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타자와 교류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게 되며 자기가 싫어하는 타자도 가까운 존재로 여길 수 있다’면서, 도시는 그런 타자를 만나는 장소이기에 인간을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깨달음 속에서 그는 앞으로 하나의 정체성 안에서 ‘졸고 있는 인간’이 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다양한 정체성을 받아들이며 살겠다고 다짐한다. "진정한 자기란 없고, 있는 것은 지금 거기 있는 자신뿐이기에 ‘있는 그대로’ 자기 안의 모순을 껴안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덴티티라는 것은 몇 개의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어느 것이 진짜이고 어느 것이 거짓이냐는 문제는 그렇게 간단히 정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 오늘날에는 ‘부동不動의 나’ 또는 ‘확고한 아이덴티티’라는 것이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만큼 불확실한 시대도 없었으니까요. 모든 것이 너무나 빨리 변해가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변하지 않는 것을 간절히 바라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현실에서는 확실한 안정을 얻는다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 결과 자신이 안고 있는 불안이나 울분이 부정적 에너지가 되어 타자에게 분출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저놈은 형편없어, 저놈보다는 내가 나아’라는 말을 하면서 남들보다 강해지려는 것입니다. 이는 요즘 시대가 안고 있는 큰 문제입니다.
—『도쿄 산책자』 23~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원래 가면을 쓰고 사는 존재다. 영어의 ‘퍼슨person, 인간’은 어원적으로 가면 또는 탈을 뜻하는 라틴어 ‘페르소나persona’에서 왔다. 여기서 가면은 ‘표리부동’을 의미하기 전에, 사회에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기 위한 자신의 ‘역할’이라는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 동양의 ‘인간人間’도 ‘사람과 사람 사이’라는 의미에서 형성된 개념이듯이 우리 삶에서 관계를 맺는 일은 무척 중요하다. 우리는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그에 알맞은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간다. 마치 배우들이 각자에게 맞는 배역을 맡아 연기하는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사람들은 꼰대가 되지 않으려면 ‘왕년에 …나 젊었을 때는…‘ 이런 말을 절대 하지 말라고 한다. 입은 닫고 지갑만 열라고 한다. 그런데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는 신의 영역이라 우리 인간이 뭐라 말할 수 없다. 결국 내가겪은 과거의 경험밖에 말할 것이 없는데 과거는 불문, 닥치고 지갑만 열라면 50대 이후는 입을 재봉틀로 봉하고 살란 말인가?……
요즘 아이들은 ‘자취自然‘의 실상을 제대로 모른다. 남녀불문하고 그 나이에 직접 밥 짓고, 반찬 마련하고, 도시락 싸고, 빨래와 청소를 해가며 알아서 학교에 다녔다는 뜻이다. 에어컨은 고사하고 선풍기도 없었다. 전기밥솥도 없었다.……와중에 나는 연탄가스를 두 번 제대로 마셨다.
....
당시 빈곤층의 연탄가스 중독사는 안타깝고 흔한 뉴스였다. 첫 경험은 중학교 때였는데 옆집의 신 김칫국물 덕분에 다 죽었다가 살아났다. 두 번째는 자취하던 고등학교 때였다. 지금 나의 삶이 덤으로 사는 인생이라며 고맙게 여기는 이유다. 그런고로 나는 모름지기 연탄가스한 번 마셔 보지 않은 자와는 인생을 논하지 않겠다. 연탄가스한 번 안 마셔 봤다면 함부로 싸잡아 ‘아재‘라 희롱치 말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