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金洙映; 1921 - 1968) 시인도 있지만 김수영(1967 - ) 시인도 있다. 이 시인은 '영취사 홍련을 보았느냐고'란 시가 좋아 4년 전 블로그에 포스팅했었던 시인이다. 당연한지 모르겠지만 검색을 하면 거의 김수영(1921 - 1968) 시인에 대한 자료만 뜬다.
199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마산 출신의 김수영 시인에 대해 알고 싶어(우선 한자만이라도) 조선일보에 가서 1992년 신춘문예라 치니 반칠환 시인(1964 - ) 이야기가 나온다.(이 분은 199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자이다.) 시인이고 동화작가이고 숲해설가인 이 분은 "감수성 짙은 문학적 해설"을 하는 분으로 알려졌다.
숲해설사 교육기관인 숲연구소에서 숲해설 강의를 한다고 한다.(2016년 11월 23일 월간 산 수록 글 '시인의 감성으로 들려주는 나무 이야기' 참고) 반경환(1954 - ) 문학평론가가 형이다. 이 분의 숲해설을 꼭 듣고 싶다. 반경환 평론가는 지난 1994년 나온 '한국문연'의 '행복의 깊이'의 저자이다.
'행복의 깊이', 대단히 독특하고 도발적이고 신성모독적인 책이다. "나에게 지적인 통찰력과 섬세한 감수성과 예술가의 정신을 가르쳐준 니체와 바슐라르와 김수영 시인에게 이 부끄러운 책을 바칩니다. - 반경환"이란 헌사부터 눈길을 끄는 책이다.
"거친 문장과 멋진 미사여구에 대한 노골적인 혐오감을 가지고 실제비평에 있어서도 완벽하게 김현(1942 - 1990)을 극복하고 뛰어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자부한다."는 서문도 그렇다.
반칠환 시인은 "나무를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숲해설사가 되었다. 숲해설가 공부를 하면서 무척 행복했는데 결핍이 없어졌기 때문에 시가 안 나온다."는 말을 했다.
김수영(1967 - ) 시인을 오랜만에 생각하게 된 것은 김수영(1921 - 1968) 시인론(전병준 지음 '김수영과 김춘수, 적극적 수동성의 시학')을 읽다가 만난 '비'라는 시 때문이다.
..명령하고 결의하고
<평범하게 되려는 일> 가운데에
해초처럼 움직이는
바람에 나부끼는 밤을 모르고
언제나 새벽만을 향하고 있는
투명한 움직임의 비애를 알고 있느냐
여보
움직이는 비애를 알고 있느냐...
('비' 일부)
이 시를 읽고 생각한 시가 김수영(1967 - ) 시인의 '영취사 홍련을 보았느냐고'이다.
누가 묻는다
..지나간 발자국에서도 향기가 날까?
붉은 꽃도 지고 푸른 잎도 지고
흐린 물 속에는 탁발을 나가는 검은 발목뼈들
영취사 홍련을 보았느냐고
바람이 불 때마다 살강살강 찰강찰강
물 밖으로 걸어나가는 젖은 발을 보았느냐고
('영취사 홍련을 보았느냐고' 일부)
'비'에서는 시인이 아내에게 묻고 '영취사 홍련을 보았느냐고'에서는 누군가가 시인에게 묻는다. '비'를 통해 드러난 김수영(1921 - 1968) 시인과 아내 김현경 여사의 사연(사랑의 우여곡절)은 쇼팽과 조르주 상드의 사연('빗방울' 전주곡은 마요르카 섬에 머물던 쇼팽이 외출한 연인 조르주 상드를 기다리며 지었다는..)을 생각하게 한다.
'김수영과 김춘수, 적극적 수동성의 시학'을 읽는데 도움이 될까 싶어 읽게 된 김현경 여사의 '김수영의 연인'은 화려한 등장 인물들이 자꾸 다른 데로 관심을 돌리게 하는 책이다.
김현경 여사의 5촌 당숙 김순남(1917 - 1983?; 김소월의 '산유화'에 곡을 붙인.. 성우 김세원의 부친), 김현경 여사가 읽었다는 보들레르, 발레리, 김현경 여사의 이화여대 시절 교수였던 정지용, 김순남의 집에 가서 자연스럽게 어울렸다는 임화(1903 - 1953), 오장환(1918 - 1951) 등..
이 부분에서 윤동주 시인을 떠올리는 것은 발레리, 오장환, 정지용 등과의 공통 인연 때문이다. 윤동주 시인도 발레리와 오장환의 시를 읽었고 정지용 시인을 스승처럼 여겼다.
책('김수영과 김춘수, 적극적 수동성의 시학')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다..히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