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양도성 ㅣ 서울을 바꾸는 정책 꿈꾸는 내일 4
전우용 지음 / 서울연구원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서울을 바꾸는 정책 꿈꾸는 내일 시리즈 네 번째 간행물인 역사학자 전우용 교수의 '한양 도성'은 지난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으나 2017년 국제 기념물 협의회로부터 등재 불가 판정을 받은 한양도성의 위상과 가치를 간단하게 조망한 책이다.(시리즈의 모든 책들이 150 페이지를 넘지 않는 소책자들이다.)
"..그녀는 인경전의 종소리가 울리면 장안의/ 남자들이 사라지고 갑자기 부녀자의 세계로/ 화하는 극적인 서울을 보았다.."(김수영 시 '거대한 뿌리' 중)는 시 구절을 연상하게 하는 구절로부터 시작되는 '한양도성'은 얇지만 꼭 필요한 내용들을 담은 알찬 책이다.(시에서 말해진 그녀는 이사벨라 버드 비숍이다.)
김수영 시인의 시에서도 알 수 있지만 "종각의 종소리와 함께 성문이 닫힌 뒤에는 낮 시간대 옥외 활동이 제약되었던 여성들만이 거리를 오갈 수 있었다"(6 페이지)는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도성과 서울의 관계이다. "도성은 서울의 상징이자 그 자체로 서울이었다."
성벽과 성문은 서울을 알리는 이정표 또는 랜드마크 역할을 했다. "서울 사람들에게 성벽은 운명적 동반자였다. 서울을 방문하는 일은 성벽을 보고 성문을 지나는 일이었으며 서울에서 산다는 것은 매일같이 성벽을 보고 느끼는 것이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개인 또는 소집단으로는 결코 자연에 맞설 수 없었기에 수많은 사람들을 동원하여 분업과 협업 구조에 밀어 넣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지휘권을 장악한 집단이나 기구 즉 국가가 출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과정은 서로 다른 문명 발달 단계에 있는 종족 사이의 전쟁과 병행된 과정이었다. 물론 그 이전에 신석기 농업혁명과 그로 인한 정착 및 저장(잉여생산물에 대한)으로 인해 권력이 생겨났다는 사실이 언급되어야 한다.
도시(都市)라는 이름에서 도(都)는 모두 갖추었음을 의미하고 시(市)는 교환이 일어나는 장소를 의미한다.(20 페이지) 광희문은 숭례문과 흥인지문 사이의 한양도성의 동남문이다. 수문인 오간수문과 이간수문(도성 안에서 발원한 하천의 물줄기를 성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만든 문) 인근에 있어 수구문(水口門)으로 불렸고 조선시대 도성 안에 매장이 일체 금지되었기 때문에 시체는 모두 성 밖으로 나가야 했는데 광희문과 소의문이 시체의 출구로 배정되었다. 그런 까닭에 시구문(屍口門)으로도 불렸다.(40 페이지)
안현미 시인의 ‘屍口門 밖, 봄’이란 시를 보자. “,파란 아침이고 시구문 밖으로 나가면/ 끝날 이 고통도 아직은 내 거예요. 친절하지 않을래요 종/ 합선물세트처럼 주어지는 생을 사는 건 당신들이지 나는/ 아니에요....죽은 자들만 불러모아 사망/ 자 주식회사를 만들고 영원히 죽고 싶은 나는, 시구문 밖,/ 봄 활짝 핀 착란이 그리워요.”
태종은 즉위 후 한동안 개성을 영구 수도로 삼으려 했다. 그러던 태종은 개성과 한성을 자주 왕래하는 것이 불편했는지 한성에 이궁(離宮)을 지을 것을 명했다. 태종은 이궁이 완성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한양으로 행차해 열흘 정도 조준의 집에 머물다가 공사가 끝난 뒤 창덕궁이란 이름을 붙이고 이어(移御)했다.(44 페이지)
한양도성을 처음 쌓을 때 도평의사사에서는 성곽은 안팎의 구별을 엄격히 하고 나라를 굳건히 하기 위한 것이라는 말을 했다.(18 페이지) 인조에게 삼배구고두례(三拜九叩頭禮; 세 번 절하고 절할 때마다 세 번씩 머리를 땅에 찧는 청나라 의식)의 굴욕을 강요하며 항복을 받아낸 청 태종은 화의 조건 중 하나로 성이 무너져도 다시 쌓지 않을 것을 집어넣었다.(48 페이지)
한양도성의 성벽은 몸통인 체성, 체성 위에 낮게 쌓은 여장, 총을 쏠 수 있게 만든 총안 등으로 구성되었다.(58 페이지) 한양도성의 성문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특별한 공간과 그 외부 사이의 접촉을 통제하는 시설이다.(59 페이지) 도성을 빠져나가는 사람이나 도성 안으로 들어오는 사람이나 모두 성문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었고 문을 여닫는 시간은 국가가 통제했다.
성문을 여닫는 시각은 도성 한복판에 종루를 세우고 종을 쳐서 알렸다.(59 페이지) 조선왕조는 도성을 쌓은 후 그 안을 한성부라 했다. 한성부는 새 수도의 행정 구역 명칭인 동시에 도성 안과 성저십리의 행정을 관할하는 정이품 관청의 이름이기도 했다.(67 페이지)
1420 년대 완성된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도성 안의 가호수는 1만 7105호, 성벽에서 10리 바깥까지의 거리 내에 있는 지역인 성저십리의 가호 수는 1779호였다. 성저십리의 면적이 도성 안보다 다섯 배 이상 넓었으나 인구는 1/10에 불과했다. 성저십리의 행정도 한성부가 담당했지만 성벽은 그 안과 밖을 전혀 다른 세상으로 나누었다.
도성 안은 왕실과 국가의 존립을 위해 꼭 필요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간이었기 때문에 도성 주민은 조세, 공물, 요역을 모두 면제받았다. 대신 도성 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국가의 지휘에 따라 일상생활을 조직할 의무를 졌다. 이를 방역이라 했는데 왕의 행차에 앞서 도로를 청소하는 일, 낙엽이 쌓였을 때나 눈이 많이 내렸을 때 궁궐을 청소하는 일, 내사산의 숲을 관리하는 일, 국상 때 상여를 지는 일 등이 모두 방역으로 부과되었다.(69, 70 페이지)
한양도성은 군사 시설로는 단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다. 임진왜란 때나 병자호란 때에도 왕은 적이 가까이 다가왔다는 소식을 듣자 바로 도성을 버리고 피난했다. 성벽은 그저 성 안팎을 왕래하는 평범한 사람들을 괴롭혔다. 서울 성벽은 전쟁 때문이 아니라 세월 탓에 여기저기 무너져 내렸다.
숙종 때부터 다시 성을 수축(修築)하는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백성들 사이에서는 유사시 버리고 도망갈 성을 다시 쌓는데 대한 불만이 높아갔다.(75 페이지) 내사산의 아름다운 풍경과 한 몸이 된 한양도성은 놀이와 문예 활동의 장소로도 이용되었다.(85 페이지) 성벽 주변에는 산과 물이 잘 어우러진 명승지가 많이 시인 단체인 시사(詩社)들의 모임도 자주 열렸다.
1899년 전차가 다니면서 그 궤도로 인해 성문을 여닫을 수 없게 됨에 따라 수백 년간 도성민의 일상생활을 규제했던 바라와 인정도 중단되었다. 대신 창덕궁에 대포를 설치하여 매일 정오에 오포(午砲: 정오를 알리는 대포)를 쏘았다. 이로써 밤과 낮으로만 구분되던 중세의 시간은 정오를 기준으로 오전과 오후로 나뉘는 근대적 시간으로 재편되었다.(91 페이지)
1910년 8월 한국의 주권을 강탈한 일본은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고 경기도 소속으로 삼았다. 한성부의 수도 지위를 박탈하여 일개 지방 도시로 격하시킨 것이다.(96 페이지) 한양도성은 일제에 의해 훼손되었고 해방과 동시에 거대한 인구 이동으로 훼손되었고 한국전쟁 중 집중적이고 대규모적인 피해를 입었다.(104 페이지)
1955년 혜화동과 성북동 안에 새 교지(校地)를 마련한 경신고등학교는 학교 신축 공사를 하면서 주변 성들로 축대를 쌓아 큰 물의를 일으켰다.(105 페이지) 경신고등학교의 축대는 현재까지도 한양도성의 완전성을 훼손한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다.(105 페이지) 대한민국의 문화재 보호법은 1962년 1월 제정되었다.(104, 105 페이지)
1968년 1월 21일 북한군 특수부대가 청와대 인근 백악까지 침투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계기로 백악과 인왕 일대의 성벽 주변이 민간인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되고 성벽은 군사 시설이 되었다. 성벽 주변에 군 초소 등이 신설되고 정상부에 방공 시설 등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도성은 다시금 훼손되었다.(109 페이지)
2006년 1월 24일 문화재청은 광화문 해체, 복원 및 월대(月臺) 조성, 한양도성을 사적과 명승으로 지정, 관리하는 방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서울 역사도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서울 한양도성 내부 공간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것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125 페이지)
2011년 7월 문화제청은 서울성곽이라는 사적 지정 명칭을 서울한양도성으로 변경했다. 읍성, 산성, 토성 등 전국에 산재한 성곽 유산의 명칭 부여 방식을 통일한다는 취지에서였다.(129 페이지) 2012년 9월 28일 한양도성도감이 설치되었다. 도감(都監)이란 조선시대에 특정 목적 사업을 위해 설치한 임시기구를 말한다. 서울시가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은 한양도성 보존관리 사업의 역사적 의의를 드러내고 사업단의 목표를 한양도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로 설정했기 때문이다.(132 페이지)
한양도성도감 설치와 동시에 서울역사박물관 산하에 한양도성연구소가 신설되었다.(137 페이지) 2014년 7월 31일 동대문성곽공원 내 서울디자인 지원센터에 한양도성박물관이 개관되었다.(138 페이지) 1975년 서울성곽 복원 사업이 시작된 이래 박원순 시정(市政) 이전까지 한양도성 관리 행정은 외형 복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한양도성도감이 설치된 뒤부터 원형 보존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조선시대 서울 고지대의 성곽 주변에는 건물이 들어설 수 없었다. 왕의 거처인 궁궐을 굽어보는 곳에 건물을 지을 수 없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 이후 궁궐의 권위가 소멸되고 서울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성벽 주변 고지대 여러 곳에 빈민들의 토막촌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에는 무허가 주택이 건립되는 속도가 한층 빨라졌다. 1950 – 1960년대를 거치면서 낙산, 인왕산, 남산 기슭의 성벽 주변에는 예외 없이 마을이 생겼다. 1975년 성곽 복원 사업을 시작하며 성벽 주변의 일부 무허가 주택을 철거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전면 철거하지는 못했다.(144 페이지)
저자는 한양도성을 온전히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해서는 한양도성을 우리의 값진 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한양도성을 물리적 구조물을 넘어 정서적 구조물로 소생시켜야 한다는 말(151, 152 페이지)로 책을 마친다. 정서적 구조물이란 말이 중요하다. 저자가 어떤 의도로 썼는지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이효덕의 ‘표상공간의 근대’에 이런 논의가 있다. 조망(眺望)하는 인간이 없다면 풍경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말을 저자의 논의에 맞추면 한양도성을 역사적 의미가 담긴 정서적 구조물로 여기는 시민들이 없으면 그것은 단지 우리 밖의 물리적 구조물(애정의 대상이 아닌)에 불과하다는 말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