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철학으로 읽는 옛집 -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
함성호 지음,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성호의 철학으로 읽는 옛집은 건축에 큰 의미를 부여한 조선의 성리학자들에 대한 기록이다. 부제는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이지만 책에 등장하는 성리학자들의 행동을 중독이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중독되었다고 말하려면 타지마할을 지은 인도 무굴 제국의 황제 샤자한을 들어야 할 것이다. 그는 건축을 하다가 국고를 탕진해 보다 못한 아들에게 강제 폐위를 당하기까지 했다.(104 페이지) 책에 등장하는 성리학자들이란 회재(晦齋) 이언적, 남명(南冥) 조식, 퇴계(退溪) 이황, 고산(孤山) 윤선도, 다산(茶山) 정약용, 사계(沙溪) 김장생, 우암(尤庵) 송시열, 명재(明齋) 윤증 등이다.

 

흥미로운 점은 많은 성리학자들이 집을 뜻하는 재(), () 등의 글자를 채택했다는 점이다. ‘철학으로 읽는 옛집의 저자는 시인이자 건축가이다. 현역 건축가로서의 경험과 안목이 작품 서술에 충분히 반영되었으리라 짐작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등장 인물들의 사상과 건축이 깊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령 조선 유학을 정주계(程朱系: 정호, 정이 형제 및 주희의 학설을 따르는 학파) 성리학 일변도로 만든 원흉으로 꼽히는 이언적은 용()자 형태의 집을 지었다. 이는 자생풍수(지형풍수)를 변용한 결과이다.(61 페이지)

 

지형 풍수는 자생 풍수이고 가택 풍수는 중국 풍수이다.(27 페이지) 이언적이 자생 풍수를 변용해 지은 집이란 향단(香壇)을 말한다. 이언적은 독락당(獨樂堂)도 지었는데 이는 정치적으로 좋지 않은 시기에 지은 집이고 향단은 복원되어 경상감사를 제수받고 금의환향하여 지은 집이다.(53 페이지)

 

이상한 것은 불우한 시기에 지은 독락당은 너무도 여유롭고 완완(緩緩: 느릿느릿함)한데 화려한 시절의 집은 지극히 폐쇄적이고 우울하다는 점이다. 저자에 의하면 향단은 전체적으로 용()자 형국의 집이다.(60 페이지) ()은 일()과 월()의 합성자이다. 그리고 둘을 나란히 쓰면 일() 풀러스 월() 즉 명당(明堂)의 그 명()자가 된다.(61 페이지)

 

()가 어떻고 기()가 어떻고 논하던 성리학자들이 아무리 정치 생명, 나아가 목숨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라 해도 풍수(風水)에 의존한 것은 좋아 보이지 않는다. 물론 저자는 풍수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풍수는 발복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그것은 말 그대로 바람과 물을 얻는 방법이고 그것을 지킨다는 의미이다.

 

관건은 나무를 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가꾸고 보살핌으로써 좋은 수세(樹勢)를 얻듯 풍수지리의 의미도 단지 좋은 땅을 선택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좋은 땅을 자자손손 지켜나가는 데 있다.(49 페이지) 명당은 없다.(22 페이지)

 

저자가 우려하는 것은 풍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술법(術法)으로만 받아들이는 것이다.(49 페이지) 저자는 술법 풍수도 반대하지만 지세를 의생물화하는 형국론(形局論)도 반대한다.(79 페이지) 저자는 얼마나 많은 조선의 학자들이 학문적 바탕을 숨겨왔는지 전공자들이 더 잘 알 것이라 말한다.(93 페이지)

 

사상과 집을 이야기했지만 사상과 권력도 깊은 연관이 있다. 이런 구절을 보라. “()의 움직임만을 인정하는 율곡의 입장으로 볼 때 그의 제자들이 정치적 헤게모니를 쥐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현실적 감각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덕 수양의 문제를 탐구하는 퇴계의 제자들이 산림에 근거하여 공부에 전념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래서 선조 이후부터 율곡 문하의 서인은 거의 정국을 주도하는 집권 세력이 된다.”(173 페이지)

 

율곡은 기()의 움직임만을 인정하고 이황은 리()의 움직임만을 인정한다. 그러나 두 사람은 기에 의해서 이가 가려지는 것을 극복하고 리()의 순수성으로 돌아가자는 모토를 공유했다.(175 페이지) 서인(西人)은 이율곡의 기호학파에 학문적 기반을 둔 세력이고 남인(南人)은 이황의 영남학파에 학문적 기반을 둔 세력이다.(166 페이지)

 

그러면 남명 조식은 어떤가. 그는 지리산을 노장(老莊)적 세계를 상징하는 산으로 여겼다.(95 페이지) ‘철학으로 읽는 옛집의 미덕 가운데 하나는 유교와 불교의 관계를 알 수 있다는 점이다. , , , 문왕, 무왕, 주공, 공자, 맹자로 이어지는 도통론은 부처로부터 이심전심의 비법으로 마지막 혜능에까지 이어진 법통론에 강한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27 페이지)

 

성리학은 선진(先秦) 유학이 가지고 있는 형이상학적인 단점을 보완하며 이루어졌고 아무리 성리학이 불교를 배척하며 이루어졌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불교와 도교가 정리해놓은 형이상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25 페이지)

 

윤선도의 호 고산(孤山)은 서울 시절 별서(別墅)를 둔 남양주 수석동이 홍수로 인해 범람하면 사방이 물에 잠기고 퇴매재산만이 물 위에 우뚝 솟아 있는 모습을 보고 지은, 호방함이거나 철없음의 소산이다.(145 페이지) 해옹(海翁)이란 호는 윤선도가 후에(철들었을 때) 보길도 부용동에 살며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자위하기 위해 지은 또 다른 호다.(148 페이지)

 

지천명이라 했지만 퇴계의 경우는 어떤가. 그는 50이 넘어 주자(朱子)를 접했다.(115 페이지) 흥미로운 것은 우리에게 주자가 본격적으로 연구될 때 이미 중국에서는 비판받고 있을 때라는 사실이다.(115 페이지)

 

다산은 다산초당의 조경 원리를 주역(周易)‘에서 찾았다. 은자(隱者)의 길함을 표상하는 것이다.(201 페이지) 이괘(履卦)에 나오는 유인(幽人)이라야 정()하고 길()하다는 사()이다. 물론 다산초당은 다산이 직접 지은 집이 아니다. 다산의 외가 친척인 윤단이 초옥을 짓고 후학들을 가르치던 곳인데 후에 다산에게 내준 것이다.(다산초당으로 오르는 길 오른편의 묘가 윤단의 묘다.: 200 페이지)

 

철학으로 읽는 옛집은 사상과 집의 관계, 사상과 정치의 관계는 물론 사상 자체에 대해 숙고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책이다. 가령 성리학이 가진 기본적 정치 입장은 왕권신수설에 반()하는 것이라는 점이 그렇다.(209 페이지)

 

조선은 치열하게 당쟁했지만 (왕을 바꾸기보다) 왕을 내세워 자신들의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는 것이 더 주효하다는 대전제에는 암묵적으로 합의한 듯 하다(209 페이지)는 말을 보라. 이런 모습은 여야(與野)가 치열하게, 아니 진흙탕의 개처럼 싸우다가도 세비(歲費) 인상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현 상황을 생각나게 한다.

 

영남학파는 퇴계의 학문에서 비롯되어 심경(心經)‘의례(儀禮)‘를 중시했고, 기호학파의 예학은 율곡과 구봉(송익필: 宋翼弼)에 의해 계도되었으며 소학(小學)‘주자가례(朱子家禮)‘를 바탕으로 했다.(209, 212 페이지)

 

()란 신의 계시를 받고 신을 섬기는 제사 의례 즉 무격신앙(巫覡信仰)에 가까운 개념이다. 그러나 이를 사상으로서 승화시킨 사람은 공자이다. 공자는 시시콜콜하게 예를 따진 사람이다.(216 페이지) 팔일무(八佾舞)란 것이 있다. 공자는 제후인 계손씨(季孫氏)가 천자의 춤인 팔일무를 춘 것을 질책했다. 공자는 계손씨를 보며 (천자가 아님에도 팔일무를 추었으니) 무엇을 차마 하지 못하겠느냐는 말을 했다.(조재모 지음 궁궐, 조선을 말하다‘ 33 페이지)

 

사계(沙溪) 김장생은 임이정(臨履亭)을 지었다. 이는 (두려워하고 조심하기를) 깊은 못에 임()하는 것처럼 하고 엷은 얼음을 밟는 것 같디 하라는 시경(詩經)‘의 여림종연(如臨淙淵) 여리박빙(如履薄氷)에서 따온 것이다.(230 페이지)

 

저자는 우암(尤庵)을 주자(朱子) 탈레반, 사계(沙溪) 예학의 사도(司徒) 바울이라 부른다.(233 페이지) 송시열이 어린 아이처럼 따랐던 스승은 오직 한 사람 주자(朱子)였다.(242, 243 페이지) 송시열은 사계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집으로부터 배웠다. 송시열은 공자가 다시 태어난다 해도 공자와 주희의 말이 다를 경우 주자의 말을 따르겠다고 밝혔다.(249 페이지)

 

윤선도와 더불어 송시열은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심한 건축 중독자 중 한 명이었다.(257 페이지) 저자는 이황이 툇간을 내면서까지 지키려고 했던 검박(儉薄)한 생활 양식이 17세기에 들어서면서 무너진 것은 왕권에 비해 신하들의 권력이 커진 사회상을 반영한다고 본다.(257 페이지)

 

이언적이 회재(晦齋)를 주자(朱子)의 호인 회암(晦庵)에서 따온 것처럼 송시열은 주자의 호 회암에서 암()을 따와 우암(尤庵)이라 한 것은 유명하다.(271 페이지) 송시열(1607 1689)도 오래 살았지만 그의 정적인 윤증(尹拯: 1629 1724)도 오래 살았다. 윤증은 조선 후기 노론과 소론의 분립과정에서 소론의 영수로 활동했던 조선의 문인이다. 파격적이게도 윤증은 81세에 집을 지었다.(295 페이지)

 

송시열의 주자근본주의에 대항했던 젊은 학자들의 학문적 입장은 양명학(陽明學)이다. 이는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몰렸다.(299 페이지) 성리학에서 쓰이는 사문난적이란 교리를 어지럽히고 그 사상에 어긋나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 말을 가장 적극적으로 쓴 최초의 인물이 맹자이다. 그는 공자의 도가 아니라고 생각되는 모든 학설을 이단으로 여겨 철저하게 배격했고 공자와 다른 설을 말하는 자가 있으면 단호히 붓을 들어 탄핵했다.(300 페이지)

 

윤증의 사랑채의 당호는 리은시사(離隱時舍)이다.(318 페이지) ()나 당()이 아니라 사()를 쓴 것이다. 주역 중천건괘(重天乾卦) 구이(九二: 두번째 양효)는 현룡재전(見龍在田) 이견대인(利見大人)이다. 리은 즉 숨어 있던 곳에서 벗어나는 것이기에 현룡이고 땅 위에 있으므로 밭에 있다고 한 것이다.

 

()는 집이라는 의미, ()의 의미가 있는 글자이다. 깊이 생각하고 지은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리은시사는 용이 숨어 있다가 세상에 나올 때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라 때를 기다려서 나온다는 의미이다.(322 페이지)

 

실사구시의 학풍과 양명학자들을 송시열의 칼날에서 비호한 절대 공로자는 윤증이다. 그는 주자학이나 양명학, 어느 것에도 치우치지 않고 서인이나 남인 할 것 없이 두루 교류하며 주자근본주의 시대에 다각적 추론의 장을 열어놓았던 윤증의 집은 비단 학문이나 정치에서뿐 아니라 민중의 삶에서도 그러했다.

 

흉년이 들면 마을에 공사를 일으켜 그 노임으로 쌀을 지급하고 추수 때는 나락을 길가에 두어 배고픈 마을 사람들이 가져가도 모른 체했다. 그런 윤씨 가문의 가풍 때문에 이 집안은 동학혁명 때도 한국전쟁 때도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322, 323 페이지) 다 읽고 나니 통쾌한 느낌이 든다. 주자 탈레반 송시열이란 표현 때문이지만 그보다는 윤증의 학문과 삶이 보여준 모범적인 일치 때문일 것이다.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접시의 시 - 나희덕의 현대시 강의
나희덕 지음 / 창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에 대한 관심을 좋은 해석이나 창작 등으로 연결 짓는 것은 가장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그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기성 평론가들이나 시인들의 해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런 차원에서 고른 책이 나희덕 시인의 한 접시의 시이다.

 

이 책은 나희덕 시인의 현대시 강의집이다. 한 접시의 시란 시를 음식에 비유한 말이다. 어떤 음식은 직접 그것을 만들어보도록 부추기듯 좋은 시는 직접 써보도록 하는 면이 있다. 저자는 모든 시에는 저마다의 입구와 출구가 있고 그것을 통과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고 생각한다.(5 페이지)

 

저자는 자신의 해석에 지나치게 매일 필요가 없는바 훨씬 독창적인 해석이나 창작을 기대한다고 말한다.(7 페이지) 책은 여섯 파트로 나뉘어 있다. 시적 언어와 상상력, 화자와 퍼소나, 구조와 리듬, 묘사와 이미지, 은유와 상징, 서정과 서사 등이다.

 

시에서 중요한 것으로 우선 거론할 것은 상상력이다. 상상력은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힘이다.(16, 17 페이지)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집중하는 힘이다. 가령 시적 발견을 위해서는 남들이 무심코 지나치는 것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개성적인 방식으로 탐구하는 일이 필요합니다.”(19 페이지)란 글을 보라.

 

이 글은 시적 상상력은 막연한 공상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치밀한 관찰에서 시작됩니다.”(137 페이지) 같은 글과 같은 이야기이다. 저자에 의하면 제대로 본다는 것은 온몸의 감각을 동원해서 대상을 감지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앉히는 끈질긴 과정을 의미한다.(141 페이지)

 

한편 저자는 시를 쓰는 일은 자신의 안과 밖에서 들려오는 수많은 목소리들을 듣는 일에서 출발한다고 말한다.(115 페이지) 저자는 시를 만나기 위해서는 빈약한 발상을 언어로 다듬느라 책상 앞에서 끙끙거릴 것이 아니라 문밖으로 걸어 나가 세상에 살아 숨 쉬는 것들을 만나야 한다고 조언한다.(20 페이지)

 

시 속의 는 시인 자신이 아니라 작품 속에서 재창조된 이다.(53 페이지) 저자는 고형렬의 거미의 생에 가보았는가를 예시하며 여러분도 바람이 차가운 날, 유리창 밖 난간이나 나뭇가지 사이에서 흩날리는 거미줄과 거기 매달린 거미를 유심히 보며 그 거미가 여러분을 향해 무어라 말하고 있는지 조금이라도 알아들으려고 마음의 귀를 기울이라고 말한다.(75 페이지)

 

시쓰기란 불교 승려들이 화두를 오매불망 간직하고 골똘히 생각하는 것 같은 과정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냥 보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보아야 하고 깊이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발레리는 시와 산문을 이렇게 표현했다. 시는 춤 같고 산문은 보행 같다고. 시는 심미적 특성이나 행위 자체가 목적이고 산문은 대상이나 의미를 명료하게 전달하고 언어의 유용성을 강조한다.(87 페이지)

 

이는 저자가 말했듯 시와 산문을 리듬의 유무로 분류하는 것보다 설득력이 있다. 산문에서 리듬이 없는 것이 아니다.(87 페이지) 한편 보행과 달리 산책은 별 목적 없이 자유롭게 걷는 행위이다.(103 페이지)

 

서정시에 대해 저자는 하나의 순간 속에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모두 통합함으로써 영원한 현재를 창조하는 양식이라 말한다.(151 페이지) 좋은 비유는 만물에 대한 열린 마음과 감각이 깊이 체화될 때 나올 수 있는 것이다.(153 페이지)

 

시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직설적으로 말하기보다 에둘러 말하기를 즐겨 하고 모순되는 진술들이 공존하기 때문이다.(157 페이지) 시에서 에둘러 말하기, 감추면서 드러내기의 대표적 방식이 은유와 상징이다. 이 수사(修辭)들러 인해 시가 어렵게 느껴지지만 반면 그럼으로써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의미가 쉽게 탕진되지 않는다.

 

상징은 집단적이고 원형적이고 은유는 개별적이고 독창적이다.(159 페이지) 은유나 환유를 통해 시인이 표현하려는 것은 AB 자체가 아니라 그 사이에서 끊임없이 유동하는 미묘한 의미들이다. 은유가 불러일으키는 연상 작용에 의해 A이기도 하고 B이기도 한 것, A도 아니고 B도 아닌 제3의 의미가 생성된다.(159 페이지)

 

은유는 의미의 동일성과 보편성을, 환유는 의미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중시한다.(161 페이지) 물론 두 수사는 대립적이기까지 하지만 실제로 한 편의 시에서는 씨줄과 날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원관념과 보조 관념이 너무 동떨어지면 연관성을 찾지 못해 은유의 해석이 불가능할 것이고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식상한 비유에 그칠 것이다.(161 페이지)

 

저자는 “3할은 알아듣게/ 아니 7할은 알아듣게 그렇게/ 말을 해 가다가 어딘가/ 얼른 눈치채지 못하게/ 살짝 묶어 두게라는 김춘수 시인의 말을 예로 든다. 저자에 의하면 이는 은유의 탄력성을 강조한 것이다.(161, 162 페이지)

 

세계를 좀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감각과 사유의 과정이 필요하다.(164 페이지) 저자는 몽상을 통해 이미지를 제대로 길어올리기 위해서는 과거의 사실보다 가치를 발견하라고 충고한 바슐라르의 말을 인용한다.(191 페이지)

 

한 접시의 시를 반복해 읽으면 시를 읽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우리도 따라 읽고 언젠가 시를 쓰도록 하자. 우선 다른 여러 시론집들을 찾아 읽도록 하자. 섬세하며 설득력 있는 시 읽기의 모범 사례로 한 접시의 시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 - 고전평론가 고미숙의 읽고 쓰고 배우는 법
고미숙 지음 / 작은길 / 201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고미숙의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은 오행(五行)의 리듬이 천지만물에 두루 작용하지만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4()라는 전제하에 고전(古典)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것으로 짝지어 설명한 책이다. 가령 봄은 목(), 배움과 우정, 여름은 화(), 열정과 자유, 가을은 금(), 수렴과 성장, 겨울은 수(), 지혜와 유머 등이다. ()는 환절기이다.

 

세분하면 봄에는 허클베리 핀의 모험’, ‘임꺽정등이, 여름에는 장자(莊子)’, ‘그리스인 조르바’, ‘주자어류선집등이, 가을에는 오딧세이아’, ‘구운몽등이, 겨울에는 크리슈나무르의 마지막 일기’, ‘동의보감등이 속한다.

 

오행(五行)의 관건은 상생(相生) 상극(相克)의 균형이다. “기쁘면 기쁜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그 과정을 오롯하게 통과한다.”(44 페이지)는 구절을 보라. 여름에 포함된 산해경편에서 이런 구절이 눈에 띈다. “사물은 그 자체가 이상한 것이 아니고 나의 생각을 거쳐서야 이상해지는 것이기에 이상함은 결국 나에게 있는 것이지 사물이 이상한 것은 아니”(70 페이지)라는 말이다.

 

이 말에 관심이 가는 것은 유식무경(唯識無境)에 대한 관심 때문이다. 유식 불교는 우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거나 내면적으로 상상하고 착각한 것 그대로의 세상이 실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다. 저자에 의하면 시공을 뛰어넘어 고전을 읽는 이유는 딱 두 가지, 유용성과 비전이다.(74 페이지)

 

주자(朱子)’편에서 우리는 주자도 처음부터 주자주의자였던 것은 아니고 쉬지 않고 배우고 익혀 새로운 길을 열어간 학인(95 페이지)이라는 사실과 주자 사후 주자학은 본인의 염원과 다르게 (원나라 이후) 국가학이 되어 도그마가 되었다는 사실(95, 97 페이지), 주자학과 달리 양명학은 도그마의 운명에 빠지지 않았다는 사실(102 페이지) 등을 알게 된다.

 

()인 가을에 해당하는 수렴과 성찰을 이야기하며 저자는 구운몽의 성진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덧없는 것이 삶이 아니라 부귀영화, 아니 부귀영화를 향한 욕망이라 말한다.(105 페이지) 가을의 대표작인 오딧세이아편에서 저자는 인생은 유토피아를 향해 가는 것이 아니라 유토피아로부터 탈주하는 것이고 해피엔딩이 아니라 네버엔딩의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것이라 말한다.(110 페이지)

 

가을의 고전을 읽으며 금기(金氣)를 충전하라(105 페이지)고 말한 저자는 이반 일리치의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를 가을의 고전으로 소개하는 자리에서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운명과 맞장을 뜨려면 제도와 서비스, 욕망과 중독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스스로의 힘으로 생명의 자율성과 창조성을 길어올려야 한다고 결론짓는다.(142 페이지)

 

반드시 욕망을 다스리는 수련을 해야 한다(101 페이지)는 주장과 상통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도와 시스템의 결함을 찾아낸다 한들 그걸 해결할 수 있는 대학당국과 교육부, 정치인이 있지 않으니 믿을 건 청년 자신들 뿐이라는 말(48 페이지)과도 상통한다.

 

저자가 예로 드는 키케로는 겨울의 고전인 노년에 관하여 우정에 관하여의 저자이다. 키케로는 혁명은 제도와 시스템의 혁신이 아닌 마음의 온전한 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라고 보았다.(145 페이지)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할까? 지성과 지혜가 아닐까? 지성은 다르게 사유하고자 하는 열정이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함이다.(48 페이지) 지혜는 물처럼 흐르고 파동처럼 퍼져 나가는 유연한 것이다.(144 페이지)

 

루쉰은 일상과 습속이 바뀌지 않는 한 모든 이념과 혁명은 사이비로 간주했다.(148, 149 페이지) 여름이 불의 계절이라면 겨울은 물의 계절이다. 참고로 말하면 저자가 관계하는 공동체 중 하나가 감이당(坎離堂)이다. 주역에서 감은 물, 이는 불을 상징한다.

 

저자는 윤리적 자율성과 영적 해방이 없는 혁명은 형용 모순이라 말한다.(168 페이지)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임진왜란의 와중에 시작되어 유배지에서 완성된 고전이다.(174 페이지) 14년에 걸쳐 쓰인 책이다. 성리학(性理學)에서 말하는 성즉리(性卽理)는 우주의 이치는 존재의 내재적 법칙과 조응함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 천()과 인(), 자연과 도덕의 간극 없는 일치를 의미한다.(93 페이지)

 

이런 사상을 우리는 동의보감을 통해 확인한다. 우주의 물리적 배치와 몸의 원리는 나란히, 함께 간다는 것이다.(176 페이지) 저자는 자연과 우주라는 말로부터 상생()을 떠올리는 것은 낭만적 이미지에 가깝다고 말한다.(176 페이지) 그러니 이런 말이 가능하다. 생명이 네트워크가 아니라 네트워킹을 하는 것이 생명(177 페이지)이라는.

 

저자는 아픔과 괴로움의 원천은 가난이 아니라 무지라고 말한다. 내가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등을 모르는 것이다.(178 페이지) 주자(朱子)가 제자들에게 책도 스스로 읽고 도리도 자네 자신이 궁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나는 다만 길을 안내하는 안내자이며 입회인에 불과하다. 의문점이 있으면 함께 생각해볼 따름”(94 페이지)이라는 말을 한 것은 인상적이다.

 

이런 인식은 동의보감에서 의사란 단지 안내자에 불과하고 병은 환자 스스로 고치는 것(179 페이지)이라는 인식을 보인 허준의 지론과도 통한다. “하늘 아래 책을 읽고 이치를 탐구하는 것처럼 아름답고 고귀한 일이 또 있겠는가?“(182 페이지) 정조(正祖)의 말이다. 저자는 암기해서 뇌에 저장된 것이 기억(혹은 의식)이라면 읽기로 인한 파동을 통해 뼈에 새겨진 정보는 무의식(혹은 몸)과 연동되어 있다고 말하며 낭송을 복원해야 한다고 덧붙인다.(190, 191 페이지)

 

저자는 학습 과정에서 소리를 적극 활용하는 가장 쉬운 경우가 운문, 그중에서도 시()라 말한다.(191 페이지) 글쓰기의 두 축은 독창성과 논리이다.(202 페이지) 기승전결을 갖춘 글이 좋은 글이다.(211 페이지) 기는 문제제기, 승은 제기된 문제를 펼치는 것, 전은 그 문제에 대한 독창적 해석, 결은 전체를 수렴, 압축하여 앞으로 탐구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글쓰기를 수행하는 과정도, 글쓰기의 내적 구성도 결국 사계절과 함께 리듬을 타는 법을 터득하는 것이다.(213 페이지) 이지(李贄)의 삶과 사랑을 볼 필요가 있다. 그는 견문과 도리를 알기 위해 불철주야 애쓰는 사람들에게 그것이 너의 동심을 가리는 병폐라고 했다. 보고 들은 것이 많을수록 자신의 목소리는 사라지고 옛 문장가들의 글만 베끼고 흉내 내게 된다.(231 페이지)

 

이지가 싸우려고 한 것은 이런 획일적이고 교조적인 학문이자 도그마가 된 지식이다. 저자는 진리를 구하려면 기개가 있어야 하고 자립해야 한다고 말한다.(247 페이지)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가능한 덕목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키워드는 자립, 스스로 성찰하는 것 등이다.

 

이 주장은 책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일관성 있게 유지된 덕목이다. 많은 깨우침을 준 책임을 고백한다. 내면을 성찰해 욕망을 다스려야 하며 문제는 결국 홀로 푸는 것이라는 평소 내 지론과 일치하는 바가 있어 흥미 있게, 감사하게 읽었다. 특히 글쓰기에 대한 지침이 생생하고 리얼했다고 생각한다. 봄여름가을겨울에 맞춰 글과 삶을 설명한 내공이 인상적이었음도 고백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묘사 시인수업 6
조동범 지음 / 모악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한옥(韓屋) 도서관에서 시인의 시 창작 강의를 듣는 호사(豪奢)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37일 시작된 청운문학도서관에서의 강의로 59일까지 매주 수요일(1517)에 진행된다.

 

시 창작 강의를 듣고 있지만 나는 시를 이해하려는 것일 뿐이다. 물론 후에 시간이 되면 아니 마음에 여유가 들면 시를 쓰는 모험을 감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강사인 유종인 시인께서는 수사법(修辭法)보다 사물이나 현상을 새롭게 보는 자세와 시를 대하는 마음가짐에 초점을 두고 강의한다.

 

유종인 시인은 필요한 수사를 두 개 정도로 한정한다. 은유와 활유 또는 물활론(物活論)이. 사이비(似而非)란 표현이 눈에 띈다. (시인의 의도를 잘못 파악한 것인지 모르지만) 기존의 바탕이나 현상에서 출발하되 남과 다르게 보는 눈으로부터 새로운 사유가 펼쳐지는 것을 시인이 사이비(似而非) 즉 비슷하되 다른 것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조동범 시인의 묘사(描寫)’를 통해 다음의 것들을 배울 수 있다. <'소가 들판에서 풀을 뜯어 먹고 있다'는 서경(敍景)적 표현을 '몸통을 잃어버린 소가 풀의 어둠을 뜯어 먹고 있다', '머리 잘린 소의 더러운 혀는 풀의 뿌리를 천천히 더듬기 시작한다' 같은 비가시적 이미지인 심상(心象)적 표현으로 바꿀 수 있다.

 

심상적 구조의 문장과 이미지는 서경적 구조와 완전히 유리된 것이 아니며 서경적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경우도 많(61 페이지)(현상을) 심상적 구조로 파악하게 되면 서경적 구조로 파악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양상의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다.>(60 페이지)는 글이다.

 

완전히 유리된 것이 아니며란 말과 전혀 다른이란 말로부터 나는 사이비란 말, 더 나아가 청출어람(靑出於藍), ”얼음은 물이 얼어서 된 것이지만<빙수위지(氷水爲之), 물보다 더 차다(寒於水)>“는 말(신영복 지음 담론’ 116 페이지)을 떠올린다.

 

유종인 시인의 강의는 일상적 단어를 찾아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이 특별히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조동범 시인의 '묘사'는 다른 시 창작 강의와 달리 유익하게 읽힌다. 이 책을 읽고 모악 출판사의 시리즈물인 엄경희 평론가의 '은유', 구모룡 평론가의 '제유', 유성호 평론가의 '직유', 권혁웅 평론가의 '환유', 정끝별 평론가의 '패러디'를 읽을 생각이다.

 

얼마 전 사둔 나희덕 시인의 '한 접시의 시' 도 읽어야겠다. 봄이 되면 특히 많이 생각나는 조용미 시인이 시 창작 책을 쓴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올 봄 하릴없어 옥매 두 그루 심었다는 시인이다.

 

유종인 시인은 어휘력을 기를 것을 주문한다. 어휘를 피상적으로 알지 말고 익히라는 의미이다. 특히 순 우리말을 익히라는 것이다. 그리고 시집을 적극적으로 읽으라고 말한다. 그리고 의도적으로, 메모하듯 쓰라고 말한다.

 

가만히 눈을 감기만 해도, 왼손으로 오른손을 감싸기만 해도, 맞잡은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으기만 해도, 말없이 누군가의 이름을 불러주기만 해도, 노을이 질 때 걸음을 멈추기만 해도, 꽃 진 자리에서 지난 봄날을 떠올리기만 해도, 음식을 오래 씹기만 해도, 촛불 한 자루 밝혀 놓기만 해도, 솔숲 지나는 바람소리에 귀 기울이기만 해도, 갓난아이와 눈을 맞추기만 해도, 자동차를 타지 않고 걷기만 해도, 섬과 섬 사이를 두 눈으로 이어주기만 해도, 그믐달의 어두운 부분을 바라보기만 해도.. 기도하는 것이라는 이문재 시인의 '오래된 기도'를 예로 들며 그렇듯 교과서적인 언어의 의미를 새롭게 확장시키는 것이 시라고 말한다.

 

시인은 우리에게 숙제를 내주신다. 자신의 기도는 어떤 것들인지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시인은 시란 의미의 파생(派生: 어떤 사물의 주체로부터 갈리어 나와 생김)이고 일견 무관해 보이는 것들을 연결짓는 것이고 무수히 많은 관계성에 주목하는 것이라 말한다.

 

시인은 영감(靈感)이란 결국 내가 일으키는 것이라 말한다. 시인에 의하면 시는 의미의 확장 놀이이다. 여기서 랑그와 파롤이란 말을 생각해 본다. 신영복 선생님은 시란 랑그가 아니라 파롤이란 말을 한다.(‘담론’ 26 페이지)

 

소쉬르에 의하면 랑그는 수많은 경험을 통해 뇌 속에 자리 잡은 사회적 형태의 약속 체계이며 파롤은 개인적이며 순간적이고 개별적 언어이다. 이문재 시인이 한 것은 인간보다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어떠한 절대적 존재에게 비는 것 또는 그런 의식을 의미하는 기도란 단어를 파롤(가만히 눈을 감고 있는 것, 왼손으로 오른손을 감싸는 것, 맞잡은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으는 것, 말없이 누군가의 이름을 불러주는 것, 노을이 질 때 걸음을 멈추는 것 등..)로 만든 것이다.

 

여담이지만 시경(詩經)‘은 고대 중국에서 여론 조사나 동태 파악 차원에서 사회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해 모아놓은 시를 편집한 책이다.(신정근 지음 동양고전이 뭐길래?‘ 38 페이지) 이를 보며 내가 생각한 것은 점령(占領)이란 말이다.

 

()나라의 천자가 각 읍국(邑國: 고대 도시국가)의 점인(占人: 점치는 사람들)을 남치해간 뒤 점을 독점하고 그들 읍국들에게 점의 결과를 알려주는 정책을 통해 영도력을 발휘한 것이다. 점령은 점으로 영도한다는 의미이다.(강병국 지음 주역독해상경(上經) 10 페이지)

 

시경(詩經)과 주역(周易) 모두 정치사회적 의미를 갖는 책이라는 의미이다.(신영복 선생님의 마지막 강의인 담론이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 시와 주역이다.)

 

각설하고 시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묘사(描寫)는 이미지를 통해 지배적인 인상을 드러내며 감각화된 세계를 보여준다.(11 페이지) 또한 묘사를 파악하는 것은 시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17 페이지)

 

시적 언술은 묘사와 진술로 이루어지지만 묘사된 세계를 통해 시적 감각이 극대화된다.(19 페이지) 미적 인식을 제시하는 시적 상황을 지배적 정황이라 한다.(20, 21 페이지) 묘사는 지배적 정황이 됨으로써 비로소 시적 감각을 갖는다.(21 페이지)

 

묘사는 구체적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고 설명은 개괄적 행위나 모습을 제시한다. ‘개 한마리가 도로 위에 죽어 있다.’는 문장은 설명이다. 반면 도로 위에 납작하게 누워 있는 개 한 마리. 터진 배를 펼쳐놓고도 개의 머리는 건너려고 했던 길의 저편을 향하고 있다.’는 묘사이다.(23 페이지)

 

묘사는 서경적 구조, 심상적 구조, 서사적 구조 등으로 나뉜다.(33 페이지) 서경적 구조는 가시적 세계를 재현하는 방법론이다.(33 페이지) 심상적 구조는 비가시적인 이미지를 통해 시적 정황을 구축하는 방법론이다.(34 페이지) 심상적 장면은 서경적 구조만으로는 형언하기 힘든 시인의 내면을 제시한다.(38 페이지)

 

저자는 우리가 바라보는 모든 사물을 조금만 다른 시선으로 파악한다면 그것은 평범한 사물에서 지배적 인상을 제시하는 시적 대상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 말한다.(43 페이지) 서경은 사실적 장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서경적 구조가 사실적 장면임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곧 익숙한 관계로 이루어진 상투적 장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46 페이지) 심상적 구조는 시인의 시적 개성을 발휘하기 적합하며 주관적인 묘사를 통해 낯설게 하기를 수행한다.(57 페이지)

 

심상적 구조는 가시적인 물리 공간에서 감지한 것이 아니라 심리라는 비가시적 공간에서 감지한 것이다.(57 페이지) 거칠게 표현하자면 심상적 구조는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이다.(59 페이지)

 

주변의 모든 정황을 심상적으로 파악하려는 강박에 빠질 필요는 없다. 서경적 구조와 심상적 구조가 혼재되어 나타날 수 있는 것처럼 주변의 사물들 역시 서경적 장면과 심상적 장면이 섞여 있을 수 있다.(67 페이지) 각각의 장면들이 지배적 정황으로 기능할 수 있느냐의 문제와 더불어 그것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느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67 페이지)

 

영상조립시점은 어울리지 않는 낯선 정황들을 돌연히 내세우되 그 안에 일관된 정서와 감각을 부여하는 창작 방법론이다.(74 페이지)

 

서경적 구조는 가시권 사물과 비가시적 사물이 혼재될 경우 자연스럽지 않을 경우가 있지만 영상조립시점은 마음에 떠오르는 것들을 함께 묶어 재구성한 것이므로 가시권 사물과 비가시권 사물이 섞여 있을 수 있다.(74, 75 페이지) 두 개 이상의 조각난 영상이 조립되는 영상조립시점은 조각의 합이 전혀 다른 감각을 소환하기도 한다.(75 페이지)

 

영상조립시점을 구성할 때의 관건은 정황들이 일관된 하나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느냐 없느냐이다. 파편화된 이미지가 조각나 있기만 하고 일관된 감각과 정서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영상조립시점은 실패하고 만다.(80 페이지)

 

시에서 이미지는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맞닥뜨린 이러한(이미지가 무의식과 의식을 지배하는, 이마골로기의) 세계 속에서 시는 어떠한 이미지를 응시해야 하는가?(100 페이지)

 

시가 이미지의 산물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물론 시를 구성하는 원리와 요소는 무수히 많지만 그중에서 이미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압도적이다.(101 페이지) 시인들은 자신의 경험과 상상력이 그 어떤 시적 이미지를 통해 드러나기를 희망한다. 이미지를 통해 시인들의 경험과 상상력은 실재의 국면으로 재현되어 하나의 시적 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이미지는 실재하는 상상력이며 동사에 구체적으로 재현된 시적 경험이다.(101 페이지)

 

이미지는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며 이미지 자체가 되기도 한다.(102 페이지) 이미지를 해현한다는 것은 단지 눈에 보이는 장면만을 제시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이미지는 그것만으로 하나의 시적 의미를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시에서 묘사가 곧바로 의미로 전이되는 경우가 그러하다.(102 페이지)

 

바슐라르는 의미들이 너무 분할된다면 그것은 말장난으로 전락할 수도 있고 단 하나의 의미 속에 갇힌다면 교조주의로 빠질 수 있다는 말을 했다.(104, 105 페이지) 저자는 다층적인 의미 구조에 기대기보다 감각이 지나치게 극대화된 시적 이미지에 경도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지적한다.(105 페이지)

 

상당수의 작품이 다채로움을 잃은 채 화려한 감각과 언어라는 시적 경향이 지나치게 몰입하는 태도를 비판한다.(106 페이지) 심상화된 세계는 서경적 세계와 달리 주관적 언술 양상을 띠기 때문에 시인 자신만이 볼 수 있는 주관화된 이미지의 양상을 띠게 된다.(107 페이지)

 

심상적 구조는 서경적 구조와 달리 사실적 이미지나 진술이 전달할 수 없는 내면의 미묘한 울림과 파동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환상적 세계를 통해 표현되는 시인 내면의 복잡다단한 감각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107 페이지) 분절되고 파편화되기만 하고 의미 없는 감각만으로 채워질 때 문제는 발생한다.(108 페이지)

 

조동범 시인의 묘사는 자주 들여다보며 숙독할 책이다. 시를 이해하는 과정이 쓰는 행위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람직한 모습을 연출할 것을 다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담론(談論)’은 신영복 선생님(이하 저자)(성공회대에서의) 마지막 강의(를 책으로 묶은 것)이다. 저자는 서삼독(書三讀)을 주장한다. 텍스트를 읽고 필자를 읽고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모든 텍스트는 언제나 다시 읽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한다.

 

교사와 학생의 대칭 관계(13 페이지)를 주장하는 저자는 강의라는 프레임을 깨뜨리고 우연의 점들을 여기 저기 자유롭게 찍어 갈 것이라 말한다. 대신 여러분들이 그 선을 이어 점을 만들고 장()을 만들어 여러분의 지도(知圖)를 완성하고 여러분이 발 딛고 선 땅속의 차가운 지하수를 길어 올리기를 바란다고 말한다.(22 페이지)

 

인연들이 모여 운명이 된다고 말하는 저자이다.(15 페이지) 첫 시간에 시()를 논하는 것은 우리의 인식틀이 문사철(文史鐵)에 과도하게 갇혀 있기 때문이다.(25, 26 페이지) 저자는 시를 랑그가 아닌 파롤이라 말한다.(랑그, 파롤에 대해 모호하게 알고 있던 사람은 이 강의를 통해 의미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왜 파롤인가? 개인의 언어, 남다른 은유(隱喩)를 말하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상투성의 지양(止揚)이다. 시서화(詩書畵)는 보다 높은 차원의 인식틀이라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37 페이지) 현실과 이상의 갈등이 인생의 영원한 주제라 말(42 페이지)하는 저자는 이론과 실천은 함께 간다고 설명한다.(44 페이지)

 

저자는 냉정한 자기비판의 의미를 강조한다. 그것은 일견 비정한 듯 하지만 자기를 새롭게 재구성함으로써 서바이벌의 가능성을 훨씬 높여 준다는 것이다.(48 페이지) 이 부분에서 나는 군자표변(君子豹變)을 읽었다. 저자는 생명이란 방랑하는 예술가(방랑하는 예술가처럼 자기 생성, 즉 자기가 자신을 만들어 가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라는 말을 한 마투라나를 언급하며 그것은 기계론, 환원주의, 고전주의에 대한 창조적 배반으로 동양적 사유에는 인과론이나 환원론이 없다고 설명한다.(51 페이지)

 

추상화 능력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전자는 문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짚어내는 것이고 후자는 사소한 문제 속에 담긴 엄청난 의미를 읽어내는 것이다.(52 페이지) 무왕불복(無往不復)이란 말이 알게 하듯 고전은 오래된 미래이다.(58 페이지)

 

나는 주역(周易)’을 점서로도 과학으로도 읽지 않는 저자는 주역 독법에 주목한다.(61 페이지) 주역은 패턴(을 보여주는 책)이다. 정착하며 농사를 짓는 반복 패턴의 사회인 농경사회에서 나온 것이다. 유목사회는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이 의미가 없다. 저자는 자신도 감옥에 가지 않았다면 주역을 읽지 않았을 것이라 말한다.(62 페이지)

 

저자는 위(), (), (), ()의 네 개념으로 주역을 읽는다. 양효가 어디에 있든 늘 양효로서 운동하지 않는 것이 위()를 설명할 때 중요하다. 자기 자리에 있어야(得位해야) 하는 것이다.(63 페이지) 양효, 음효 자체보다 그것들이 처해 있는 자리와의 관계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는 바로 옆에 있는 효와 상응 관계를 보는 것이다.(65 페이지) ()은 초효(初爻)4, 2효와 5, 3효와 6효의 음양 상응을 보는 것이다.(65 페이지) ()은 하괘의 중과 상괘의 중을 중시하는 독법이다.(66 페이지)

 

주역은 효() 자리, 효와 효, 소성괘와 대성괘, 대성괘와 대성괘 등 중층적인 관계를 읽는 것이다.(69 페이지) 주역은 64, 384효이다. 그것만으로 매우 복잡하다. 여기에 동효(動爻), 변효(變爻)도 있다. 그것까지 고려한다면 4,096개의 효가 된다. 주역은 그 무수한 관련 속에서 그 의미를 읽어야 하는 것이다.(69 페이지)

 

저자는 개인주의적 사고, 불변의 진리, 배타적 정체성 등 근대적 인식론에 갇혀 있던 나에게 감옥에서 손에 든 주역은 충격이고 반성이었다고 말한다.(69, 70 페이지) 저자는 역이불역(易以不易) 불역이대역(不易以大易)을 언급한다. 퇴계와 다산의 독법이 다르다. 퇴계는 변하면서도 변하지 않는다. 바로 그 변하지 않는 것이 참다운 역(大易)“이라 했고 다산은 변하지 않는 것도 크게() 보면 변한다()”고 해석했다.(74 페이지)

 

철기시대인 춘추시대는 주나라의 종법(宗法) 질서가 붕괴된다. 종법 질서는 천자(天子)의 맏아들은 천자가 되고 둘째 아들은 제후(諸侯)가 되는 제도이다. 제후의 맏아들은 제후가 되고 둘째 아들은 대부(大夫)가 된다. 유가학파는 패권 경영에 반대하고 제후국 연방제라는 주나라 모델을 지지한다. 이것이 화이부동(和而不同)이다.(78 페이지) 저자는 우리의 최후의 그리고 최고의 선택은 화화(和化) 패러다임이라 말한다.(88 페이지)

 

저자는 시제(時制)와 처지를 고려하지 않는 비판은 처음부터 부정적 결론을 염두에 두는 비방이라 말한다.(94 페이지) 저자는 사상의 진보성과 민주성은 단순하지 않다고 말하며, 그리고 여러분의 생각 속에도 여러 가지 충돌하는 쌍들이 혼재해 있을 것이라 말하며 공자와 논어의 경우 어떤 것을 호출하고 어떤 독법으로 읽을 것인가 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라 결론짓는다.(95 페이지)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텍스트의 끊임없는 재구성(103 페이지), 사회적 의미(114 페이지), 사람이 최고의 교본이라는 것(116 페이지), 필자는 죽고 독자는 꾸준히 탄생한다는 말(131 페이지), 산다는 것은 사람과의 만남이고 만남이 곧 연대라는 말(137 페이지), 노동은 생명의 존재형식이라는 말(147 페이지), 시대를 역사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시대가 갇혀 있던 문맥을 선명하게 보는 것(153 페이지) 등이다.

 

묵자(墨子)’에는 무감어수(無監於水), 감어인(監於人)이란 말이 있다. 믈에 비추어 보지 말고 사람에 비추어 보라는 말이다. 물에 비추어 보면 외모만 보게 되지만 사람에 비추어 보면 인간적 품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155 페이지)

 

묵자 사상의 핵심은 겸애(兼愛)이다. 차별 없이 사랑하는 것이다. 밥상을 함께 하는 것을 겸상이라 하듯 차별 없이 사랑하는 것을 겸애라 한다.(163 페이지) 저자는 묵자의 반전, 평화 사상을 언급하며 나쁜 평화 없듯 좋은 전쟁이 없다고 말한다.(165 페이지) 노자가 개선장군을, 수많은 사람을 죽이고 돌아온 사람이라는 이유로 상례(喪禮)로써 맞이해야 한다고 했다면 전쟁에 관한 한 묵자 만큼 불가함과 흉포함을 소상하게 밝힌 사람은 없다.(167 페이지)

 

묵자는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학파이다.(168 페이지) 한비자는 권모술수의 달인 같은 평판을 받고 있지만 교사불여졸성(巧詐不呂拙誠)의 고사를 생각하게 한다. 교묘한 거짓을 졸렬한 성실에 미치지 못한다는 말이다.(188, 189 페이지)

 

한비자(韓非子)’에는 진정성이 묻어나는 예화가 많다.(190 페이지) 세계는 분절되어 있지 않다. 분절되어 있는 것은 우리의 인식틀이다. 결정론과 환원론은 단순 무식한 틀이다.(196 페이지) 저자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의 글들이 차분해서 놀랐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음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것은 가족들이 보는 (편지) 글이기에 고통스럽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았고 검열을 거쳐야 했기에 무너지는 모습을 (국가에) 보이지 않으려는 자존심의 결과이다.(224, 225 페이지) 저자는 자기 변화는 최종적으로 인간관계로서 완성된다고 말한다.(239 페이지) 기술을 익히고 언어와 사고를 바꾼다고 해서 변화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저자는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세계와 자기를 함께 깨닫는 것이라며 불편한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함으로써 생명의 위상을 새롭게 바꾸어 가도록 하자고 말한다.(253 페이지) 저자는 조카 단종을 유배해 죽이고 사육신으로 대표되는 많은 신하들을 처단하고 집권한 세조의 정치 과정을 윤리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건국 초기의 산적한 과제들을 강력한 왕권이 아니면 헤쳐 나가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세조는 태종보다도 훨씬 더 비윤리적인 집권을 했다고 설명한다.(389 페이지) 의아하다.

 

저자는 마지막 글인 희망의 안어 석과불식(碩果不食)’을 이야기한다. 이 말이 20년 감옥 생활을 견디게 한 힘이다. 저자는 산지박(山地剝)괘의 효사인 석과불식을 이야기하며 사십불혹에 새로운 해석을 가한다. 의혹이 없어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미혹(迷惑), 환상 등을 갖지 않는 것이라 말한다.(420, 421 페이지)

 

저자는 자신이 자살하지 않은 것은 햇볕 때문이었고 살아간 이유는 하루하루의 깨달음과 공부였다고 말한다.(424, 425 페이지) 저자는 독방에서 만나는, 길어야 두 시간이고 가장 클 때가 신문지 크기인 햇볕을 무릎 위에 받고 있을 때의 따스함은 살아 있음의 어떤 절정이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기(自己)의 이유(理由)는 우리가 지켜야 할 자부심이라 말한다. 그것을 가지고 있는 한 아무리 멀고 힘든 여정이라 해도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에 의하면 자기의 이유를 줄이면 자유(自由)라는 말이 된다.(426 페이지) 저자는 제한된 시간에 너무 많은 이야기를 했다고 말한다. 그런 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소 어렵게 느껴진 면도 있다.

 

물론 이는 앞에서 말한 이유 때문이기도 하고 내 내공이 부족한 탓이기도 하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리뷰를 쓰지는 않았지만 읽었기에 대부분 건너 뛰었다. 저자가 주역과 시를 강의 주제로 선정한 이유가 참 긍정할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주역은 관계론, 시는 이성의 과잉에 대한 해결 방식으로 제시된 주제이다. 이 두 주제는 내 주제로 오래 유지될 것이다. 타계 2주기(2016115)를 넘긴 선생님의 명복을 늦게나마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