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 - 고전평론가 고미숙의 읽고 쓰고 배우는 법
고미숙 지음 / 작은길 / 201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고미숙의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은 오행(五行)의 리듬이 천지만물에 두루 작용하지만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4()라는 전제하에 고전(古典)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것으로 짝지어 설명한 책이다. 가령 봄은 목(), 배움과 우정, 여름은 화(), 열정과 자유, 가을은 금(), 수렴과 성장, 겨울은 수(), 지혜와 유머 등이다. ()는 환절기이다.

 

세분하면 봄에는 허클베리 핀의 모험’, ‘임꺽정등이, 여름에는 장자(莊子)’, ‘그리스인 조르바’, ‘주자어류선집등이, 가을에는 오딧세이아’, ‘구운몽등이, 겨울에는 크리슈나무르의 마지막 일기’, ‘동의보감등이 속한다.

 

오행(五行)의 관건은 상생(相生) 상극(相克)의 균형이다. “기쁘면 기쁜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그 과정을 오롯하게 통과한다.”(44 페이지)는 구절을 보라. 여름에 포함된 산해경편에서 이런 구절이 눈에 띈다. “사물은 그 자체가 이상한 것이 아니고 나의 생각을 거쳐서야 이상해지는 것이기에 이상함은 결국 나에게 있는 것이지 사물이 이상한 것은 아니”(70 페이지)라는 말이다.

 

이 말에 관심이 가는 것은 유식무경(唯識無境)에 대한 관심 때문이다. 유식 불교는 우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거나 내면적으로 상상하고 착각한 것 그대로의 세상이 실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한다. 저자에 의하면 시공을 뛰어넘어 고전을 읽는 이유는 딱 두 가지, 유용성과 비전이다.(74 페이지)

 

주자(朱子)’편에서 우리는 주자도 처음부터 주자주의자였던 것은 아니고 쉬지 않고 배우고 익혀 새로운 길을 열어간 학인(95 페이지)이라는 사실과 주자 사후 주자학은 본인의 염원과 다르게 (원나라 이후) 국가학이 되어 도그마가 되었다는 사실(95, 97 페이지), 주자학과 달리 양명학은 도그마의 운명에 빠지지 않았다는 사실(102 페이지) 등을 알게 된다.

 

()인 가을에 해당하는 수렴과 성찰을 이야기하며 저자는 구운몽의 성진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덧없는 것이 삶이 아니라 부귀영화, 아니 부귀영화를 향한 욕망이라 말한다.(105 페이지) 가을의 대표작인 오딧세이아편에서 저자는 인생은 유토피아를 향해 가는 것이 아니라 유토피아로부터 탈주하는 것이고 해피엔딩이 아니라 네버엔딩의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것이라 말한다.(110 페이지)

 

가을의 고전을 읽으며 금기(金氣)를 충전하라(105 페이지)고 말한 저자는 이반 일리치의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를 가을의 고전으로 소개하는 자리에서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운명과 맞장을 뜨려면 제도와 서비스, 욕망과 중독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스스로의 힘으로 생명의 자율성과 창조성을 길어올려야 한다고 결론짓는다.(142 페이지)

 

반드시 욕망을 다스리는 수련을 해야 한다(101 페이지)는 주장과 상통하는 부분이다. 또한 제도와 시스템의 결함을 찾아낸다 한들 그걸 해결할 수 있는 대학당국과 교육부, 정치인이 있지 않으니 믿을 건 청년 자신들 뿐이라는 말(48 페이지)과도 상통한다.

 

저자가 예로 드는 키케로는 겨울의 고전인 노년에 관하여 우정에 관하여의 저자이다. 키케로는 혁명은 제도와 시스템의 혁신이 아닌 마음의 온전한 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라고 보았다.(145 페이지)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할까? 지성과 지혜가 아닐까? 지성은 다르게 사유하고자 하는 열정이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함이다.(48 페이지) 지혜는 물처럼 흐르고 파동처럼 퍼져 나가는 유연한 것이다.(144 페이지)

 

루쉰은 일상과 습속이 바뀌지 않는 한 모든 이념과 혁명은 사이비로 간주했다.(148, 149 페이지) 여름이 불의 계절이라면 겨울은 물의 계절이다. 참고로 말하면 저자가 관계하는 공동체 중 하나가 감이당(坎離堂)이다. 주역에서 감은 물, 이는 불을 상징한다.

 

저자는 윤리적 자율성과 영적 해방이 없는 혁명은 형용 모순이라 말한다.(168 페이지)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임진왜란의 와중에 시작되어 유배지에서 완성된 고전이다.(174 페이지) 14년에 걸쳐 쓰인 책이다. 성리학(性理學)에서 말하는 성즉리(性卽理)는 우주의 이치는 존재의 내재적 법칙과 조응함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 천()과 인(), 자연과 도덕의 간극 없는 일치를 의미한다.(93 페이지)

 

이런 사상을 우리는 동의보감을 통해 확인한다. 우주의 물리적 배치와 몸의 원리는 나란히, 함께 간다는 것이다.(176 페이지) 저자는 자연과 우주라는 말로부터 상생()을 떠올리는 것은 낭만적 이미지에 가깝다고 말한다.(176 페이지) 그러니 이런 말이 가능하다. 생명이 네트워크가 아니라 네트워킹을 하는 것이 생명(177 페이지)이라는.

 

저자는 아픔과 괴로움의 원천은 가난이 아니라 무지라고 말한다. 내가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등을 모르는 것이다.(178 페이지) 주자(朱子)가 제자들에게 책도 스스로 읽고 도리도 자네 자신이 궁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나는 다만 길을 안내하는 안내자이며 입회인에 불과하다. 의문점이 있으면 함께 생각해볼 따름”(94 페이지)이라는 말을 한 것은 인상적이다.

 

이런 인식은 동의보감에서 의사란 단지 안내자에 불과하고 병은 환자 스스로 고치는 것(179 페이지)이라는 인식을 보인 허준의 지론과도 통한다. “하늘 아래 책을 읽고 이치를 탐구하는 것처럼 아름답고 고귀한 일이 또 있겠는가?“(182 페이지) 정조(正祖)의 말이다. 저자는 암기해서 뇌에 저장된 것이 기억(혹은 의식)이라면 읽기로 인한 파동을 통해 뼈에 새겨진 정보는 무의식(혹은 몸)과 연동되어 있다고 말하며 낭송을 복원해야 한다고 덧붙인다.(190, 191 페이지)

 

저자는 학습 과정에서 소리를 적극 활용하는 가장 쉬운 경우가 운문, 그중에서도 시()라 말한다.(191 페이지) 글쓰기의 두 축은 독창성과 논리이다.(202 페이지) 기승전결을 갖춘 글이 좋은 글이다.(211 페이지) 기는 문제제기, 승은 제기된 문제를 펼치는 것, 전은 그 문제에 대한 독창적 해석, 결은 전체를 수렴, 압축하여 앞으로 탐구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글쓰기를 수행하는 과정도, 글쓰기의 내적 구성도 결국 사계절과 함께 리듬을 타는 법을 터득하는 것이다.(213 페이지) 이지(李贄)의 삶과 사랑을 볼 필요가 있다. 그는 견문과 도리를 알기 위해 불철주야 애쓰는 사람들에게 그것이 너의 동심을 가리는 병폐라고 했다. 보고 들은 것이 많을수록 자신의 목소리는 사라지고 옛 문장가들의 글만 베끼고 흉내 내게 된다.(231 페이지)

 

이지가 싸우려고 한 것은 이런 획일적이고 교조적인 학문이자 도그마가 된 지식이다. 저자는 진리를 구하려면 기개가 있어야 하고 자립해야 한다고 말한다.(247 페이지)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가능한 덕목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키워드는 자립, 스스로 성찰하는 것 등이다.

 

이 주장은 책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일관성 있게 유지된 덕목이다. 많은 깨우침을 준 책임을 고백한다. 내면을 성찰해 욕망을 다스려야 하며 문제는 결국 홀로 푸는 것이라는 평소 내 지론과 일치하는 바가 있어 흥미 있게, 감사하게 읽었다. 특히 글쓰기에 대한 지침이 생생하고 리얼했다고 생각한다. 봄여름가을겨울에 맞춰 글과 삶을 설명한 내공이 인상적이었음도 고백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