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편은 제주 사람이다.
남편과 사귀고 있을 때 제주도에서는 육지 출신 며느리를 별로 안 좋아하지만
자기는 둘째기 때문에 집에서 허락하실 거라는 말을 한 적이 있었다.
결혼하기 전에는 그게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 잘 몰랐다.
결혼을 하고 제주에 드나들기 시작하는데 친척들이 모일 때마다
내 귀에 아주 낯설게 들리는 말이 있었다.
'육지것(껏)'
제주 특유의 사투리도 아닌 그 말은 계속 내 귀에 거슬렸다.
바로 육지에서 시집 온 나를 포함한 말이었기 때문이다.
뭔가 무시하고 비아냥거리는 것처럼 들렸다.
제주 사람들의 언어와 심성, 문화를 많이 이해하게 된 지금은
그 단어에 그리 민감하게 굴지는 않지만 그래도 조금은 불편하다.
왜 제주 사람들은 육지 사람을 '사람'으로 부르지 않고 육지 '것'으로 부르게 된 걸까?
남편은 옛날부터 그렇게 불렀다는 말만 했다.
<지슬>을 보았다.
남편이 제주 사람인지라 <지슬> 소식이 들릴 때마다 보고 싶었는데 드디어 원주에서도 상영을 했다.
딱 한 번 예약을 받아서 상영했는데 전석 매진이 되었다고 한다.
<지슬>을 보면서
아, 저렇게 육지에서 들어온 사람들로부터 핍박과 착취를 당하다 보니
'육지것'이 될 수밖에 없는 거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주 4.3 사건을 다룬 영화라서 많이 어둡고 슬플 거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많이 슬프지만 동시에 많이 웃기고 신나고 재미있는 영화였다.
당시 한 동네에 살던 평범한 사람들이 느끼고 겪는 4.3은
뉴스나 책으로 접하는 것보다 더 현실감이 있으면서 비현실적이기도 했다.
영화를 만든 오멸이라는 감독이 대단해 보였다.
슬프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웃기면서도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열 받는 이야기를 고성이 아닌 웃음으로 풀어주는 재주...
거기다가 흑백 영화이기까지 하다.
영화를 보는 내내 사람들의 웃음 소리가 끊이지 않았지만
영화가 끝나고 나올 때는 다들 숙연한 분위기였다.
<지슬>을 보면서 신기했던 것 중 하나는 우리말 자막이 있는 우리 영화라는 것이었다.
그만큼 제주도 사투리는 제주 사람이 아니면 알아듣기 어렵다는 얘기.
그런데 난 제주 며느리 16년차가 되다 보니
제주 사투리가 귀에 쏙쏙 들어와서 자막을 안 보고도 무슨 뜻인지 다 알아들어서 흐뭇.^^
많은 사람들이 <지슬>을 보았으면 좋겠다.
슬픈 역사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영화를 보는 재미가 곳곳에 숨어 있는 영화니까...
감자를 제주 말로 지슬이라고 한단다.
땅에서 나는 열매라는 한자어 지실(地實)을 제주 사람들은 지슬이라고 부른다.