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담론(談論)’은 신영복 선생님(이하 저자)(성공회대에서의) 마지막 강의(를 책으로 묶은 것)이다. 저자는 서삼독(書三讀)을 주장한다. 텍스트를 읽고 필자를 읽고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모든 텍스트는 언제나 다시 읽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한다.

 

교사와 학생의 대칭 관계(13 페이지)를 주장하는 저자는 강의라는 프레임을 깨뜨리고 우연의 점들을 여기 저기 자유롭게 찍어 갈 것이라 말한다. 대신 여러분들이 그 선을 이어 점을 만들고 장()을 만들어 여러분의 지도(知圖)를 완성하고 여러분이 발 딛고 선 땅속의 차가운 지하수를 길어 올리기를 바란다고 말한다.(22 페이지)

 

인연들이 모여 운명이 된다고 말하는 저자이다.(15 페이지) 첫 시간에 시()를 논하는 것은 우리의 인식틀이 문사철(文史鐵)에 과도하게 갇혀 있기 때문이다.(25, 26 페이지) 저자는 시를 랑그가 아닌 파롤이라 말한다.(랑그, 파롤에 대해 모호하게 알고 있던 사람은 이 강의를 통해 의미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왜 파롤인가? 개인의 언어, 남다른 은유(隱喩)를 말하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상투성의 지양(止揚)이다. 시서화(詩書畵)는 보다 높은 차원의 인식틀이라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37 페이지) 현실과 이상의 갈등이 인생의 영원한 주제라 말(42 페이지)하는 저자는 이론과 실천은 함께 간다고 설명한다.(44 페이지)

 

저자는 냉정한 자기비판의 의미를 강조한다. 그것은 일견 비정한 듯 하지만 자기를 새롭게 재구성함으로써 서바이벌의 가능성을 훨씬 높여 준다는 것이다.(48 페이지) 이 부분에서 나는 군자표변(君子豹變)을 읽었다. 저자는 생명이란 방랑하는 예술가(방랑하는 예술가처럼 자기 생성, 즉 자기가 자신을 만들어 가는 능력이 있다는 의미)라는 말을 한 마투라나를 언급하며 그것은 기계론, 환원주의, 고전주의에 대한 창조적 배반으로 동양적 사유에는 인과론이나 환원론이 없다고 설명한다.(51 페이지)

 

추상화 능력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전자는 문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짚어내는 것이고 후자는 사소한 문제 속에 담긴 엄청난 의미를 읽어내는 것이다.(52 페이지) 무왕불복(無往不復)이란 말이 알게 하듯 고전은 오래된 미래이다.(58 페이지)

 

나는 주역(周易)’을 점서로도 과학으로도 읽지 않는 저자는 주역 독법에 주목한다.(61 페이지) 주역은 패턴(을 보여주는 책)이다. 정착하며 농사를 짓는 반복 패턴의 사회인 농경사회에서 나온 것이다. 유목사회는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이 의미가 없다. 저자는 자신도 감옥에 가지 않았다면 주역을 읽지 않았을 것이라 말한다.(62 페이지)

 

저자는 위(), (), (), ()의 네 개념으로 주역을 읽는다. 양효가 어디에 있든 늘 양효로서 운동하지 않는 것이 위()를 설명할 때 중요하다. 자기 자리에 있어야(得位해야) 하는 것이다.(63 페이지) 양효, 음효 자체보다 그것들이 처해 있는 자리와의 관계성을 중시하는 것이다. ()는 바로 옆에 있는 효와 상응 관계를 보는 것이다.(65 페이지) ()은 초효(初爻)4, 2효와 5, 3효와 6효의 음양 상응을 보는 것이다.(65 페이지) ()은 하괘의 중과 상괘의 중을 중시하는 독법이다.(66 페이지)

 

주역은 효() 자리, 효와 효, 소성괘와 대성괘, 대성괘와 대성괘 등 중층적인 관계를 읽는 것이다.(69 페이지) 주역은 64, 384효이다. 그것만으로 매우 복잡하다. 여기에 동효(動爻), 변효(變爻)도 있다. 그것까지 고려한다면 4,096개의 효가 된다. 주역은 그 무수한 관련 속에서 그 의미를 읽어야 하는 것이다.(69 페이지)

 

저자는 개인주의적 사고, 불변의 진리, 배타적 정체성 등 근대적 인식론에 갇혀 있던 나에게 감옥에서 손에 든 주역은 충격이고 반성이었다고 말한다.(69, 70 페이지) 저자는 역이불역(易以不易) 불역이대역(不易以大易)을 언급한다. 퇴계와 다산의 독법이 다르다. 퇴계는 변하면서도 변하지 않는다. 바로 그 변하지 않는 것이 참다운 역(大易)“이라 했고 다산은 변하지 않는 것도 크게() 보면 변한다()”고 해석했다.(74 페이지)

 

철기시대인 춘추시대는 주나라의 종법(宗法) 질서가 붕괴된다. 종법 질서는 천자(天子)의 맏아들은 천자가 되고 둘째 아들은 제후(諸侯)가 되는 제도이다. 제후의 맏아들은 제후가 되고 둘째 아들은 대부(大夫)가 된다. 유가학파는 패권 경영에 반대하고 제후국 연방제라는 주나라 모델을 지지한다. 이것이 화이부동(和而不同)이다.(78 페이지) 저자는 우리의 최후의 그리고 최고의 선택은 화화(和化) 패러다임이라 말한다.(88 페이지)

 

저자는 시제(時制)와 처지를 고려하지 않는 비판은 처음부터 부정적 결론을 염두에 두는 비방이라 말한다.(94 페이지) 저자는 사상의 진보성과 민주성은 단순하지 않다고 말하며, 그리고 여러분의 생각 속에도 여러 가지 충돌하는 쌍들이 혼재해 있을 것이라 말하며 공자와 논어의 경우 어떤 것을 호출하고 어떤 독법으로 읽을 것인가 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라 결론짓는다.(95 페이지)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텍스트의 끊임없는 재구성(103 페이지), 사회적 의미(114 페이지), 사람이 최고의 교본이라는 것(116 페이지), 필자는 죽고 독자는 꾸준히 탄생한다는 말(131 페이지), 산다는 것은 사람과의 만남이고 만남이 곧 연대라는 말(137 페이지), 노동은 생명의 존재형식이라는 말(147 페이지), 시대를 역사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시대가 갇혀 있던 문맥을 선명하게 보는 것(153 페이지) 등이다.

 

묵자(墨子)’에는 무감어수(無監於水), 감어인(監於人)이란 말이 있다. 믈에 비추어 보지 말고 사람에 비추어 보라는 말이다. 물에 비추어 보면 외모만 보게 되지만 사람에 비추어 보면 인간적 품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155 페이지)

 

묵자 사상의 핵심은 겸애(兼愛)이다. 차별 없이 사랑하는 것이다. 밥상을 함께 하는 것을 겸상이라 하듯 차별 없이 사랑하는 것을 겸애라 한다.(163 페이지) 저자는 묵자의 반전, 평화 사상을 언급하며 나쁜 평화 없듯 좋은 전쟁이 없다고 말한다.(165 페이지) 노자가 개선장군을, 수많은 사람을 죽이고 돌아온 사람이라는 이유로 상례(喪禮)로써 맞이해야 한다고 했다면 전쟁에 관한 한 묵자 만큼 불가함과 흉포함을 소상하게 밝힌 사람은 없다.(167 페이지)

 

묵자는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학파이다.(168 페이지) 한비자는 권모술수의 달인 같은 평판을 받고 있지만 교사불여졸성(巧詐不呂拙誠)의 고사를 생각하게 한다. 교묘한 거짓을 졸렬한 성실에 미치지 못한다는 말이다.(188, 189 페이지)

 

한비자(韓非子)’에는 진정성이 묻어나는 예화가 많다.(190 페이지) 세계는 분절되어 있지 않다. 분절되어 있는 것은 우리의 인식틀이다. 결정론과 환원론은 단순 무식한 틀이다.(196 페이지) 저자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의 글들이 차분해서 놀랐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음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것은 가족들이 보는 (편지) 글이기에 고통스럽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았고 검열을 거쳐야 했기에 무너지는 모습을 (국가에) 보이지 않으려는 자존심의 결과이다.(224, 225 페이지) 저자는 자기 변화는 최종적으로 인간관계로서 완성된다고 말한다.(239 페이지) 기술을 익히고 언어와 사고를 바꾼다고 해서 변화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저자는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세계와 자기를 함께 깨닫는 것이라며 불편한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함으로써 생명의 위상을 새롭게 바꾸어 가도록 하자고 말한다.(253 페이지) 저자는 조카 단종을 유배해 죽이고 사육신으로 대표되는 많은 신하들을 처단하고 집권한 세조의 정치 과정을 윤리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건국 초기의 산적한 과제들을 강력한 왕권이 아니면 헤쳐 나가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세조는 태종보다도 훨씬 더 비윤리적인 집권을 했다고 설명한다.(389 페이지) 의아하다.

 

저자는 마지막 글인 희망의 안어 석과불식(碩果不食)’을 이야기한다. 이 말이 20년 감옥 생활을 견디게 한 힘이다. 저자는 산지박(山地剝)괘의 효사인 석과불식을 이야기하며 사십불혹에 새로운 해석을 가한다. 의혹이 없어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미혹(迷惑), 환상 등을 갖지 않는 것이라 말한다.(420, 421 페이지)

 

저자는 자신이 자살하지 않은 것은 햇볕 때문이었고 살아간 이유는 하루하루의 깨달음과 공부였다고 말한다.(424, 425 페이지) 저자는 독방에서 만나는, 길어야 두 시간이고 가장 클 때가 신문지 크기인 햇볕을 무릎 위에 받고 있을 때의 따스함은 살아 있음의 어떤 절정이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기(自己)의 이유(理由)는 우리가 지켜야 할 자부심이라 말한다. 그것을 가지고 있는 한 아무리 멀고 힘든 여정이라 해도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에 의하면 자기의 이유를 줄이면 자유(自由)라는 말이 된다.(426 페이지) 저자는 제한된 시간에 너무 많은 이야기를 했다고 말한다. 그런 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소 어렵게 느껴진 면도 있다.

 

물론 이는 앞에서 말한 이유 때문이기도 하고 내 내공이 부족한 탓이기도 하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리뷰를 쓰지는 않았지만 읽었기에 대부분 건너 뛰었다. 저자가 주역과 시를 강의 주제로 선정한 이유가 참 긍정할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주역은 관계론, 시는 이성의 과잉에 대한 해결 방식으로 제시된 주제이다. 이 두 주제는 내 주제로 오래 유지될 것이다. 타계 2주기(2016115)를 넘긴 선생님의 명복을 늦게나마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