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운몽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2
김만중 지음, 송성욱 옮김 / 민음사 / 2003년 1월
평점 :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이 숙종(肅宗) 15년인 1689년 쓴 ‘구운몽(九雲夢)‘은 불후의 소설이다. ’구운몽‘을 불후의 작품으로 보는 이유는 1) 저자의 문장이 세련되었고, 2) 주인공 성진(性眞)의 천상계에서 인간계로의 여정, 인간계에서 다시 천상계로의 여정이 리얼하게 그려졌기 때문이고, 3) 유교, 불교, 도교의 가치관을 적절히 혼합해낸 솜씨가 정묘(精妙)하기 때문이고, 4) 인생무상의 진리를 자연스럽게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또한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점,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병환을 위로하기 위해 지은 소설이라는 점, 저자의 학식이 잘 드러난 소설이라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 작품이다. 구운이란 아홉(주인공 성진 + 8선녀)개의 구름을 뜻한다. 구름 같은 꿈이라는 의미로 성진과 8선녀의 허망한 세상사를 꿈으로 표현한 것이다.
천상계의 성진은 용왕에게 사례하고 올 사람을 찾는 스승 육관대사의 부름에 자청해 응한다. 용왕을 만난 성진은 그가 권하는 술 석 잔에 취해 돌아오는 길에 남악(南岳)의 위부인이 대사에게 보낸 8선녀를 만나 꽃을 꺾어 던져 명주(明紬)로 만드는 등의 희롱을 하다가 염라(閻邏國)을 거쳐 지상으로 유배된다.
8선녀 역시 유배되는데 유배란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숙종이 장희빈을 왕후로 책봉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유배당한 저자의 생이 반영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티벳 사자(死者)의 서(書)’에는 중음신이 자신이 태어날 어머니를 골라 그의 태(胎)에 드는 장면이 있다. 성진은 유(柳)씨 부인의 태로 들어가 남자 아이로 태어난다.
양(楊)처사(處士)가 아버지인데 그는 아들이 분명 하늘 사람이었다고 확신하고 성진에게 소유(少遊)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자신은 소임을 다했다며 하늘로 돌아간다. 소유란 천상계에서 지상계로 오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8선녀 역시 인간으로 태어난다. 진채봉, 계섬월, 정경패, 난양공주, 가춘운, 적경홍, 백릉파, 심요연 등으로 태어난 8선녀는 결국 인간계에서 소유의 여자들이 된다.
소유는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고 할 일을 다하고 말년에 깨달음을 얻는다. 그것은 자신의 삶이 하룻밤 꿈 같은 것이었다는 인식이다. ‘구운몽’이 일부다처의 문제점을 환기시킨 작품이라는 말이 있는가 하면 교묘히 그런 점을 합리화하는 작품이라는 말도 있다.
소설의 말미에 8선녀가 관음보살께 한 낭군(郎君)을 모시게 되었음을 아뢰며 백년해로 후에 함께 극락으로 가게 해달라고 비는 장면이 나오는데 8선녀들은 소설에서 일부다처제도를 불편해 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함께 백년해로하고 극락으로 가게 해달라고 빌기까지 하니 소설이 일부다처제도를 합리화하는 것이라 볼 여지가 충분하다.
‘구운몽’이 한국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지 300년 정도가 지난 영, 정조대에 이르러 소설이 널리 유행했다. 처음 한글이 창제되었을 당시 문자를 조합하는 원리 정도만 알려졌을 뿐이었으니 문장으로 표현되고 소설에 쓰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리라는 점은 충분히 상상할 만하다.
소유와 8선녀는 말년까지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인생은 허망하다는 깨달음을 얻고 극락으로 간다. 제목이 같지만 시대 차이가 300년 정도 나는 최인훈의 ‘구운몽’과 비교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한문 소설을 쓰지 않고 한글 소설을 쓴 김만중은 우리 것을 사랑하고 우리 것의 진정성을 높이 산 진정한 한글 전도사라 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