿고 미적거린다면 문제이다. 뒹굴거리다가 영감이 생기기를 바라는 거라면 의도적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월요일(9월 11일) 서울 서대문 골목길에서 면장집이란 세로 현판을 보았다. 그곳이 서울이니 행정 단위인 면(面)을 의미할 리는 없는데..

‘서대문 면장집‘이라 검색하자 서대문 영천 시장에 면장(免墻)이란 상호의 만두집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담장을 면하다란 뜻이다. 담장이란 답답하게 사람을 가로막는 무지를 말한다.

인이불학人以不學 기유정장면이립其猶正墻免而立이라는 ‘논어‘ 구절에서 힌트를 얻은 말이다.

저런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고 쓴 말이다. 사람이 되어서 배우지 않으면 담장을 마주하는 것처럼 미련하게 된다는 뜻을 가진 문장이다.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면장(面長)을 한다는 말이 아니라 면장(免墻)을 한다는 뜻 다른 말로 담장이 앞에 있는 것 같은 답답함 즉 무지를 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면장(面墻)이란 말도 있다. 면장(免墻)과는 정반대의 의미를 가진 말이다. 면장(面墻)은 담장을 마주하듯 식견이 좁고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면장집이라는 한글 현판을 내건 집은 골목길에 어울리게 낡고 누추하다. 한자로 썼다면 이런 혼란(?)은 불필요했으리라 보인다.

면장(免墻)이라면 주인은 자신은 누추하고 옹색한 집에 살지언정 학식은 있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 그렇게 썼다고 보인다.

골목이 사라져간다는 말이 들린다. 이야기거리가 사라져간다는 말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운몽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2
김만중 지음, 송성욱 옮김 / 민음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이 숙종(肅宗) 15년인 1689년 쓴 구운몽(九雲夢)‘은 불후의 소설이다. ’구운몽을 불후의 작품으로 보는 이유는 1) 저자의 문장이 세련되었고, 2) 주인공 성진(性眞)의 천상계에서 인간계로의 여정, 인간계에서 다시 천상계로의 여정이 리얼하게 그려졌기 때문이고, 3) 유교, 불교, 도교의 가치관을 적절히 혼합해낸 솜씨가 정묘(精妙)하기 때문이고, 4) 인생무상의 진리를 자연스럽게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또한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점,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병환을 위로하기 위해 지은 소설이라는 점, 저자의 학식이 잘 드러난 소설이라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 작품이다. 구운이란 아홉(주인공 성진 + 8선녀)개의 구름을 뜻한다. 구름 같은 꿈이라는 의미로 성진과 8선녀의 허망한 세상사를 꿈으로 표현한 것이다.

 

천상계의 성진은 용왕에게 사례하고 올 사람을 찾는 스승 육관대사의 부름에 자청해 응한다. 용왕을 만난 성진은 그가 권하는 술 석 잔에 취해 돌아오는 길에 남악(南岳)의 위부인이 대사에게 보낸 8선녀를 만나 꽃을 꺾어 던져 명주(明紬)로 만드는 등의 희롱을 하다가 염라(閻邏國)을 거쳐 지상으로 유배된다.

 

8선녀 역시 유배되는데 유배란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숙종이 장희빈을 왕후로 책봉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유배당한 저자의 생이 반영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티벳 사자(死者)의 서()’에는 중음신이 자신이 태어날 어머니를 골라 그의 태()에 드는 장면이 있다. 성진은 유()씨 부인의 태로 들어가 남자 아이로 태어난다.

 

()처사(處士)가 아버지인데 그는 아들이 분명 하늘 사람이었다고 확신하고 성진에게 소유(少遊)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자신은 소임을 다했다며 하늘로 돌아간다. 소유란 천상계에서 지상계로 오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8선녀 역시 인간으로 태어난다. 진채봉, 계섬월, 정경패, 난양공주, 가춘운, 적경홍, 백릉파, 심요연 등으로 태어난 8선녀는 결국 인간계에서 소유의 여자들이 된다.

 

소유는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고 할 일을 다하고 말년에 깨달음을 얻는다. 그것은 자신의 삶이 하룻밤 꿈 같은 것이었다는 인식이다. ‘구운몽이 일부다처의 문제점을 환기시킨 작품이라는 말이 있는가 하면 교묘히 그런 점을 합리화하는 작품이라는 말도 있다.

 

소설의 말미에 8선녀가 관음보살께 한 낭군(郎君)을 모시게 되었음을 아뢰며 백년해로 후에 함께 극락으로 가게 해달라고 비는 장면이 나오는데 8선녀들은 소설에서 일부다처제도를 불편해 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함께 백년해로하고 극락으로 가게 해달라고 빌기까지 하니 소설이 일부다처제도를 합리화하는 것이라 볼 여지가 충분하다.

 

구운몽이 한국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지 300년 정도가 지난 영, 정조대에 이르러 소설이 널리 유행했다. 처음 한글이 창제되었을 당시 문자를 조합하는 원리 정도만 알려졌을 뿐이었으니 문장으로 표현되고 소설에 쓰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리라는 점은 충분히 상상할 만하다.

 

소유와 8선녀는 말년까지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인생은 허망하다는 깨달음을 얻고 극락으로 간다. 제목이 같지만 시대 차이가 300년 정도 나는 최인훈의 구운몽과 비교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한문 소설을 쓰지 않고 한글 소설을 쓴 김만중은 우리 것을 사랑하고 우리 것의 진정성을 높이 산 진정한 한글 전도사라 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2월 조너선 보로프스키(Jonathan Borofsky: 1942 - )의 ‘해머링맨‘이란 작품을 처음 보았다. 광화문 흥국생명 빌딩 앞에서이다. 해머링맨은 전 세계 여러 나라 도시에 설치되었다.
서울에 설치된 해머링맨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큰 것은 프랑크푸르트에 설치된 작품이다.

흥국생명 빌딩 앞에 설치된 헤머링맨은 무게 50톤, 높이 22미터의 거대 작품이다. 노동의 신성함에 경의를 표하는 작품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작가는 세계 곳곳의 다른 지역에 서로 다른 해머링맨을 설치하는 것이 목표라 말한다. 서울 작품에는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아 털모자를 씌우고 신을 신긴 적이 있었다.

그렇게 지난 2월 처음 거대 조각상을 보았을 때는 숭고(崇高)라는 개념을 떠올리고 말았을 뿐 사진을 찍지는 못했다.

숭고는 거대 건축물을 보며 느낄 수 있는 감정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것을 인식하는 우리 내면에 드러나는 이성의 이념이 숭고하다는 것이 칸트의 주장이다.

이번 걷기 일정(9월 11일)에서는 사진을 찍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거대 건축물을 지으면 국력이 쇠퇴하는 경우가 있다.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했을 때가 대표적이다.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관련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이집트는 문자가 처음 만들어진 뒤 얼마간 모든 기록이 단어 단위로만 이루어졌는데 이 거대 건축물을 지었을 때 오히려 비로소 문법을 갖춘 문장이 쓰이기 시작한 것이다.(양정무 지음 ‘난생 처음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249 페이지)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무리하게 건축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집트의 경우 국력이 강해져 건축에의 여력이 충분히 생겼을 때 피라미드를 지었다고 보아야겠다.

‘해머링맨‘을 보며 하는 나의 이런 생각을 사유라고 해도 될까? 누구에게나 상상의 자유가 있다는 사실이 다행이다.(텍스트 일변도에서 가끔 사진도 게시하라는 페친의 조언을 받아들이며... 감사함을 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에서 서울을 찾는다 - 홍성태의 서울 만보기
홍성태 지음 / 궁리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안국동, 인사동, 정동, 광화문로 등을 주로 걷고 창경궁로, 돈화문로, 창덕궁길 등은 궁궐에 가는 길에 걷곤 했는데 어제 충정로(忠正路)를 걸었다. 충정로란 이름은 1905년 을사(乙巳)늑약(勒約) 때 순국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의 시호에서 유래했다.

한성전기회사의 미국인 기사장 맥렐란의 사택이었던 충정각, 프랑스 대사관, 1937년에 지어진 현존 최고(最古)의 아파트인 충정아파트(토요타아파트), 돈의문(서대문), 적십자병원(경기감영京畿監營터), 감리교신학대학, 영천시장, 독립문 등을 보았다.

이 거리만의 특징은 아니겠지만 큰 길가의 고층 건물들과, 그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골목길의 사뭇 다른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물론 아기자기한 정감(情感)을 느끼려면 골목길과 전통 시장 등을 찾는 것이 제격이다.

도시와 타운을 나누는 기준은 행정 기능의 소유 여부이다. 도시는 행정 기능을 가지고 있고 행정 기능이 없는 타운은 농경 지역과 상대되는 상업적, 문화적 중심지이다. 사학자 박진빈 교수는 그런 사전적 정의들과 다르게 더 포괄적이고 감성적인 부분을 담고 있는 곳을 도시로 풀이한다.(‘도시로 보는 미국사’ 11 페이지)

그제 정동길 순례 후 서울역사박물관에 들러 영화 상영 정보를 알게 되었다. 제 9회 서울 건축영화제 일정으로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9월 4일 – 9월 10일. 무료), 이화여대 아트하우스 모모2관(9월 11일 – 9월 17일. 유료), 문화비축기지 탱크6 다목적 강의실(9월 22일 – 9월 24일. 무료) 등에서 도시와 건축 영화가 상영되는 것이다.

구세군회관빌딩 자리에 있던 경희궁의 정문인 흥화문(興化門)이란 현판 글씨는 어두운 밤에도 빛이 날 정도로 명필이었다. 이에 그 앞은 야조가(夜照街)라 불렸고 후에 야주현, 야주개 등으로 불렸다. 야주개홀이란 이름은 이에서 유래한다.

재건축과 젠트리피케이션(공간 고급화. 1964년 독일 출신의 영국 사회학자 루스 글라스가 런던 시내의 노동자 계급 거주지에 중상층이 유입되는 바람에 기존 거주자들인 노동자들이 밀려나는 현상을 보고 붙인 용어. gentry는 상류사회를 의미.) 등의 이슈들을 다룬 영화들이 상영된다.

우리나라도 젠트리피케이션에서 예외가 아니고 그런 모습이 빚어지는 데에는 지역 차이도 별로 없다. 인근에 조선시대 관리들의 숙소인 객사(客舍)가 있고 서울 이태원 경리단길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은 전주 객리단길도 최근 치솟는 임대료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지방을 예로 들기 위해 하는 말이다.

미국도시사학회 회장을 역임한 도시사학자 마이클 카츠는 ‘왜 미국 도시들은 불타지 않는가(Why American Cities Don’t Burn)’란 책에서 1950 – 1960년대보다 훨씬 더 심해진 불평등과 가난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미국 도시들이 불타지 않는(차별받는 흑인 노동자들이 폭동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를 분석했다.

20 세기 내내 지속된 인종간 분리 정책으로 흑인들 입장에서 분노를 쏟을 상대(백인)가 존재하지 않아 자신들끼리 총구를 겨누기 때문이고, 소비주의의 만연으로 사회 구조 변화를 위한 투쟁의 의지가 약해졌기 때문이고, 경찰의 군대화 즉 약자에 대한 집중적 관리 때문이다.(박진빈 지음 ‘도시로 보는 미국사’ 272, 273 페이지)

우리는 물론 이와 상황이 많이 다르다. 다만 홍성태 교수의 문제제기 같은 것은 들어볼 만하다. 홍 교수는 도시를 난민의 도시와 시민의 도시로 나눈다. 난민의 도시는 더 많은 이윤을 향한 이기적 경쟁 논리에 사로잡힌 도시이다. 시민의 도시는 사람을 위한 도시이다.

홍 교수는 난민의 도시를 시민의 도시로 바꾸려면 네 가지가 필요하다고 본다. 1) 난개발을 막아야 한다. 2) 자동차 중심의 거리를 보행자 중심의 거리로 바꾸어야 한다. 3) 제멋대로 들어선 전봇대와 전깃줄을 모두 깔끔하게 정리해야 한다. 4) 건물을 어지럽게 만드는 간판들을 정리하고 어디서나 쏟아져 나오는 소음들을 막아야 한다.

홍 교수는 세종로를 감시(監視)의 거리로 규정하고 세운상가는 폭압적 근대화의 상징으로 본다. 홍 교수에 의하면 정동(貞洞)은 슬픈 공간이다. 정동은 대한제국 즉 식민지 근대의 공간이다. 정동의 대표적 낭만지인 경운궁(덕수궁) 돌담길도 우아한 곳이기보다 경찰들이 곳곳에서 감시의 눈초리를 번득이는 곳이다.(세종로가 그렇듯)

홍 교수의 책에는 미국 정부가 미국 대사관과 삼청동의 미국 대사관 직원 숙소를 정동으로 옮기려 한다는 내용이 있다.(홍 교수의 책은 2004년 발간된 책이다.) 경기여고터에 새 대사관을 짓겠다는 것이었는데 다행히 사적(史蹟)지로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2005년 1월) 현재 미국 대사관은 용산으로 이전하기로 결정되었다.(2010년 6월)

종묘(宗廟)의 경우는 어떤가. 세계문화유산 알림 표지판에서 불과 100 미터 정도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쓰레기 적치장이 있다. 이 사실은 안타까울 뿐이다. 저자는 전주 이씨 화수회(花樹會)에서 정말로 해야 할 일은 종묘의 담장과 그 둘레의 모습을 종묘에 어울리게 다듬는 것이라 말한다.(227 페이지)

대학로는 어떤가. 대학로란 이름은 폭력 통치에서 문화통치로 전술을 바꾼 전두환의 기만책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국풍 81이 대학생들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만든 엉터리 축제이듯. 대학로는 사이비 낭만과 젊음의 거리이다. 대학로는 유흥의 거리일 뿐이다.

낙산(駱山)으로 오르는 길이 있는 동숭아트센터 옆 골목까지 유흥의 물결에 의해 잠식되었다.(242 페이지) 낙산(駱山)은 풍수에서 좌청룡(左靑龍)이다. 우백호(右白虎)는 인왕산(仁王山)이다. 남주작(南朱雀)은 남산(南山)이다. 북현무(北玄武)는 북악산(北岳山)이다. 일제 강점기에 인왕산(仁旺山)으로 개명되었으나 1995년 본래 이름인 仁旺山으로 환원되었다. 해방 후 50년이나 지나 환원되었다는 것이 씁쓸하게 여겨진다.

우백호인 인왕산에 비해 좌청룡인 낙산은 아주 작아 조선시대에서는 이곳에 숲을 울창하게 조성해 모자란 부분을 채우려 했다. 그런데 일제때 이곳에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들어 토막(土幕)을 짓고 살기 시작하는 바람에 조금씩 숲이 없어졌고 박정희때는 그 꼭대기에 시민 아파트를 짓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낙산은 더 이상 자연공간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245 페이지)

낙산은 해발 125미터, 인왕산은 해발 338미터이다. 한양 천도 초기 무학대사는 인왕산을 주산(主山)으로 삼고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光化門)을 동쪽으로 내자고 주장했지만 정도전과 그 지지 세력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풍수에서 좌청룡은 남자와 장자(長子)를, 우백호는 여자와 차자(次子)를 상징한다. 유교는 적장자(嫡長子)을 우선시한다. 한편 하륜은 안산(鞍山: 무악毋嶽)을 주산으로 삼자고 했었다. 무학대사의 주장대로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으면 좌청룡은 북악산이 된다.(북악산은 342미터이다.)

저자는 우리로서는 불행한 일이지만 한국의 근대화는 식민지 시기와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한다.(284 페이지) 저자는 명동(明洞)을 어두운 동네로 표현한다. 일제 시대에 명동은 명치정(明治町)이라 불렸다. 정(町)은 마치(まち)이다. 제국주의의 길을 닦은 일왕의 이름을 슬쩍 바꿔 밝은 동네라는 뜻으로 고친 것이다.

명동은 사실 언제나 어두운 동네이다. 높다란 건물들로 둘러싸여 햇빛이 제대로 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담이지만 풍수에서 말하는 명당은 명당(明堂)이다. 명당(名堂)이 아니다. 도시가 생명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려면 녹지공간을 시내 곳곳에 조성해야 한다. 당연히 그것은 엄청난 땅값과 싸워야 하는 어려운 일이다.(311 페이지)

경우가 다르지만 서울 도심의 선정릉(宣靖陵)을 보면 서울에 이렇게 넓은 녹지가 들어서 있다니, 하고 놀라게 된다. 저자는 희망의 사례로 난지도를 든다. 쓰레기산이었던 난지도는 이제 생태공원이 되었다. 주변에는 상암 올림픽 경기장이 있다.

난초(蘭草)와 지초(芝草)를 아우르는 은은한 행기를 지닌 난지도는 철따라 온갖 꽃이 만발해 꽃섬이라 불리던 아이들의 놀이동산이었는데 이후 육지와 연결되었고 사람들이 이곳에 쓰레기를 매립하기 시작했었다고 말한다.(‘풍경의 감각’ 141 페이지)

2017 서울 세계건축대회 팜플렛을 보니 건축문화 투어로 몇 가지 프로그램이 소개되어 있다. 경향신문 사옥, 돈의문터, 경교장, 한양성곽, 홍난파 가옥, 권율 도원수 집터, 딜쿠샤, 독립문, 독립관,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순례하는 ‘공간 속 역사, 그 흔적을 찾아가다’가 이미 지나갔고 예정된 것들 가운데는 후암초등학교, 독일문화원, 남산중앙교회, 해방촌교회, 해방촌성당, 해병대초대교회, 보성여고, 남산교회 등을 답사하는 ‘서울의 역사와 기억을 보존하다. 해방촌과 서울로 7017’(9월 15일. 18시 30분 – 21시 30분)이 있다.

물론 신청은 이미 마감되었다. 다만 나는 정독도서관에서 열리는 ‘우리가 몰랐던 궁궐 이야기’ 강의를 들을 수 있어 다행이라 생각한다. 이 강의는 조선궁궐과 음양오행, 조선궁궐과 풍수지리, 조선궁궐과 조선왕릉의 구조는 똑같다? 실록으로 읽는 조선궁궐 등으로 이루어진 강의이다.( 9월 19, 21, 26, 28일. 19시 – 21시)

서울을 말하는 여러 책들이 있다. 그 책들을 크게 둘로 나누면 홍성태 교수의 ‘서울에서 서울을 찾는다’처럼 비판적 안목을 바탕으로 한 책과 낭만에 초점을 맞춘 책이 될 것이다. 두 경우 모두 도움이 된다. 비판과 낭만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순리가 아닐지?

‘서울에서 서울을 찾는다’는 공동체 의식과 바른 지향점을 생각하게 하고 낭만에 초점을 둔 책은 소중한 느낌을 간직하게 한다. 많이 읽고(다독多讀), 많이 듣고(다청多聽), 많이 돌아다녀야(다순多巡) 할 것이다. 박태원의 소설에 소설가로 나오는 구보는 서울 거리를 배회하며 느끼는 내면 의식의 변화를 드러낸다.

지금 내 모습은 세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기만 할 뿐인 구보를 닮은 듯 하다. 당시(1930년대)에는 지식인만이 도시 거리를 걸으며 비판 정신을 가질 수 있었겠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지금은 평범한 사람들에게도 세상은 문제적으로 보인다. 다만 박태원의 소설은 몽타주 기법과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작품이지만 나를 비롯한 많은 평범한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다는 차이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